• Title/Summary/Keyword: 로봇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644,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Control Loading System (시뮬레이터의 조종감 제시기)

  • 윤석준
    • ICROS
    • /
    • v.7 no.6
    • /
    • pp.10-1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훈련용과 연구용 시뮬레이터들에서 차량조종 및 자동조종(autopilot) 시스템들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들을 소개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차량 조종 시스템들은 고정익기와 회전익기의 비행제어시스템은 물론 지상차량의 조종 시스템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유형의 비행 및 지상차량 조종 시스템들에 대한 검토로 시작된다. 다음으로 차량조종 및 자동조종 시스템들의 시뮬레이션과 모델링, 조정 부하(control loading)라 통상 일컫는 조종감(control feel)의 시뮬레이션, 조종계통 모델링툴 시스템 통함 및 시스템 성능 비준 등의 주요 주제들이 이어진다.

  • PDF

A Computer Simulation on the Efficiency of Energy Consumption for Quadruped Walking Robot (4족 보행로봇의 소비에너지 효율에 관한 시뮬레이션)

  • Ahn Byong-Won;Bae Cherl-o;Eom Han-S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9 no.6
    • /
    • pp.1247-1252
    • /
    • 2005
  • Though a legged robot has a high terrain adaptability as compared with a wheeled robot, its moving speed is considerably low in general. For attaining a high moving speed with a logged robot, a dynamically stable walking is a promising solution. However, the energy efficiency of a dynamically stable walking is generally lower than the efficiency of a stable gait such as a crawl gait. In this paper, energy consumption of two walking patterns for a trot gait is simulated through modeling a quadruped walking robot named TITAN-VIII.

A Simulation Technique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Multi-Robot Inter connection Systems(MRIS) (다중로봇의 성능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법)

  • 이기동;이범희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2 no.8
    • /
    • pp.33-43
    • /
    • 1995
  • 생산시스템 분야에서의 다중로봇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시스템 성능분석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로봇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오류회복 기능만을 고려한 다중로봇시스템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모델링 방법 중에서 확장 페트리 네트 모델을 기초로 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 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제시된 시뮬레이션 방법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큐잉모델을 기초로 한 해석적 수식을 유도하여 두 가지의 결과를 비교해 본다. 그 다음, 오류회복 기능에 덧붙여서 충돌회피 기능을 고려한 다중로봇시스템은 해석적 수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가정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정들 때문에 실제 시스템을 정확히 모델에 반영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그 유효성이 입증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면 필요한 최적의 운용 변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for multirobot interconnection systems(MRIS) in Industrial manufacturing system,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MRIS is first needed. This thesis presents a computer simulation technique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MRIS. First, we consider a error recoverable MRIS. We adopt the extended Petri net model as a computer simulation model that allows an easy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proposed computer simulation method, mathematical analysis, which is based on the given queueing model, is carried out with some design issues for the MRIS. In addition to this,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MRIS considering collision avoidance as well as error recovery. In this case, methematial analysis needs hard assumptions which are the constraints for the precise description of real environment. Thus, we present a computer simulation model and its results suggest an optimal operational strategy for the MRIS under given conditions.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Degree-of-Freedom Robotic Mixer using Discrete Element Mixing Simulations (이산요소법 교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다자유도 로봇 믹서 성능 평가)

  • Son, Kwon Jo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0
    • /
    • pp.219-224
    • /
    • 2020
  • Industrial mixers to homogeneously blend particulate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However, most industrial mixers have at most two-degree-of-freedom for the operation, which limits the range of operation parameter selection for optimal blending. This paper proposes a multi-degree-of-freedom robotic mixer designed by converging a conventional drum blender and a robotic manipulator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in a virtual operating environment. Discrete element simulations were conducted for mixing performance evaluation.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ixer design exhibits a better mixing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ones.

Fuzzy Steering Controller for Outdoor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MR sensor (MR센서를 이용한 실외형 자율이동 로봇의 퍼지 조향제어기에 관한 연구)

  • Kim, Jeong-Heui;Son, Seok-Jun;Lim, Young-Chelo;Kim, Tae-Gon;Kim, Eui-Sun;Ryoo, Yo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2 no.1
    • /
    • pp.27-32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a fuzzy steering controller for an outdoor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MR(magneto-resistive) sensor. Using the magnetic field difference values(dBy, dBz) obtained from the MR sensor, we designed fuzzy logic controller for driving the robot on the road center and proposed a method to eliminate the Earth magnetic field. To develop an autonomous mobile robot simulation program, we have done modeling MR sensor, mobile robot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A computer simulation of the robot including mobile robot dynamics and steering was used to verify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mobile robot controller using the fuzzy logic. So, we confirmed the robustness of the proposed fuzzy controller by computer simulation.

A Study on the Adjustable Autonomy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operating Robots (협조 로봇의 작업 성능 향상을 위한 자율도 조정에 관한 연구)

  • Cho, Hye-Ky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5 no.3
    • /
    • pp.61-67
    • /
    • 2006
  • This paper provides a systematic way of integrating human intelligence and autonomous precision of robots to achieve the highest possible performance of a cooperating robot system. Adjustable autonomy, which deals with the combination of human and robotic skills, has the potential to bridge the gap which leaves many tasks suited to robotics beyond the reach of existing technology. Especially we will show that relevant human assistance or intervention will increase system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exception handling capability, simplifying autonomous operation, and boosting speed and reliability. To support the usefulness of our scheme,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ree cooperating robots which work together to dock both ends of a long suspended beam into stanchions.

  • PDF

The Optimum Design of A 6 D.O.F Fully-Parallel Micromanipulator for Enhanced Robot Accuracy (로봇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평행식 구조의 정밀로봇 설계)

  • 한창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0 no.4
    • /
    • pp.42-53
    • /
    • 1993
  • 이 논문에서는 정밀로봇 설계에 관한 여려 사안을 다루었다. 정밀로봇이란 미세한 오차와 정밀한 제어로 기존 로봇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작고, 정밀한 운동범위를 갖춘 로봇이다. 원하는 운동범위나 효과적인 힘 전달률, 최소한 작은 힘으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기구학적 변수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구현하고자 한다. CAD/CAM 시스템을 이용한 합성, 해석 및 제작을 위한 정보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최대 휨 및 응력해석을 통하여 최종적인 검증 및 설계 변경을 위한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sign of Humanoid Robot Development Platform Using 3D Based Simulator (3D 기반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플랫폼 설계)

  • Kwak, Hwan-Joo;Park, Gwi-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825-1826
    • /
    • 2008
  • 본 논문은 3D 기반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플랫폼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높은 자유도의 휴머노이드 로봇의 빠르고 쉬운 개발을 위해서는 편리하며 개발에 효율적인 시뮬레이터 개발 플랫폼이 필수적이다. 실제 로봇 제어를 고려한 새로운 3D 기반의 시뮬레이터 설계 및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주어진 임무 수행시 실제 로봇의 움직임에 따른 대상 물체의 탐지 및 실시간 시뮬레이터에의 적용에 의한 로봇 동작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시뮬레이터의 효율성 및 정확성은 시뮬레이션 및 실제 로봇을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다.

  • PDF

Locomotion of Snake Robot and Obstacle Avoidance Simulation (뱀형 로봇에 대한 이동궤적과 장애물 회피 시뮬레이션)

  • Lee, J.W.;Lee, C.H.;Kim, Y.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b
    • /
    • pp.3-6
    • /
    • 2003
  • 뱀형 로봇은 일반적인 바퀴형 이동로봇과 운동 메카니즘이 상이하며 다관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애물 회피에 있어 빠른 정보의 처리와 이를 위한 특별한 정보가 요구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로봇은 자신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면서 장애물의 좌표 값과 일정한 거리의 간격을 두고 움직여야 한다. 주행 궤도 및 장애물 회피를 위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가상 뱀형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다. 시뮬레이터는 이동 주행 궤도를 생성하고, 지나온 궤도를 재현할 수 있는 재현기(Back Tracker), 앞으로 이루어질 뱀형 로봇의 위치와 자세를 알아보는 예견기(Predictor)로 구성된다. 시뮬레이터를 통하여 주위의 장애물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는 일반적인 알고리즘인 포텐셜함수의 특성을 알아보고, 국소 최소점(Local Minima)에 빠지기 쉬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뱀의 이동 주행 궤적을 알아보고, 주위의 장애물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에 대한 고찰과 제안한 알고리즘을 소프트웨어적인 3D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걸과를 분석하고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