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로봇 매니퓰레이터

Search Result 37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OS Configuration Method for Effective Control of Modular Service Manipulator (모듈형 서비스 매니퓰레이터의 제어를 위한 ROS 환경 설계 방법)

  • Koo, Mose;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533-53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역할을 수행하는 6축 모듈형 매니퓰레이터 개발을 목표로 하며, 최종 기술 사양에 따른 설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기구의 섬세한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로봇 제어 소프트웨어의 오픈소스 환경인 ROS를 사용한다. 매니퓰레이터의 동작 설계를 ROS 기반에서 제어하기 위해 중요한 기본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로봇 모델링을 위한 시각화를 위해 URDF파일에 해당 매니퓰레이터의 필수 파라미터값들을 지정하여 적용하였고, 전체 동작 시나리오에 맞춰 매니퓰레이터가 특정 자세를 취할 경우의 역기구학적인 해석과 그에 따른 경로를 생성하도록 매니퓰레이터의 라이브러리인 MoveIt을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설계한 ROS 환경 설계 방법을 바탕으로 MCU와의 통신을 통해 모터의 실시간 각도 값을 제어하고, 3D 깊이 카메라의 거리정보와 이미지 정보의 융합을 통해 로봇의 서비스 내용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Visual Servoing of Robotic Manipulators for Moving Objects (동적 물체에 대한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Visual Servoing)

  • Sim, Kwee-Bo;Oh, Se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B
    • /
    • v.33B no.1
    • /
    • pp.15-24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for visual servoing to control the pose(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robotic manipulators for grasping the 3-D moving object whose initial pose and moving informations are unknown by using the stereo camera. The stereo camera is mounted on the end-effector of robotic manipulator. In order to track the current pose of robotic manipulator to the desired pose, we use the image Jacobian, which is described by the differential transform, relating the change in image feature point to the change in the object's pose with respect to the camera. In this paper the simple PD controller is adopted for the robotic manipulator to track the desired pose.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confirmed by some computer simulations.

  • PDF

Self-Organizing Fuzzy Control of a Flexible Joint Manupulator (유연 관절 매니퓰레이터의 자기 구성 퍼지 제어)

  • 박준형;이시복;선용호;이길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a
    • /
    • pp.45-50
    • /
    • 1994
  • 최근의 로봇 매니퓰레이터는 고정밀, 고생산성, 유연성 자동화를 추구한다. 이에 따라 매니퓰레이터는 운동 정확성, 고속성,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어야 한다. 특히 매니퓰레이터 관절부의 탄성은 동적 변형 및 진동을 유발함으로써 운동 정확성과 안정성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이러한 복잡하고 불확실한 구조를 갖는 로봇 시스템의 고속, 정확한 운동 제어를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고급 제어 기법 및 제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응 방법으로 인간의 지식 처리 방법을 모방한 퍼지제어를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본다.

  • PDF

불확실한 파리메타를 갖는 매니퓰레이터의 적응보상기 설계

  • 유준;김성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134-142
    • /
    • 1991
  • 로봇 매니퓰레이터는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대개는 비교적 간단한 제너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제이시스템은 경우에 따라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매니퓰레이터의 성능에 대한 요구 가 증대됨에 따라 보다 개선된 형태의 제어기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매니퓰레이터의 동적모델은 복잡한 비선형 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모델파라메타에 불확실성이 흔히 존재 하고, 특히 Payload가 빈번히 변화하는 작업을 메니퓰레이터가 담당하는 경우, (불확실한) 동적모 델을 기반으로 하는 제어방식(Computed Torque Method)으로는 정밀한 성능을 보장받기가 매우 어렵다. 근자에 로봇 모델이 미지의 상수 파라메타에 관하여 선형적으로표현되는 점에 착안하여 파라메타 추정기구를 Computed Torque Method 에 도입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Fuzzy Sliding Mode Controller for a Robot Manipulator with Passive Joints (수동 관절을 가진 로봇 매니퓰레이터를 위한 퍼지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이용한 제어기)

  • Kim, Won;Kim, Min-Seong;Shin, Jin-Ho;Lee, Ju-J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3 no.1
    • /
    • pp.31-38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fuzzy sliding mode controller for a robot manipulator with passive joints. A robot manipulator with passive joints which is not equipped with actuators is a kind of underactuated systerms. The control of underactuated manipulators is more difficult than that of fully-actuated ones. Though the sliding mode control technique has a robust charocteristics to prrarreter uncertainties and external disturbances, the chattering phenomena becorne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application to the real plant. plant.

  • PDF

The Study on Position Control of a Flexible Robot Manipulator Using Fuzzy Neural Networks (퍼지신경망을 이용한 유연성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위치제어에 관한 연구)

  • Yeon Gyu Choo;Han Ho Tac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 /
    • v.23 no.4
    • /
    • pp.97-104
    • /
    • 1999
  • 본 논문은 퍼지신경망을 이용한 유연성 단일 링크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위치제어에 관한 논문이다. 제안된 퍼지신경망 모델은 전건부와 결론부에 퍼지집합을 갖는 퍼지규칙으로 구성된 퍼지모델을 표현하고, 퍼지추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유연성 로봇 매니퓰레이터에 대한 동적모델을 유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PID 제어기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제어기가 PID 제어기보다도 개선된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An Study on Particle Filter based Object Tracking for Robot Vision (로봇 비젼을 위한 파티클 필터에 기초한 물체 추적 기법 연구)

  • Park, Jung-Hoon;Park, Jin-Bae;Yoon, Tae-S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444-2446
    • /
    • 2004
  • 로봇 매니퓰레이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Forward/Reverse Kinematics를 정확히 알아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목적에 맞는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설계가 이루어진다. 만약 이 매니퓰레이터에 카메라가 장치되어 어떤 물체를 추적해야 한다면, 매니퓰레이터의 Kinematics와 카메라의 컨트롤이 적절하게 조합되어 물체 추적을 행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Particle Filter의 큰 주류인 SISR 방법을 소개하고, 이 방법을 화상카메라에 적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는 연구를 수행하려한다.

  • PDF

고장에 대한 내성을 갖는 로봇 매니퓰레이터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최근연구동향

  • 신규식;이병주;김희국
    • ICROS
    • /
    • v.2 no.3
    • /
    • pp.25-41
    • /
    • 1996
  • 본 고에서는 고장에 대한 내성을 갖는 로봇 시스템에 관련된 전반적인 연구분야에 대한 소개를 하였으며 구조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기술되었으나, 고장에 내성을 갖는 위치/속도 센서, 힘/토크 센서 그리고 로봇 제어에 관련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로봇 구성 요소들의 개발에 관한 연구,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수행중인 작업을 지속적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장회복을 위한 제어기법 등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 등에 대하여 매우 활발한 연구가 필요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고장에 대한 내성을 갖는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개발에 관한 중요성이 인식되어 국내에서도 높은 관심과 더불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 PDF

Adaptive Output Feedback Position/Force Tracking Control of Robot Manipulators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위치/힘 추종을 위한 적응 출력 피드백 제어)

  • Shin, Hyun-Seok;Lee, Geun-Ho;Lee, Sung-Ryul; Park, Chang-Woo;Park, Mign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c
    • /
    • pp.197-20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특정한 형태의 제약 즉, 매니퓰레이터의 자유도와 주어진 제약조건의 차원의 차이가 1이며, 매니퓰레이터의 동역학을 작업영역에서의 축차모델로 나타내었을 때, 변환행렬이 단위행렬로 나타나는 제약을 가지는 불확실한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위치/힘 추종을 위한 적응제어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제어기는 비선형 좌표변환을 통하여 얻어진 로봇의 축차모델(reduced-order model)을 이용하여 위치제어와 힘제어의 문제를 분리한다. 특히, 비선형 동적 필터를 이용하여 위치의 측정만을 필요로 하며, 적응제어 기법을 통하여 전역 점근적인 안정성을 보장한다.

  • PDF

Design of Driving Control Unit and Milking Robot Manipulator (착유로봇 매니퓰레이터와 구동제어장치 설계)

  • Shin, Kyoo Ja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9
    • /
    • pp.238-247
    • /
    • 2014
  • The milking robot system is very important to detect correctly the teats position in the moving condition of cow. Also, the robot manipulator must control tracking the teat cup to the detected teat position. The presented milking robot is designed using the one point laser sensor for teat position detection. The teats of cow are detect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and the manipulator has the function of 3 axes moving control unit. The presented teat detection method and the electrical driving manipulator have the advantages of a simple, low cost and very quiet. The designed manipulator is realized by the totally electrical motor and servo poison control algorithm with velocity PID compensation. The presented robot is realized using the teat detection unit, 4 teat cups, 3 axes robot arm, 6 servo motors and automatic milking control line. The designed robot is experimented in the cow farm and is satisfied with the designed performance specification for milking robot manipu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