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로봇 동력학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Near-Time-Optimal Path Planning of Mobile Robot Using Dynamic Programming (동적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자율이동로봇의 최소시간 경로계획)

  • Yoon, Hee-Sang;Park, Tae-H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355-356
    • /
    • 2008
  • 자율이동로봇의 기구학 및 동력학 모델을 통해 로봇의 특성을 고려하여 목표점까지 이동시간이 최소화 되는 경로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전역 경로를 골격선 그래프와 딕스트라알고리즘으로 설정하고, 로봇 기구학 및 동력학 제악조건을 고려하여 동적 프로그래밍으로 경로를 개선한다. 개선된 경로는 자율이동로봇이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 PDF

Sliding Mode Control with Bound Estimation for Robot Manipulators (경계 추정치를 가진 로봇 슬라이딩 모드 제어)

  • Yoo, D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0 no.8
    • /
    • pp.42-47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liding mode control with the bound estimation for robot manipulators without requiring exact knowledge of the robot dynamics. For the bound estimation, the upper bound of the uncertain nonlinearities of robot dynamics is represented as a Fredholm integral equation of the first kind and we propose an adaptive scheme which is only dependent on the sliding surface function. Also, we prove the asymptotic stability for the robot systems using two important properties in the robot dynamics: skew-symmetry and positive-definiteness of robot parameters.

Dynamics and motion control of an underactuated manipulator (비구동 관절을 가지는 매니퓰레이터의 동력학과 운동제어)

  • Yu, Kee-Ho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3 no.5
    • /
    • pp.476-481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비구동 관절을 가지는 2링크 매니퓰레이터의 동력학 해석과 운동제어를 제1적분을 기초로 하여 전개하고 있다. 매니퓰레이터의 운동이 제1적분의 적분상수에 의해서 기술되는 것을 보이고, 제1적분을 이용하여 매니퓰레이터의 동력학을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해석된 동력학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운동제어 알고리즘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고 있다. 끝으로 비구동 관절에 마찰이 작용하는 경우, 브레이크등의 보조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매니퓰레이터의 제어가 가능함을 보이고 있다.

  • PDF

Dynamic Modeling and Control of a Hybrid Locomotion Vehicle (복합형 이동로봇의 동력학적 모델링 및 제어)

  • 김형대;권대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447-1454
    • /
    • 1991
  • 본 로봇은 wheeled type과 legged type의 장점을 함께 가지고 있으므로 주행 속도가 빠르며 환경적응력이 좋다. 기존 로봇과 비교할때 Y.Icihkawa등이 개발한 HLV와 가장 유사하지만 모터 3개로 6개의 바퀴-다리 유닛을 구동하므로 모터15개로 5개의 바퀴-다리유닛을 구동하는 Ichikawa HLV와 동력전달구조에서 많이 상이하다. 뿐만아니라 본 로봇은 3개의 모터만 사용했기 때문에 주행제어가 훨씬 간단하고 제작 비가 저렴하며 장애물 및 계단승강시 걸음새가 훨씬 간단하다.(Ichikawa HLV 경우 뒷 쪽 2개의 다리를 동시에 들 수 없기 때문에 계단 승강시 몸체 회전을 적절하게 섞어야 한다.)

로봇 동력학

  • 김호룡
    • Journal of the KSME
    • /
    • v.28 no.2
    • /
    • pp.138-145
    • /
    • 1988
  • 본 글에서는 로봇의 운동학적 및 동력학적 문제를 풀기 위한 기본적 이론과 그 적용례를 들었다. 운동학적 고찰은 로봇 링크의 위치와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동차변환에 근거하여 이루어졌고, 기준좌표계와 조인트 좌표계사이의 정변환과 역변환이 정운동학과 역운동학적 과정에서 고찰되 었다. 동력학적 과정에서는 로봇은 능동기구로 간주하여 운동방정식이 유도되었으며 이 유도 과정에서 운동학적 분석결과가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살펴보았다. 한편 유도된 운동방정식이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정동력학과 역동력학적 과정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과정들은 로 봇의 설계, 모델링(simulation), 제어 등 연구에 기초이론으로 사용됨을 적용례를 통하여 보였고 일반적으로 정운동학, 역운동학, 역동력학, 정동력학의 순으로 전개됨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인 지하였다.

  • PDF

Study on Kinematics and Dynamics of the Modular Robot (모듈러 로봇의 기구학/동력학에 관한 연구)

  • 강희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9 no.11
    • /
    • pp.46-53
    • /
    • 2002
  • In order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robot's physical limitation to frequent changes in operational requirements, it is quite appealing to modularize its system components and allow them to be combined into various configurations to best suit the needs to a particular application. Several researchers have presented the concept of modular robot. In this paper, the kinematics and dynamics of modular robot are studied, which concretes the concept of modular robot. This study includes the selection of individual module, the definition of their parameters and the development of module based manipulate. analysis software package (MBMAP).

동력 의족의 기술 동향

  • Gyeong, Gi-Yeong;Lee, Yeong-Sam
    • ICROS
    • /
    • v.21 no.2
    • /
    • pp.31-38
    • /
    • 2015
  • 의족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하지의 일부를 상실한 사람의 신체를 대신하는 보조기구이며, 의족의 가장 이상적인 목표는 사람의 신체를 온전히 대체하는 것이다. 기존의 수동 의족은 신체의 구조적인 해석과 기계적인 에너지 보존을 통하여 절단 환자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선에서 그쳤지만, 최근에는 로봇 공학과 반도체 공학 등 다양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의족에서도 동력을 사용하여 근육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기술 논문에서는 하지 절단 환자를 보조하기 위한 동력 의족을 사람의 신체와 비교하여 어떤 기구적인 제약조건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고, 정상인의 보행과 동력 의족의 구동 알고리즘을 비교함으로써 동력 의족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한 상태 제어기의 한계점에 대해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근전도를 활용한 동력 의족을 통해 새로이 시도되고 있는 의지적 제어에 대해 소개하고, 동력 의족의 연구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 PDF

Design of a Robust Controller of Robot Manipulators Using Vision System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강인 제어기 설계)

  • Lee Young Chan;Jie Min Seok;Baek Joong Hwan;Lee Kang Wo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1 no.1
    • /
    • pp.9-16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controller for robot manipulators with parametric uncertainties using feature-based visual servo control system. In order to improve trajectory error of the robot manipulators due to the parameter variation, integral action is included in the dynamic control of part in inner subroutine of the control system. This integral action also reduces feature error in the steady state. The stability analysis of the closed-loop system is shown by the Lyapunov metho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shown by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on the 5 link robot manipulator with two degree of freed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