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로봇이용교육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Reactivation Methods of Robot Using Educ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중등학교에서 로봇이용교육 활성화 방안)

  • Ma, SookHee;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507-510
    • /
    • 2009
  • 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로봇에 대한 내용이 교과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 기관의 영재 교육 기관에서도 로봇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로봇 이용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도 향상과 창의력 향상에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학교에서 방과 후 교육에서 로봇교육을 일부 많이 실시하고 있지만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이용 교육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는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가 남학생에 비해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 이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위한 기초 연구로 중등학생의 로봇이용교육의 실태를 분석한다. 특히 여학생들의 로봇 이용 교육에 대한 실태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Development of Robot Based Curriculum for a University Education (대학에서 로봇이용교육 교육과정 개발)

  • Lho, Young-Uhg;Jung, Du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473-476
    • /
    • 2008
  •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과 탐구력, 문제해결력, 창의성을 갖춘 인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인재를 키우는 것이 한 나라와 사회의 미래를 결정 짖는 핵심적이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이용교육과정을 제시한다. 그리고 개발된 교육과정에 따라 강좌를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상태로 설문 조사하고 이에 대한 분석과 개선점을 제안한다.

  • PDF

Education Based Robot for Improving Initiativeness (창의력 향상을 위한 로봇 이용 교육)

  • Lho, Young-Uhg;Jung, Du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117-120
    • /
    • 2008
  •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과 탐구력, 문제해결력, 창의성을 갖춘 인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인재를 키우는 것이 한 나라와 사회의 미래를 결정 짖는 핵심적이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의 요소들을 분석하고 초중등학교에서의 로봇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동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대학에서 로봇 이용 교육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로봇이용 방법론을 제안한다.

  • PDF

Design of Programming Education Model Utilizing Robot for Enhancement of logical thinking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모형 설계)

  • Chae, Jae-Ho;Yoo, In-H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189-19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교육을 위한 문제해결력 증진과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해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도구로써 교육용 로봇의 이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개정된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에 맞추어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방법의 개선에 기여하고자한 학기 10주 동안의 과정으로 교육모형을 설계하여 제시함으로써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하여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 PDF

Robot-Assisted Learning using Educational Service Robots (교육 서비스 로봇을 활용한 로봇보조학습)

  • Han, Jeong-Hye;Jo, Mi-He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43-346
    • /
    • 2010
  • 최근 지능형 교육서비스로봇을 이용한 교육적 효과가 입증되면서, 유치원에 상용화가 시작되었으며, 2010년에는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 영어수업을 위한 기술 개발과 필드 적용 연구가 진행되어 로봇보조학습, 즉 서비스로봇에 의한 r-Learning 패러다임의 본격적인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로봇의 개념과 종류를 정의하고,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 PDF

Unifing Robot Control Programming Language And Dolittle Using Robot Objects (두리틀 로봇 프로그래밍 일원화를 위한 로봇 객체 설계)

  • Kwon, Dai-Young;Yeum, Yong-Cheul;Yoo, Seoung-Wook;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6
    • /
    • pp.23-32
    • /
    • 2005
  • Dolittle is a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that helps students learning principles and concepts of computer science with programming. Learning programming with robot improve learning achievements robot motivate to be interest with programming. However, Dolittle robot programming is a different from Dolittle programming in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execution mechanism. Therefore, students have virtually to learn two languages to control robot and it would reduce the worth of Dolittle as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tried to Unify Dolittle and robot control language using parser that Dolittle program with turtle object convert robot program. But this try couldn't overcome completely this problem because attributes of turtle object is different from robot. In this research we unified Dolittle programming and Dolittle robot programming as a way of adding new robot object in dolittle standard object group. it would improve educational effect of learning programming with robot in Dolittle.

  • PDF

Development of Robot Based Curriculum for an University Education (대학에서 로봇이용교육 교육과정 개발)

  • Lho, Young-Uhg;Jung, Deok-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11
    • /
    • pp.2125-2130
    • /
    • 2008
  •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it is necessary that a talent person have the thinking and exploring power,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Bring up the students to be the talent persons determine the future of a country and a society.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Robot based curriculum for an university education. We instructed the university students the curriculum. And we examined on the questions to the student, analyzed the results and proposed the improvement.

A Study on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Robot Curriculum by analyzing Foreign Cases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한 로봇교육과정의 발전방향 모색)

  • Ryu, Yeong-C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157-164
    • /
    • 2007
  • 로봇은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요구하는 기초 능력과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학습을 충족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로봇교육은 공학적으로 여러 기술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통합적인 기초 교육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학습 내용, 학습 방법 및 학습 교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외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로봇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 분석 결과 로봇을 통해 기초 능력과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목표를 체계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로봇의 특성과 관련된 과학, 수학, 기술, 공학의 내용 요소들을 추출하며 로봇소양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로봇활용에 대한 내용으로도 구성해야 하며 로봇 창작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순한 로봇 조립보다는 창작 및 프로그래밍의 과정이 이루어질 때 효과적으로 학습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 Robot Programing Curriculum for Elementary Gifted Children (초등 정보영재를 위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육과정 개발)

  • Kim, Shin-Yup;Yoo, In-H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173-178
    • /
    • 2007
  • 정보영재를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방법의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래밍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잠재적인 교육효과가 크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교육은 컴퓨터 정보영재 교육과정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본 연구는 정보영재들에게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할 때 프로그래밍 교육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도구로 로봇을 소개하고, 로봇을 이용한 체계적인 로봇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의 개발로 문제해결력, 창의력, 사고력, 판단력 등의 고등인지기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Robotics Education to Programming Education Using Meta-Analysis (메타 분석을 이용한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의 효과 비교)

  • Yang, Changm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3
    • /
    • pp.413-422
    • /
    • 2014
  • The positive impacts of robotics education and programming education on learners are similar. However, robotics education differs from programming education because it includes purchasing and building robots that cause financial and cognitive load of learners. Due to these differences, two kinds of education may not possess equal efficacies for all schools or all learning objectives. To verify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meta-analysis of studies on robotics education published in South Korea to estimate the effect sizes and compare it to that of programming educ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effect sizes of robotics education and of programming education was significant, as the former was 0.4060 and the latter 0.6664. The average effect size of programming education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robotics educati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d the highest results in both robotics education and programming education. Also, robotics education became more effective than programming education as students were older. Analysis on objectives showed that programming education uniformly affected all areas, whereas robotics education had more impact on affective domain than cognitive domain. Robot construction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robot construction and programming, robot programming, and robot utilization. Programming education has larger positive impacts on students overall compared to robotics education. Robotics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o upperclassmen than programming education, and improves affective domain of students. Also, robotics education shows higher efficacy when combined with various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