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로봇운용시스템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Design of Embedded Integration Prototyping System for Practical Use of Smart-Phone (네트워크 기반의 예약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Kang, Sin-Kwan;Kim, Jung-Eun;Kang, Hee-Kuk;Lee, Hyun;Lee, Dong-Ha;Lee, Je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807-809
    • /
    • 2012
  • 최근 스마트폰 사용의 활성화로, 스마트폰 기반의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는 IT 기술들과 타 산업과의 융합 산업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앱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형 행사장과 같은 많은 인원이 모이는 곳에서 인원을 통제하거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많이 발생하는데, 스마트폰 앱 설계 및 개발을 통하여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예약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실제 스마트폰 앱 개발에 앞서, 사전 프로토타이핑을 통해서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rveillance and Combat Robot Using Smart 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찰 및 전투 로봇의 설계와 구현)

  • Kim, Do-Hyun;Park, Young-Sik;Kwon, Sung-Gab;Yang, Yeong-Y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8 no.5
    • /
    • pp.93-98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urveillance and combat robot framework for remote monitoring and robot control on the smart phone, which is implemented with the fusion technology called RITS(Robot technology &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In our implemented system, the camera phone mounted on the robot generates signals to control the robot and sends images to the smart phone of the operator. Therefore, we can monitor the surrounding area of the robot with the smart phone. Besides the control of the movement of the robot, we can fire the weapons armed on the robot by sending the fire command. From experimental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it's possible to control the robot and monitor the surrounding area of the robot and fire the weapons in real time in the region where the 3G(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addition, we controlled the robot using the 2G mobile communication or wired phone when the robot is in the visual range.

Teleoperation of an Internet-Based Mobile Robot with Network Latency (데이터 전송 지연을 고려한 인터넷 기반 이동 로봇의 원격 운용)

  • 신직수;류은태;강근택;주문갑;이원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52-55
    • /
    • 2004
  • 오늘날 필드버스(fieldbus), 인터넷 그리고 무선통신 등을 이용한 원격 제어 기술이 급격히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거리 네트워크 기반 제어는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지연이 불가피하며, 또한 이 지연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지연은 시스템의 안정성이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다. 잘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상의 데이터 전송 지연을 고려한 이동 로봇의 원격 운용을 위해 TSK(Takagi-Sugeno-Kang) 퍼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송 지연의 확률 분포 함수와 네트워크 모델을 구하고 이를 전송 지연 예측 알고리듬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제안된 알고리듬의 실효성을 검증하고, 기존의 예측 알고리듬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and data operations of the robot workcell using the fieldbus (필드버스를 이용한 로봇웍셀의 구현과 자료운용)

  • 박세웅;김동준;김대원;이호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10b
    • /
    • pp.1249-1252
    • /
    • 1996
  • With the expans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CIM and the IMS, the importance of introduc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being increased. This paper presents an implementation of robot workcell by using Fieldbus and investigates data operation of the robot workcell. Through experiments, the operations of periodic and real-time data, and non-periodic real-time data are studie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work transmission rate and the monitoring results from the sensor is analyzed.

  • PDF

A Task Planning System of Steward Robot for Human-friendly Human-Robot Interaction (인간 친화적 로봇 상호작용을 위한 집사 로봇의 작업 관리 시스템)

  • Kim, Yong-Hwi;Lee, Hyong-Euk;Kim, Heon-Hui;Park, Kwang-Hyun;Bien, Zeung-Na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228-234
    • /
    • 2007
  • 한국과학기술원 인간친화복지로봇 연구센터에서 개발 중인 ISH(Intelligent Sweet Home)는 다양한 서비스 로봇 및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Human-Machine Interface)를 통해서 노약자 및 장애인의 일상 생활을 도와 줄 수 있는 지능형 주거 공간이다. ISH에서는 홈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가전 기기 및 환경 정보 취득이 가능한 센서 장비, 그리고 지능형 침대, 휠체어, 이동 보조 로봇 등이 거주자가 독립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노약자 및 장애인의 관점에서 서비스 양의 증가뿐만 아니라, 이를 쉽고 편하게 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질의 측면 또한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ISH에서는 집사 로봇(steward robot)의 개념을 도입하여 거주자와 복잡한 시스템의 효율적인 매개체로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추구하기 위한 공학적인 접근방법 중의 하나로, 본 논문에서는 집사 로봇의 작업 계획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 계획 시스템을 이용하여, 집사 로봇은 사용자의 상위 레벨 명령을 해석하여 각 로봇 또는 제어 가능 개체들을 제어하게 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STRIPS(STanford Research Institute Problem Solver) 상태 표현 방법과 그래프계획(Graphplan) 방법에 기반하여 작업 계획을 수행한다. 또한 작업 계획 속도를 증가 시키기 위하여 공간 추상화(world abstraction)와 하위 목표 계획(subgoal planning)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ISH에서 정의된 시나리오를 이용한 상위 레벨 명령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증하도록 한다.

  • PDF

Attitude Control of the Unmanned Robot System Using Disturbance Observer (외란관측기를 이용한 무인로봇시스템의 자세 제어)

  • Chang, Yu-Shin;Keh, Joong-Eup;Lee, Man-Hy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864-1865
    • /
    • 2006
  • 무인지능형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자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시스템의 자세 제어는 사용되는 모터의 위치 제어로 대응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운용 시에 충격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충격 진동 외란을 잘 제거해야 요구되는 위치 정도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로봇 제어 분야에서 불확실한 로봇에 대한 자세 제어 분야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분야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계산 토크 방식에 기초한 선형 제어 기법이나 적응 제어 기법, 강인 제어 기법 등을 이용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기법은 일반적으로 로봇의 정확한 동력학식을 알아야 하며, 구현하기 복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적응 규칙에 의하여 모델의 불확실성, 시스템의 변화, 외란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칭 플랜트와의 오차를 보상하도록 제어 입력을 생성하는 내부 루프 부분과 공칭 플랜트 모델의 명령을 추종하도록 하는 제어 입력을 생성하는 외부 루프 부분으로 구성되는 방법인 외란관측기(Disturbance OBserver : DOB)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프로세서의 신뢰성과 수치 연산 및 알고리즘의 빠른 처리를 위해 현재 사용 빈도가 높은 TI사의 DSP시리즈 중에서 부동 소수점 연산 기능을 가지면서 모터 제어에 적합한 TMS320C2000계열의 TMS320F2812을 사용하여, 운용 시 발생되는 진동 둥에 대한 외란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규명된 시스템 모델식을 바탕으로 DOB 제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PMSM 모터모델 시뮬링크 블록을 구성하여 검증된 외란 관측기 제어 알고리즘을 검증한다. 시뮬레이션으로 검증된 DOB 모터 자세 제어 알고리즘을 DSP에 적용하기 위해 코드변환하고 모터 실험 시스템에 실제 적용함으로써 타당성을 검증하여 상용 제어기로 실제 현장에 적용 가능함을 입증한다.

  • PDF

관성항법장치 고장검출 기법 기술동향

  • Kim, Cheon-Jung;Park, Heung-Won;Yu, Jun
    • ICROS
    • /
    • v.17 no.4
    • /
    • pp.21-26
    • /
    • 2011
  • 관성항법장치는 항공기, 유도탄 잠수함과 같이 항법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항법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관성항법장치가 정상동작하는 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것은 관성항법장치 적용 시스템의 운용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를 관성항법장치 고장검출 기법이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관성항법장치의 고장검출 기법에 대한 기술동향을 조사하였다. 관성항법장치 고장검출 기법의 기술동향은 관성항법장치 기술동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거나 혹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주요 관성항법장치의 기술분석을 통하여 고장검출 기법의 기술동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자율무인잠수정 운항기술 발전 동향

  • Seo, Ju-No;Kim, Do-Wan;Lee, Ho-Jae
    • ICROS
    • /
    • v.17 no.2
    • /
    • pp.36-46
    • /
    • 2011
  • 자율무인잠수정(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UV)은 미국을 중심으로 1980년대부터 다양한 수중관련 기술의 발전과, 민군의 사용분야가 증가되면서 급속한 발전의 진전을 보았다. 특히, 과학기술의 발전과 군의 전투개념 변화로 요구되는 무기체계도 급속히 변화되면서 자율무인잠수정이 핵심무기체계로 부상하게 되었다. 군에서 효율적인 전장 관리와 사회의 인명 중시 경향은 무기체계를 유인시스템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자율무인잠수정은 심해저 자원탐사, 해양조사 등 민수분야뿐만 아니라 해군의 정보전, 기뢰전, 그리고 대잠전과 같은 성분 작전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기고에서 1994년부터 자율무인잠수정 종합발전 계획을 수립하여 개발하고 있는 미 해군 운용개념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미래 우리 해군에서 자율무인잠수정의 개발 및 운용을 위하여 필요한 핵심 기술을 자율제어, 센서 및 신호처리, 진수 및 hgl수. 수중항법, 수중통신, 그리고 에너지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기술발전 동향을 고찰하고 기술개발을 제안하였다.

An expert system for controlling CIM operation (CIM 공장의 운용 통제 전문가 시스템)

  • 김성식;이태진;김재만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2.10a
    • /
    • pp.801-805
    • /
    • 1992
  • Due to the inherent complexity in the CIM operation, achieving the triple, meeting duedates, maximizing machine utilization, and maximizing system throughput simultaneously is practically impossible. Targeting the small-to-medium size industries of Korea, we propose an exrert system that 'provides a good and practical solution to the CIM operation problems. Heavy consideration has given to the real-time and dynamic nature of CIM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ystem. The system is under testing stage at KU-FMS, model CIM plant.

  • PDF

Handling of Exceptions for Robust Intelligent Service Robots (실패 및 오류 상황의 효과적인 극복을 위한 지능형 서비스 로봇 시스템 개발 방법론)

  • Kwak, Byul-Saim;Park, Chun-Sung;Lee,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335-338
    • /
    • 2011
  • 지능형 서비스 로봇은 일상의 환경 내에서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로봇 환경은 매우 복잡하고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로봇의 크기나 비용, 기술의 한계 등으로 인해 로봇 작업의 실패나 오류와 같은 예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예외 상황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지능형 서비스 로봇 시스템 개발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 방법론은 프레임워크 형태로 정의되며 예외 모델과 대응 계획, 예외 극복 방법으로 구성된다. 예외 모델은 계층 구조로 정의하여 다양한 예외 상황을 일반화시키고, 대응 계획은 신속한 상황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예외 모델과 대응계획이 극복 방법에 독립적으로 정의되어 로봇 지식으로 활용되므로 운용 중에 지속적인 추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