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로드밸런싱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47초

듀얼 프로세서 기반 DPI (Deep Packet Inspection) 엔진을 위한 효율적 패킷 프로세싱 방안 구현 및 성능 분석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Efficient Packet Processing Method For DPI (Deep Packet Inspection) System using Dual-Processors)

  • 양준호;한승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4호
    • /
    • pp.417-422
    • /
    • 2009
  • 특화된 하드웨어의 도움 없이 범용 다중 프로세서 플랫폼에서 DPI(Deep Packet Inspection)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은 비용 측면에서 매력적이다. 문제는 성능인데, 일반적으로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작업들을 여러 프로세서에 적절하게 배분하는 로드밸런싱 방법과 DPI 프로세싱 전용 개별 프로세서를 지정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 시킨다. 그러나, 우리는 DPI 시스템의 경우 위와 같은 단순한 프로세서 통제 방안이 반드시 최선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프로세서에 할당한 후, 프로세서 상태에 따라 역할을 변경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우리는 제안하는 방식을 리눅스 기반 듀얼 프로세서 시스템에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기존의 로드밸런싱 방식과 비교하였다. 제안된 방식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는 인터럽트 처리를 포함한 일반적 패킷 프로세싱 역할만을 담당토록 하고 다른 프로세서는 DPI엔진을 전담하도록 역할로 분리시켜 캐시접근실패 (cache miss) 과 스핀락(spin lock) 발생빈도를 낮추었으며, DPI 전담 프로세서가 처리한계에 이르렀을 경우에는 두 프로세서 모두 DPI를 위해 자원을 사용토록 하여, 기존의 리눅스 로드 밸런싱 방식 DPI 시스템 대비 약 60%의 성능향상을 달성하였다.

차량 엣지 컴퓨팅 네트워크에서 로드 밸런싱을 위한 UAV-MEC 오프로딩 및 마이그레이션 결정 알고리즘 (UAV-MEC Offloading and Migration Decision Algorithm for Load Balancing in Vehicular Edge Computing Network)

  • 신아영;임유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12호
    • /
    • pp.437-444
    • /
    • 2022
  • 최근 무선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계산 집약적이고 지연시간에 민감한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해 모바일 엣지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상에 고정되어 있는 MEC는 출퇴근 시간과 같이 태스크 처리 요청이 일시적으로 급증하는 상황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AV(Unmanned Aerial Vehicle)를 추가로 이용해 모바일 엣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UAV는 지상 MEC 서버와 달리 배터리 용량이 제한되어 있어 UAV MEC 서버 간 로드 밸런싱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최적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UAV의 에너지 상태와 차량의 이동성을 고려하며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태스크 오프로딩과 Q-learning 기반의 태스크 마이그레이션을 통한 로드 밸런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차량 속도와 수에 따른 실험을 진행하고, 로드 분산, 에너지 사용량, 통신 오버헤드, 지연 시간 만족도 측면에서 성능을 분석하였다.

모바일 기기를 지원하는 iSCSI 기반의 원격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로드 밸런싱 기법 구현 (Efficient Load Balancing method for Mobile Applicable iSCSI based Remote Storage Service)

  • 강정훈;최원일;박명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D)
    • /
    • pp.190-192
    • /
    • 2006
  • 모바일 기기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그에 따른 서비스의 수요증가로 인해 기존 유선 환경에서 제공되던 서비스를 모바일 환경에서도 그대로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와 같이 대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및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블록 단위의 입출력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한정된 저장 공간과 무선 환경이라는 제한된 특성을 가진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Multi-Connection[1]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있어 연결된 Connection이 끊기는 경우, 복구를 수행하는 동안 다른 Connection들을 통해 전송하려는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전송하기 위한 iSCSI 기반의 원격 스토리지 시스템[2]의 로드 밸런싱 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 PDF

로드 밸런싱 Active-Active 방식의 웹 서버 이중화 구축 및 결함내성 시험 (Implementation and Fault-tolerance Tests of Load Balanced and Duplicated Active-Active Web Servers)

  • 최재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3-7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Active-Active 방식의 웹서버 이중화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Rsync과 crontab을 이용하여 웹서버간에 주기적인 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켰다. 로드밸런싱서버가 웹서버를 교대로 실행하여 부하를 분산하고, 빠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였다. 또한 임의의 웹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또 다른 웹서버에 의해 서비스가 계속 유지되도록 하였다.

Web GIS 클러스터링 시스템에서 질의 영역의 인접성을 이용한 로드 밸런싱 기법 (Load Balancing Method Using Proximity of Query Region in Web GIS Clustering System)

  • 장용일;이찬구;이충호;이재동;배해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214-216
    • /
    • 2001
  • 웹 GIS에서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의 집중 현상으로 발생하는 서버의 과부하 현상을 막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웹 클러스터링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공간 질의는 웹 데이터와는 달리 인접 영역에 대한 질의가 매우 잣으며, 질의 처리 결과가 대용량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공간 질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서버에서 처리되는 질의들의 지역적 인접성이 낮아지고 낮은 버퍼 재 사용율은 디스크로의 접근 빈도를 높여 질의 처리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웹 GIS 클러스터링 시스템을 위한 질의 영역의 인접성을 이용한 로드 밸런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공간 데이터를 타일을 기반으로 인접한 타일의 그룹을 생성하여 각 서버에 할당하여, 질의 영역 및 공간 연산을 고려하여 서버에서 질의가 처리되는 동안 버퍼 재사용율이 최대가 되도록 클라이언트의 질의 요청을 적절한 서버에 전달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서버의 버퍼를 공간 인덱스 탐색에 최적화함으로써 서버의 버퍼 재상용율을 높이고, 클러스터링 시스템에서 디스크의 접근 횟수를 낮추어, 전체적인 서버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형상시킨다.

  • PDF

HEVC 타일 병렬 부호화시 로드 밸런싱 방법 (Load Balancing Method for HEVC Tile Encoding)

  • 정순흥;김연희;석진욱;김휘용;최진수;박현욱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0-20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HEVC 타일 병렬 부호화시 타일간 로드 밸런싱을 통해 부호화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HEVC 는 병렬 부호화를 통한 부호화기 속도 향상을 위해 타일 단위의 부호화 기법을 제공한다. 하지만, 타일로 나누어진 영역의 부호화 시간 차이는 병렬 부호화를 통한 속도 개선 효과를 감소시킨다. 제안된 방법은 타일간 부호화 시간차이를 고려하여 부호화 옵션을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부호화 효율 감소대비 부호화 속도 성능을 개선하였다.

  • PDF

동적 로드 밸런싱을 이용한 그리드 기반의 생물학 데이터 마이닝 (Grid-based Biological Data Mining using Dynamic Load Balancing)

  • 마용범;김태영;이종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81-89
    • /
    • 2010
  • 생물학 데이터 마이닝은 생물학 데이터의 볼륨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최근 주목받고 있다. 그리드 기술은 계산 자원과 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 논문에서는 생물학 데이터 마이닝과 그리드 기술을 결합한 혼합형 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생물학 데이터 마이닝의 처리 효율성을 위해 결정 범위 조정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우리는 이 알고리즘을 통해 빠르고 자동으로 신뢰할 만한 데이터 마이닝 인식률을 얻는다. 게다가 그리드 환경에서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자원들을 연동하기 때문에 통신량과 자원 할당이 이슈가 된다. 우리는 동적 로드 밸런싱을 제안하고 그리드 기반 생물학 데이터 마이닝 기법에 적용한 다. 성능 평가를 위해 우리는 평균 처리 시간, 평균 통신 시간, 평균 자원 활용도를 측정한다. 측정 실험의 결과는 제안된 두 알고리즘을 적용한 우리의 기법이 처리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WebRTC 환경에 데이터 스트리밍 및 사용자 요청에 따른 동적로드 밸런싱 방법 (A Dynamical Load Balancing Method for Data Streaming and User Request in WebRTC Environment)

  • ;박상현;장종현;박재형;김진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81-592
    • /
    • 2016
  • WebRTC는 웹과 모바일과 같이 여러 플랫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WebRTC의 현재 기술은 peer와 시그널링 서버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많은 양의 큰 스트리밍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적로드 밸런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 흐름 전달을 제공함으로써 문제를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요청하는 소스를 분석하고 이러한 스트리밍 요청을 로드 밸런싱 구성 요소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구성 요소는 요청된 리소스와 사용가능한 리소스의 양을 응답 서버에서 결정한 후 스트리밍 데이터를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병렬 또는 교대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도구 OPNET을 사용하여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을 시연 후 우분투 서버에 적용하여 구현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도출된 결과와 WebRTC의 구현을 비교하여 제안함으로써 기존 방법보다 효율적이고 동적으로 수행되는 지를 보여준다.

머신러닝을 이용한 선제적 VNF Live Migration (Proactive Virtual Network Function Live Migration using Machine Learning)

  • 정세연;유재형;홍원기
    • KNOM Review
    • /
    • 제24권1호
    • /
    • pp.1-12
    • /
    • 2021
  • VM (Virtual Machine) live migration은 VM에서 동작하는 서비스의 downtime을 최소화하면서 해당 VM을 다른 서버 노드로 이전시키는 서버 가상화 기술이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서는 로드밸런싱, 특정 위치 서버로의 consolidation 통한 전력 소비 감소, 서버 유지보수(maintenance) 작업 중에도 사용자에게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VM live migration 기술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장 및 장애 상황이 예측되거나 그 징후가 탐지되는 경우, 예방 및 완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두 가지 선제적(proactive) VNF live migration 방법을 제안하며, 첫 번째 방법은 서버 로드밸런싱에 VNF live migration 기법을 사용하며 두 번째 방법은 고장 예측에 기반하여 고장 회피 목적으로 VNF live migration을 사용한다. 선제적 migration을 위한 예측에 머신러닝(기계학습)을 활용하며 실험을 통해 그 실효성을 검증한다. 특히 두 번째 방법에 대해 vEPC (Virtual Evolved Packet Core)의 고장 상황을 case study한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