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레코드 연결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9초

효율적인 NDB 설계 및 유통 정보 NETWORK 활성화 방안 (The Activation Plan of Chain Information Network And Efficent NDB Design)

  • 남태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3-94
    • /
    • 1995
  • 본 논문은 유통정보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효율적인 NDB(Network Data Base)을 설계하였다. NDB(Network Data Base)의 구조는 논리 구조, 격납 구조, 물리 구조로 형성되어 데이터는 하나의 레코드로서 표현되고 데이터들 간의 관계는 링크로서 표현되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표현한 자료 구조도(Data Structure Diagram:DSD)가 계층 모델로 나타내었다. 각 노드는 레코드 타입을 나타내었고, 타입들을 연결하는 방향을 지닌 링크, 논리적인 격납 형태로 구성되어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데 물리 매체상 서로 연관성 있게 설계되어 자료의 검색과 억세스 효율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설계된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네트워크 표준화를 위해 OSI 환경하에서 POS(Point Of Sale)시스템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유통 정보 네트워크를 활성화시켰다.

  • PDF

FRBR 모형의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option of the FRBR Model)

  • 이성숙;김태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95-220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관련 저록간의 서지적 관계를 계층화하여 효과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IFLA의 FRBR 모형의 개념과 응용사례에 나타난 문제점을 검토한 후. 모형에 반영된 기본표목의 관점을 배제하구 관련 저작의 연결장치로서 ISTC를 도입하여 FRBR 모형을 M-FRBR 모형으로 수정하였다 수정된 M-FRBR 모형을 한국문학작품에 적용하여 그 활용성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MODS의 데이터 요소를 재조정하여 레코드 형식을 개발하고 서지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다국어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 형식에 관한 논의 (Discussion on the Forms of Authorized Access Points Representing Multilingual Work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23-147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거대한 서지구조에서 개체를 식별하고 개체 간의 관계를 연결하는데 있어 핵심적 요소인 전거형 접근점에 대해 우리 도서관계가 어떠한 관점으로 접근해야 하며, 더불어 전거형 접근점은 어떠한 형식이 보다 바람직한지에 대해 폭넓게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KCR 2판 이후로 관련 논의조차 전무하였던 접근점의 개념이 오늘날의 정보환경에서 재조명되고 있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2) 국제목록원칙과 최근의 새로운 목록규칙에 반영된 전거형 접근점의 개념과 관련 규정을 분석한 후, (3) 우리의 목록레코드에 반영되어 있는 접근점의 실체를 추적해가면서, (4) KCR 4판의 개정 작업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다국어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의 형식, 그 중에서도 문자 형식에 대해 (1) 원어 형식, (2) 한글 형식, (3) 번자 형식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Microsoft SQL Server 삭제 이벤트의 데이터 잔존 비교 (Comparison of Remaining Data According to Deletion Events on Microsoft SQL Server)

  • 신지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23-232
    • /
    • 2017
  • Microsoft SQL Server의 데이터 복구와 관련된 그간의 연구는 삭제된 레코드가 트랜잭션 로그에 존재하는 경우를 바탕으로 복원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관련 트랜잭션 로그가 존재하지 않거나 물리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Server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적용하기 곤란한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범죄 과정에서 용의자가 delete 외 다른 이벤트를 이용하여 삭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삭제된 레코드의 잔존을 확인하여 복구 가능성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Microsoft SQL Server 물리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구조를 기초로 데이터 삭제가 수행되는 delete, truncate, drop 이벤트에 따른 Page 할당정보 유지 여부, 미할당 삭제데이터 존재 여부, 페이지 내 행오프셋 배열 정보의 변화를 실험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포렌식 조사 시 관리도구 이용 가능성 및 데이터 복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미세 단위 로킹을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공유 시스템에서 빠른 회복 기법 (A Fast Recovery Scheme for Database Sharing Systems with Fine Granularity Locking)

  • 조행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2호
    • /
    • pp.223-233
    • /
    • 1999
  • 데이터베이스 공유 시스템(Database Sharing System : DSS) 은 고성능의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제안된 구조이다. DSS에서 고속의 통신망으로 연결된 노드들은 별도의 메모리와 운영체제, 그리고 DBMS를 가지며, 데이터베이스르 저장하고 있는 디스크는 모든 노드에 의해 공유된다. 빈번한 디스크 액세스를 피하기 위해 각 노드는 자신의 메모리 버퍼에 최근에 액세스한 페이지들을 캐싱한다. 본 논문에서는 레코드와 같은 미세 단위의 로킹을 지원하는 DSS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정확한 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회복 기법인 DRCP(Database Recovery using Cached Pages)를 제안한다. DRCP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다른 노드에 캐싱된 페이지의 내용을 참조하여 회복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크 액세스 수와 회복 과정에서 필요한 로그 스캔의 범위를 줄일 수 있고 , 그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빨라 복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디지털 특수자료를 위한 XML 스키마 기반의 메타데이터 표현 체계 (A Metadata Representation Scheme based on XML Schema for Special Digital Collections)

  • 오삼균;채진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9-131
    • /
    • 2004
  • 정보자원의 전달 매체와 형태가 다양화됨에 따라서 이에 대한 관리방법 또한 다양화되어 왔다. 도서관 환경에서는 정보자원를 위한 관리방법으로서 AACR, KCR 등의 목록규칙이 정립되었으며 이러한 목록규칙에 근거한 정보자원관리를 자동화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로서 MARC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MARC 레코드는 서지 레코드가 지니고 있는 의미적 관계의 표현을 지원하지 못하는 구조적 경직성으로 인해 다양하고 상이한 기술적 특성을 지니는 정보자원들을 적절히 기술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즉, MARC의 기본 설계 목적이 몇몇 정보유형에는 비교적 적합하더라도 새로운 형태의 정보유형의 다양성을 지원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MARC를 활용한 정보자원 관리 방식에서는 정보자원 간 연결 관계의 표현을 지원하지 못한다. 즉, MARC의 데이터 모델은 자원기술의 대상을 단일의 객체로 파악하는 단층 데이터 모델이기 때문에 여러 객체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다층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정보자원 기술이 필요한 경우는 적절치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 데이터 모델을 지원하는 IFLA FRBR 기본 모델을 기초로 하여 전자도서관에서 사용되는 고서, 고문서, 음악 자료, 학술회의 및 세미나 자료의 관리에 있어서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메타데이터 모델과 이에 대한 XML 스키마 기반의 표현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울진원자력발전소(原子力發展所) 자료관리업무(資料管理業務) 전산화(電算化) 연구(硏究)(I) (A Design of Computerizing System for Record Management of ULJIN Nuclear Power Plant)

  • 박용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54-169
    • /
    • 1987
  • 본 논문은 울진 원자력 발전소 건설현장의 자료관리업무를 검토, 분석하여 전산화 대상업무의 논리체계를 세워 카드장표에 의한 수작업 관리방법을 전산 자동화처리가 가능하도록 시도한 것이다. 마스타화일의 레코드구조는 서지데이타, 자료송부관련데이타, 배부관련데이타, 구역구분데이타, 건설후 자료관리 데이터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배부, 화일, 검색업무 및 통계, 보고서 출력업무의 논리체계를 설계하였다. 특히 건설중의 자료관리목적이외에 건설후 자료관리를 위한 색인매개요소로서 시스템코드, 한전설비분류번호, 자재연결코드, 보존기간 등을 건설중의 자료입수 시점에서 입력하도록 설계하여 발전소 운전중의 자료검색요구를 사전에 준비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자료관리시스템과 자재관리시스템 사이에서의 상호참조가 용이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한 메타데이터 통합 프레임워크 구축 (Construction of Framework for Metadata Integration Using Master Data Approach)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01-225
    • /
    • 2013
  • 메타데이터 요소들 사이의 매핑에 기반한 현재의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접근방식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한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접근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메타데이터 요소가 아닌 요소의 값을 기준으로 동일한 값을 지니는 요소를 마스터 요소를 중심으로 통합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마스터 요소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계층적인 형태로 의미적으로 통합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 레코드 사이의 상호연결을 확보함으로써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메타서비스 (Meta Service for Data Transfer between Applications on Android Platform)

  • 최화영;박상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A)
    • /
    • pp.104-107
    • /
    • 2011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높은 개방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처리는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메커니즘에는 클립보드, 인텐트 그리고 컨텐트 프로바이더 등이 있다. 클립보드는 윈도우즈의 클립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스트링 타입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어 다양한 데이터 처리에는 활용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인텐트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지만 인텐트 메커니즘의 주목적은 어떤 액션이 수행되어야 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데이터를 전달하더라도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해야하고 이를 구현하기는 까다롭다. 컨텐트 프로바이더는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공하는 메커니즘이지만 양 애플리케이션 간에는 같은 형식의 레코드를 포함해야 한다. 데이터 저장소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컨텐트 프로바이더를 사용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의 연결 및 질의에 대한 구현도 개발자의 작업에 추가가 된다. 이러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메타서비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메타서비스는 클립보드의 간단한 활용방법에 착안하여 텍스트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른 타입의 데이터도 전송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서비스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에서 데이터 처리에 대한 구현 시 복잡성을 주여 효율적이며 높은 가독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서비스의 구조와 디자인 그리고 활용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다룬다.

울진원자력발전소(原子力發電所) 자료관리업무(資料管理業務) 전산화(電算化) 연구(硏究)(II) (A Design of Computerizing System for Record Management of ULJIN Nuclear Power Plant)

  • 박용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9-151
    • /
    • 1987
  • 본 논문은 울진 원자력 발전소 건설현장의 자료관리업무를 검토, 분석하여 전산화 대상업무의 논리체계를 세워 카드장표에 의한 수작업 관리방법을 전산 자동화처리가 가능하도록 시도한 것이다. 마스타화일의 레코드구조는 서지데이타, 자료송부관련데이타, 배부관련테이타, 구역구분데이타, 건설후 자료관리 데이타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배부, 화일, 검색업무 및 통계, 보고서 출력업무의 논리체계를 설계하였다. 특히, 건설중의 자료관리목적이외에 건설후 자료관리를 위한 색인매개요소로서 시스템코드, 한전설비분류번호, 자재연결코드, 보존기간 등을 건설중의 자료입수 시점에서 입력하도록 설계하여 발전소 운전중의 자료검색요구를 사전에 준비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자료관리시스템과 자재관리시스템 사이에서의 상호참조가 용이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