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러빙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3초

편광 자외선이 조사된 액정 디스플레이용 폴리이미드 필름의 열 안정성 (Thermal Stability of Polarized UV Exposed Polyimide Films for Liquid Crystal Display)

  • 김일형;김욱수;하기룡
    • 폴리머
    • /
    • 제26권4호
    • /
    • pp.431-438
    • /
    • 2002
  • 편광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배향막으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편광 자외선 조사에 따른 액정의 배향성과 열적 안정성을 연구하였다. 편광자외선이 조사된 폴리이미드의 경우, 조사된 편광자외선의 극성 방향에 평행한 폴리이미드 분자들의 우선적인 광분해 반응으로 인하여 편광자외선 조사 후 남아 있는 폴리이미드 분자들은 조사된 편광자외선 극성 방향과 수직 배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러빙 처리된 폴리이미드 필름은 러빙 방향과 평행하게 폴리이미드 분자들의 재배향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편광자외선이 조사된 폴리이미드 배향막이 편광자외선 조사를 통한 폴리이미드 분자들의 단편화 반응 때문에 러빙 처리된 폴리이미드 배향막 보다는 열적 안정성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휴대용 통신단말에 사용되는 혼합액정계에서의 프리틸트각 특성에 관한 연구 (Pretilt Angle Properties of Mixture Nematic Liquid crystal for Mobile Information Device)

  • 한정민;서대식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7-7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폴리이미드 박막위에서의 수직 및 수평배향에서 혼합액정의 배향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혼합액정은 러빙을 이용하여 배향처리하였으며, 러빙에 사용된 폴리이미드 박막은 알킬기를 Side Chain으로 가진 수직배향용 배향막과 그렇지 배향막으로 나누어서 프리틸트각 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혼합액정을 사용하여 양호한 배향상태를 얻을 수 있었으며, 고온에서의 열안 정성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프리틸트각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접촉각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둘이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미드막에 있어서 종류가 다른 러빙재질의 러빙에 의한 정전기 및 광학리타데이션의 평가 (A Study on Static Electricity and Optical Retardation with Different Rubbing Fabric films)

  • 서대식;이창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603-1605
    • /
    • 1996
  • We have studied the static electricity and optical retardation generated by rubbing the surfaces of polyimide (PI) and polyamide (PA) films. The static electricity increases with the rubbing strength (RS) and varies with the different PI films. We also investigated how the differences in the rubbing fabric affects the magnitude of the induced static electricity; the order of this effect is nylon > rayon > cotton. The induced static electricity is not only directly related to the values of the specific resistivity of the rubbed PI films, but also the RS and the ability of the rubbing fabric to generate and add a static electric charge. The order of the optical retardation produced by the rubbing fabraic on rubbed PI films is nylon > rayon > cotton, coinciding with the order of the generated static electricity.

  • PDF

패턴이 있는 유리기층 위 러빙된 Polyimide의 광학 이방성 미세변화 정밀 측정 (Precise Measurement of Optical Anisotropy of Rubbed Polyimide on Patterned Glass and its Nanoscale Variation)

  • 김하랑;김상열
    • 한국광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281-287
    • /
    • 2009
  • 편광법을 사용하여 패턴이 있는 LCD 유리기층위에 놓여 있는 러빙된 PI(polyimide)의 광학이방성을 분석하였다. 투과형 편광계를 사용하여 0.4 nm 이하의 극히 작은 위상지연의 크기와 광축의 방향을 정밀하게 측정하였다. 온도에 따르는 광학이방성의 미세변화를 위상지연의 크기 및 광축 방향의 변화곡선으로 나타내고 간단한 광학모델을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LCD의 광시야각 기술개발 및 최신동향 (Recent trend of wide viewing angle technology on liquid crystal display)

  • 서대식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9권7호
    • /
    • pp.733-744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최근 LCD소자에 있어서 큰 이슈로 등장한 표면 액정배향기술 및 광시야각 기술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표면 액정배향기술에 있어서는 종래의 러빙법에 대신하여 편광된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분자를 배열시키는 광배향제어법이 큰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이 기술은 프리틸트 각 발생제어기술과 신뢰성이 과제로 남아있다. 광시야각 기술에 있어서는 최근까지 여러 방식이 제안되어왔으며 그 중에서도 현재로는 광학보상법, IPS방식 등이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 다른 방식의 기술발전 여부에 따라 상황이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각의 방식에 따라 서로 장단점을 지니고 있어 향후 이용분야에 따라 용도를 나누어서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LCD소자는 이러한 기술개발의 결과로 평판디스플레이 소자 중에서 더욱 확고한 위치를 확보할 것이며 더 많은 시장성을 점유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으로 본 논문에서는 LCD소자의 표면액정 배향기술 및 광시야각 기술에 관하여 해설하였으며 표면액정 배향기술에 관하여는 간단히 소개하였으나 이 내용에 관하여는 다음 기회에 상세히 소개하기로 한다.

  • PDF

광감성 폴리비닐플루오로신나메이트의 액정 배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f Liquid Crystal Alignment on the Photosensitive Polyvinylfluorocinnamate)

  • 김동수;안원술;하기룡
    • 폴리머
    • /
    • 제31권5호
    • /
    • pp.393-398
    • /
    • 2007
  • 편광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polarize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과 자외선 분광법(ultraviolet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의 배향막으로 사용 가능한 Polyvulylfluoroclnnamate(PVCN-F) 필름의 편광 자외선(Polarized UV, PUV) 조사 및 러빙에 따른 액정의 배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UV의 조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VCN-F cinnamoyl group의 C=C기들의 cycloaddition 반응으로 인하여 $1638cm^{-1}$에서 나타나는 vinylene -C=C- FT-IR 흡수 피크들의 면적이 감소하고, $1712cm^{-1}$에서 나타나는 conjugated C=O 신축진동에 의한 피크가 nonconjugated C=O 신축진동 피크인 $1734cm^{-1}$로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UV가 조사된 PVCN-F 배향막을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 셀에서는 조사된 PUV의 극성 방향과 수직으로 액정이 배향함을 확인하였고, 러빙 방법으로 제조된 PVCN-F 배향막을 사용한 액정 셀에서는 액정이 러빙 방향과 수평으로 배향됨을 dichroic dye(이색성 염료)의 첨가 없이 편광 FT-IR 스팩트럼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개선된 투과형 타원계를 사용한 러빙된 Polyimide 배향막의 초미세 위상지연 정밀 측정 (Precise Measurement of Ultra Small Retardation of Rubbed Polyimide Alignment Layer Using an Improved Transmission Ellipsometer)

  • 염경훈;박상욱;양성모;윤희규;김상열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5
    • /
    • 2013
  • 시료를 회전시키는 기존의 시료회전형 타원계에서 시료를 고정시키고 편광자모듈을 회전시키는 모듈회전형 타원계로 구조를 변경하고 광원교체와 회전모듈 동기화, 배경 미세이방성 보정 등을 통해서 위상지연값 측정정밀도를 $3{\sigma}$ <0.005 nm 까지 향상시켰다. 개선된 모듈회전형 타원계를 사용하고 RVD(Retardation Vector Difference)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1.0 nm 정도의 잔류이방성을 가지는 유리기층의 효과를 배제한 러빙된 Polyimide 배향막의 순수 배향효과만에 의한 초미세 광학이방성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순수 러빙으로 인한 배향막의 위상지연값은 0.05 nm 에서 0.15 nm 정도의 크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표면가수분해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의 제조 및 LCD 러빙포로의 응용 (Preparation of Surface-Hydrolyzed Cellulose Acetate Fibers and Their Applications to LCD Rubbing Cloth)

  • 김현선;김영호
    • 폴리머
    • /
    • 제37권1호
    • /
    • pp.52-60
    • /
    • 2013
  •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섬유를 $Na_2CO_3$ 용액으로 가수분해하여 탈아세테이트 반응시키면 레이온 섬유로 전환된다. 이때 처리조건을 조절함으로써 표면만 가수분해시켜, 표면은 레이온 성분이고 내부는 CA 성분으로 된 sheath-core형 표면가수분해 CA(SH-CA) 섬유를 얻었다. 시료들의 가수분해는 FTIR 스펙트럼 및 WAXD 패턴으로 분석하였으며, CA 성분을 아세톤으로 용출시킨 시료들의 SEM 사진으로부터 sheath-core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 sheath-core 형태의 SH-CA 섬유로 된 벨벳 직물을 사용하여, 액정디스플레이(LCD)용 폴리이미드 배향막을 러빙시키고 편광 FTIR 스펙트럼으로 분석하여 이 SH-CA 섬유 벨벳직물이 LCD용 러빙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EDOT:PSS/MWNT 나노복합체의 나노주름 임프린팅을 통한 투명전극-배향막 복합 기능 박막의 액정 구동 (Liquid Crystal Driving of Transparent Electrode-Alignment Layer Multifunctional Thin Film by Nano-Wrinkle Imprinting of PEDOT:PSS/MWNT Nanocomposite)

  • 장종인;정해창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8-17
    • /
    • 2023
  • 기존 liquid crystal display(LCD) 공정에서 Indium Tin Oxide(ITO) 투명전극과 폴리이미드 배향막의 러빙 공정은 액정을 정렬하고 전계를 인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공정이다. 하지만 ITO의 증착은 높은 진공을 요구하며, 러빙 공정은 정전기에 의해 소자가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ITO 투명전극을 대체하기 위하여 PEDOT:PSS와 Multi-wall carbon nanotube(MWNT)를 혼합하여 PEDOT:PSS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고, 러빙 공정을 대체하기 위하여 나노 주름 구조 몰드를 통한 나노임프린팅을 통하여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기존 액정 디스플레이의 투명전극과 배향막 두 가지 박막을 PEDOT:PSS/MWNT 나노복합체 박막 하나만으로 기능하게 하여 공정을 단순화 하였다. 전사된 나노 주름을 따라 액정이 잘 배향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액정 셀에서 박막 내 MWNT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박막의 전기전도도가 증가하여 낮은 구동 전압과 빠른 응답 속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정 단순화와 용액공정에 의한 공정 단가 절감, 기존 러빙 공정의 단점을 해결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