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랜덤성 테스트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2초

근사 주기를 이용한 새로운 랜덤성 테스트 기법 (New Randomness Testing Methods using Approximate Periods)

  • 임지혁;이선호;김동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6호
    • /
    • pp.742-746
    • /
    • 2010
  • 기존의 패턴 매칭을 이용한 랜덤성 테스트를 개선하기 위하여, 근사 주기에 기반한 새로운 랜덤성 테스트를 제안한다. 근사 주기를 활용하면 랜덤수열에서 비슷한 부분이 반복되는 것을 찾아낼 수 있지만,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사주기를 계산하는 시간복잡도를 O($n^3$)에서 O($n^2$)으로 줄임으로써, O($n^2$)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는 새로운 랜덤성 테스트를 제안한다. 그리고 AES 암호알고리즘을 이용한 의사 랜덤수열(pseudo random number)과 실제 랜덤수열(true random number)에 제안한 테스트를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무선랜 보안 알고리즘의 난수성 분석

  • 김학준;신현구;문일현;이종근;이옥연
    • 한국전산응용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응용수학회 2003년도 KSCAM 학술발표회 프로그램 및 초록집
    • /
    • pp.2.2-2
    • /
    • 2003
  • PRF(Pseudo Random Function)에 대한 랜덤성 검증은 pre-computation공격에 대해 알고리즘이 특별한 통계적 약점이 없이 적절하게 개발되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NIST에서 실시한 AES 후보 알고리즘 랜덤성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IEEE의 802.11i Draft에서 인증자와 요청자가 비밀키(PTK, GTK)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PRF의 랜덤성을 검증하였다. 랜덤성 테스트를 위해 표본 수는 300개, 표본 길이는 2$^{20}$ (= 1,048,576)으로 검정 표본을 생성하고, 유의 수준은 0.01로 선택하였다. 랜덤성 검증 방법으로는 NIST의 16가지 통계 테스트를 사용하였다.

  • PDF

통합 시스템을 위한 출력 분포 기반 적응적 랜덤 테스팅 (Adaptive Random Testing for Integrated System based on Output Distribution Estimation)

  • 신승훈;박승규;최경희;정기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9-28
    • /
    • 2011
  • 적응적 랜덤 테스팅(ART)은 순수 랜덤 테스팅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으로 효과적인 테스트 케이스의 선택을 통해 보다 적은 수의 테스트 케이스로 소프트웨어 내에 존재하는 오류 영역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ART는 하나의 시스템 혹은 유닛에 대한 테스트를 적용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접근 방법을 이용해 순수 랜덤 테스팅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 왔다. 하지만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특정 유닛에 대해 ART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타 유닛들의 영향으로 인해 기대 이하의 효율성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테스트 환경 대한 ART 적용방법의 하나로, 테스트 대상 유닛에 부여되는 입력 데이터의 분포를 통합 시스템에 대한 제한된 수의 입력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입력 도메인 분할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방법은 유닛 테스팅에 ART를 적용했을 때와 유사한 수준의 성능으로 통합 시스템 내의 특정 유닛을 테스트 가능하도록 하며, 오류 비율의 변화가 ART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또한 1% 이내 수준으로 안정임을 확인하였다.

입력 도메인 확장을 이용한 반복 분할 기반의 적응적 랜덤 테스팅 기법 (Adaptive Random Testing through Iterative Partitioning with Enlarged Input Domain)

  • 신승훈;박승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4호
    • /
    • pp.531-540
    • /
    • 2008
  • 적응적 랜덤 테스팅 (Adaptive Random Testing, ART)은 입력 도메인 내에 테스트 케이스를 넓고 고르게 분산시키는 방법을 통해 입력 도메인 내에 존재하는 오류 패턴을 순수 랜덤 테스팅 (Random Testing, RT)보다 효율적으로 찾아내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 선택 기법이다. 테스트 케이스 선택에 많은 연산량을 필요로 하는 초기 ART 기법인 거리 기반 ART (Distance-based ART, D-ART)와 제한 영역 기반 ART (Restricted Random Testing, RRT)의 개선을 위해 입력 도메인을 반복 분할하는 기법들이 제안되었고, 이 기법들은 낮은 연산량 및 성능 향상등의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입력 도메인 반복 분할 기반 기법에서도 기존 ART 기법에서 나타나는 테스트 케이스 분포 불균일 문제가 존재하고, 이는 기법의 확장성에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반복 분할 기반 기법에서 나타나는 테스트 케이스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적정 수준으로 제어하기 위한 입력 도메인 확장 정책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2차원 입력 도메인에서 3%, 3차원 입력 도메인에서 10% 수준의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변형된 S박스를 이용한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 (Stream Cipher Algorithm using the Modified S-box)

  • 박미옥;최연희;전문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37-145
    • /
    • 2003
  • 무선통신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서로 통화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하지만, 이동통신의 개방성은 심각한 보안위협에 노출되며, 안전한 통신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통신망에서 보안은 필수적이다. 이동통신망의 보안을 위해서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중의 하나는 스트림 암호이다. 일반적으로, 이 스트림 암호는 LFSR (Linear Feedback Shift Reigster)을 주로 사용하여 구현된다. 본 고에서는 이동통신망의 스트림 암호의 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블록 암호알고리즘에서 주로 사용하는 S박스의 변형된 메커니즘을 제안하며. 이 메커니즘은 랜덤성을 고려한 3개의 변형된 S박스 메커니즘이다. 일반적으로, S박스는 비선형 특성을 가진 함수로서 임의 데이터를 공격에 더 강하도록 만들어준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랜덤성 테스트는 Ent 의사난수 테스트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실험결과 각각의 테스트에서 기존의 스트림 알고리즘보다 더 좋은 랜덤성과 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를 가진다는 것을 증명한다.

테스트 케이스 분포 조절을 통한 IP-ART 기법의 성능 향상 정책 (Improving Performance of ART with Iterative Partitioning using Test Case Distribution Management)

  • 신승훈;박승규;최경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6호
    • /
    • pp.451-461
    • /
    • 2009
  • 적응적 랜덤 테스팅(Adaptive Random Testing, ART)은 테스트 케이스의 효율적인 선택을 통해 순수 랜덤 테스팅(Random Testing, RT)보다 더 적은 수의 테스트 케이스를 이용해 입력 도메인 내의 오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RT 기법 중 하나인 입력 도메인 반복 분할 기법(ART through Iterative Partitioning, IP-ART)은 초기 ART 기법의 단점인 많은 연산량을 입력 도메인 분할에 의해 효율적으로 개선되도록 하였으며, 입력 도메인 확장을 이용한 IP-ART(IP-ART with Enlarged Input Domain, EIP-ART)는 IP-ART의 테스트 케이스 분포 특징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성능 향상과 확장성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EIP-ART는 입력 도메인 확장에 따라 발생하는 부하로 인해 테스트 케이스 생성에 오랜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의 추가 부하를 유발하지 않는 테스트 케이스 분포 조절 기법을 제안하고, 이들의 성능 개선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된 두 기법 중 입력 도메인 타일링 기법이 모든 환경에서 더 우수한 성능 및 확장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복 분할 기반의 적응적 랜덤 테스팅 향상 기법 (Modified Adaptive Random Testing through Iterative Partitioning)

  • 이광규;신승훈;박승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5호
    • /
    • pp.180-191
    • /
    • 2008
  • 적응적 랜덤 테스팅 (Adaptive Random Testing, ART)은 입력 도메인 내의 오류 패턴을 순수 랜덤 테스팅 (Random Testing, RT)보다 좋은 효율로 찾아내기 위해 고안된 테스트 케이스 선택 알고리즘이다. 대표적인 ART 기법인 거리 기반 ART (Distance-based ART, D-ART)와 제한 영역 기반 ART (Restricted Random Testing, RRT) 둥은 좋은 성능을 보이기는 하지만, 테스트 케이스 선택에 필요한 많은 양의 거리 계산으로 인한 느린 테스트 케이스 생성과 거리 기반 방식의 사용으로 인한 테스트 케이스 분포의 불균일성이라는 단점을 가진다. 반복 분할 기반 ART (ART through Iterative Partitioning, IP-ART)는 입력 도메인을 반복 분할하는 방식을 통해 D-ART와 RRT가 가진 계산 부하를 크게 감소시켰다. 하지만 IP-ART의 경우에도 테스트 케이스 분포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여 기법의 확장 적용에 대한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IP-ART의 단점 완화 및 성능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평균 9% 정도의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RFID 미들웨어 평가를 위한 테스트 데이터셋의 품질 지표 (Quality Metrics for RFID Test Dataset to Evaluate RFID Middleware)

  • 류우석;권준호;홍봉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141-143
    • /
    • 2012
  • RFID 미들웨어의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서, 테스트 데이터셋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가 방법이다. 태그 식별자에 따라 순차생성된 가상 데이터셋이나 랜덤 생성된 데이터셋의 경우 미들웨어의 단순 처리량을 평가하기에는 유용하나 미들웨어의 정확성이나 실행 가능성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테스트 데이터셋은 실제 리더에서 생성된 데이터셋과 매우 유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테스트 데이터셋의 품질 기준이 정의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테스트 데이터셋이 얼마만큼 실제 데이터셋과 유사한 지를 평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RFID 미들웨어의 평가에 사용되는 테스트 데이터셋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품질 지표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품질 지표는 실제 RFID 리더에 태그가 통과할 때 생성되는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하여 정의하였으며, RFID 무선 인식의 고유의 특성, 즉 중복성과 불확실성을 수치화해서 표현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안한 품질 지표를 실제 RFID 리더를 통해 생성한 데이터셋에 적용하여 비교 검토함으로써 품질 지표의 유용성을 입증한다.

두개의 S박스를 활용한 ZST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 (ZST Stream Cipher using Two S-boxes)

  • 박미옥;전문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223-225
    • /
    • 2004
  • 이동통신의 지속적인 발달은 사용자들에게 많은 편리성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와 반면에, 이동통신의 개방성은 무선공격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으며, 안전한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망의 보안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서는 이동통신상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스트림 암호알고리즘에 두개의 S박스를 사용하고, 두 개의 S박스 사용에 따른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먼저, DES의 각 S박스에 대한 랜덤성을 테스트하여 랜덤특성이 좋은 두개의 S박스를 고찰한다. 두 개의 S박스는 제안하는 메커니즘에 따라 스트림 암호알고리즘에 적용하며, 이 때 두개의 S박스는 비트가 0이면 S박스를 통과하고, 1이면 통과하지 않는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이에 대한 실험은 기존 모델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제안한 모델의 효율성을 증명한다.

  • PDF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뮤테이션 테스팅의 테스트 데이터 자동 생성 (Automatic Test Data Generation for Mutation Testing Using Genetic Algorithms)

  • 정인상;창병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1호
    • /
    • pp.81-86
    • /
    • 2001
  •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중요 목표 중의 하나는 '좋은' 테스트 데이터 집합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는 매우 어렵고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다.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테스팅을 위한 자동 테스트 데이터 집합 생성에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자동 테스트 데이터 생성에서 유전자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보이기 위해 유테이션 테스팅을 도입한다. 본 연구는 테스트 데이터 생성 과정이 테스트 대상 프로그램의 구현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방법들과 다르다. 또한,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보이기 위하여 몇 가지 실험을 통해서 블랙박스 테스트 생성 기법은 랜덤 테스팅과 비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