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라이다 데이터

Search Result 1,46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SM Generation using LIDAR and Image Data (라이다 데이터와 항공영상을 이용한 DSM 생성)

  • Hong, Ju-Seok;Choi, Kyoung-Ah;Lee, Im-Pyeong;Min, Seung-H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66-71
    • /
    • 2009
  • 최근 가상도시, 위치기반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서 도심지역의 고해상도 DSM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고해상도 DSM을 획득하는데 항공 라이다 측량은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레이저 펄스는 도시건물의 모서리와 코너보다는 주로 표면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라이다 DSM은 명확한 수직 breakline을 포함하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 데이터와 항공영상의 결합을 통해서 고품질의 도시지역 DSM을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은 (1) 서로 다른 두 센서에서 획득된 라이다 데이터와 영상의 기하 정합, (2)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정합, (3) 영상정합을 통해 획득된 지상점과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DSM 생성순으로 이루어진다. 영상 정합을 위한 지상점의 초기값으로 대상지의 평균고도를 높이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높이를 사용한다면 영상 정합이 아주 정밀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정합된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지상점은 라이다 데이터 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DSM 생성을 위한 격자에 라이다 데이터와 영상정합의 결과로 얻어진 지상점 모두를 내삽에 이용하여 DSM을 생성하고자 한다.

  • PDF

Algorithm Analysis for Strip Adjustment of Tunnel LiDAR Data (터널 라이다 데이터의 스트립 조정 알고리즘 분석)

  • Han, Dong-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51-253
    • /
    • 2008
  • 여러 스트립으로 취득되는 라이다 데이터는 정확한 스트립 조정후에 이용되어야 한다. 스트립 조정을 위해 상대 또는 절대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며, 기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조정 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 데이터와 라이다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기존 조정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향후 정확한 조정 알고리즘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Generation of Simulated LIDAR Data via Geometric Sensor Modeling and Simulation (기하학적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모의 라이다 데이터 생성)

  • Kim, Seong-Joon;Hong, Min-Seong;Lee, Im-Pyeong;Oh, S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00-404
    • /
    • 2008
  • 라이다는 데이터 획득의 신속성과 처리의 자동화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도시 모델의 생성, 변화탐지(Change Detection), 삼림지역의 DTM(Digital Terrain Model)의 생성, 등고선 추출, 나무의 높이 결정을 통한 산림관리, 해안 지형의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라이다데이터 활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처리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있다.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를 위해서는 알고리즘을 다양한 형태의 시험데이터에 적용해 보아야 하지만, 성능평가를 위해 다양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한 다양한 모의데이터를 실제 DEM으로부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라이다 시스템에 대한 기하학적 모델링하여 센서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를 기반으로 DEM상에서 플랫폼의 이동경로에 따라 취득되는 모의 라이다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면 라이터데이터를 이용하는 다양한 활용 알고리즘 개발과 경제적이고 정확한 성능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Key Point Extraction from LiDAR Data for 3D Modeling (3차원 모델링을 위한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특징점 추출 방법)

  • Lee, Dae Geon;Lee, Dong-Ch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4 no.5
    • /
    • pp.479-493
    • /
    • 2016
  •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acquired from ALS(Airborne Laser Scanner) has been intensively utilized to reconstruct object models. Especially, researches for 3D modeling from LiDAR data have been performed to establish high quality spatial information such as precise 3D city models and true orthoimages efficiently. To reconstruct object models from irregularly distributed LiDAR point clouds, sensor calibration, noise removal, filtering to separate objects from ground surfaces are required as pre-processing. Classification and segmentation based on geometric homogeneity of the features, grouping and representation of the segmented surfaces, topological analysis of the surface patches for modeling, and accuracy assessment are accompanied by modeling procedure. While many modeling methods are based on the segmentation process, this paper proposed to extract key points directly for building modeling without segmentation. The method was applied to simulated and real data sets with various roof shapes. The results demonstrat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the accuracy analysis.

The spatial data manager using extended peer-to-peer computing method for balancing the cost of server side (서버 처리 비용 분산을 위해 확장된 Peer-to-peer 방식을 사용한 공간데이터 관리기)

  • 김호석;강동재;정보홍;김재홍;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28-30
    • /
    • 2001
  •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공간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나 다수의 클라이언트의 요구가 발생하는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처리 시 발생하는 서버 I/O 연산의 수행 비용과 질의 처리비용 및 결과 데이터의 전송 비용이 서버 사이드의 병목 현상과 질의 처리속도의 저하라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버 처리비용의 분산을 위한 확장된 Peer-to-peer를 지원하는 방식을 제안하며, 이러한 확장 된 Peer-to-peer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데이터 관리기의 설계 및 구현상황을 제안한다. 공간데이터 관리기는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정보와 클라이언트에 캐쉬된 데이터의 정보를 관리하는 공간데이터 관리기의 CIT(Client Information Table)와 이 CIT에 가용한 데이트를 캐쉬한 클라이언트가 여럿인 경웨 대상 클라이언트의 선정이 요구되며, 적은 비용으로 처리 가능한 클라인트의 선정의 위한 알고리즘과 클라이언트 사이의 확장된 Peer-to-peer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데이터 일관성 유지를 위한 데이터 유효성 관리를 제안한다.

  • PDF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Lidar and Optical Image (라이다와 광학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 Cho Woo-Sug;Chang Hwi-Jung;Kim Yu-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1
    • /
    • pp.139-145
    • /
    • 2006
  • The advantage of the lidar data is in fast acquisition and process time as well as in high accuracy and high point density. However lidar data itself is difficult to classify the earth surface because lidar data is in the form of irregularly distributed point clou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both lidar data and optical image through a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Firstly, we generated 1m grid DSM and DEM image and then nDSM was produced by using DSM and DEM. In addition, we had made intensity image using the intensity value of lidar data. As for optical images, the red, blue, green band of CCD image are used. Moreover, a NDVI image using a red band of the CCD image and infrared band of IKONOS image is gener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land cover classification with lidar data and optical image together could reach to the accuracy of 74.0%. To improve classification accuracy, we further performed re-classification of shadow area and water body as well as forest and building area. The final classification accuracy was 81.8%.

Data Grouping for Reducing Control Information in Mobile Broadcasting Environments (이동 방송 환경에서 제어 정보를 줄이기 위한 데이터 그룹화 기법)

  • 한부영;정성권;조유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349-351
    • /
    • 2000
  • 이동 방송 환경(mobile broadcasting environment)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서버가 다수의 이동 클라이언트에게 모든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면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가 방송 채널에 나타날 때 이를 검색하는 환경을 말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는 일관적이면서 가장 최근에 갱신된 데이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병행성 제어 기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요구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동 방송 환경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여러 가지 제약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일관성 검사를 위한 제어 정보를 데이터와 함께 방송해야 한다. 그러나, 매 방송 주기마다 방송해야 하는 제어 정보의 양이 크기 때문에 일관성 검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 정보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데이터를 그룹화(grouping)하는 기법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데이터 그룹화가 클라이언트의 트랜젝션 중단(abort)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서로 다른 데이터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으면 클라이언트가 일관성을 검사할 때 트랜잭션이 불필요하게 중단되는 경우가 더 많아질 수 있다. 그러나, 실험 결과 전체 데이터 수의 20% 정도 크기로 데이터를 그룹화하면 불필요하게 트랜잭션이 중단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면서 제어 정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Classification of Surface Patches Extracted from LIDAR Data for Change Detection in Urban Area (도시지역의 변화탐지를 위한 라이다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표면패치의 분류)

  • Choi, Kyoung-Ah;Lee, Im-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60-264
    • /
    • 2008
  • 변화탐지는 도시모델의 갱신을 위해 중요한 단계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변화탐지를 위한 라이다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표면패치의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주요 과정은 (1)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DSM의 차분을 통해 변화영역을 탐지하고, (2) 탐지된 영역의 라이다 점으로부터 표면패치를 구성하고, (3) 구성된 각각의 패치의 종류를 지면 수목, 빌딩으로 분류한다. 제안된 방법을 실측데이터에 적용한 결과를 동일한 지역의 정사영상으로부터 육안검사를 통해 수동 생성된 기준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패치분류의 성공률은 99%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방법은 변화탐지를 위한 강인하고, 신뢰성이 높고, 효율적인 패치 분류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

Simulation Based Performance Assessment of a LIDAR Data Segmentation Algorithm (라이다데이터 분할 알고리즘의 시뮬레이션 기반 성능평가)

  • Kim, Seong-Joon;Lee, Im-P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2
    • /
    • pp.119-129
    • /
    • 2010
  • Many algorithms for processing LIDAR data have been developed for diverse applications not limited to patch segmentation, bare-earth filtering and building extraction. However, since we cannot exactly know the true locations of individual LIDAR points,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a LIDAR data processing algorithm. In this paper, we thus attempted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segmentation algorithm developed by Lee (2006) using the LIDAR data generated through simulation based on sensor modelling. Consequently, based on simulation, we can perform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a LIDAR processing algorithm more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with an automatic procedure.

Planar Patch Extraction from LiDAR Data Using Optimal Parameter Selection (최적 매개변수 선정을 이용한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3차원 평면 추출)

  • Shin, Sung-Woong;Bang, Ki-In;Cho, Woo-Su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1
    • /
    • pp.97-103
    • /
    • 2011
  • LiDAR system has become a popular tool for generating 3D surface data such as Digital Surface Model. Extraction of valuable information, such as digital building models, from LiDAR data has been an attractive research subject. This research addresses to extract planar patches from LiDAR data. Planar patches are important primitives consisting of man-made objects such as buildings. In order to determine the best fitted planes, this research proposed a method to reduce/eliminate the impact of the outliers and the intersection areas of two planes. After finishing plane fitting, planar patches are segmented by pseudo color values which are calculated by determined three plane parameters for each LiDAR point. In addition, a segmentation procedure is conducted using the pseudo color values to find planar patches. This paper evaluates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using both airborne and terrestrial LiDAR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