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지지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역량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과 또래환경 결정요인의 공변량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of the Determinants of Home Environment and Peer Group Environment for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 이주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93-207
    • /
    • 1998
  •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연령과 성에 따른 아동의 역량지각 발달의 경향을 조사하고, 연령, 성을 포함한 가정환경과 또래 환경의 변수들의 역량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평형 모델을 통해 알아 보았다. 또한, 이러한 역량지각의 발달 성향을 서구 문화권과 비교하여, 역량지각발달의 문화적 보편성이나 차이점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유아,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은 면접으로, 그리고 3학년이상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은 유아, 초등학교 1, 3, 5학년, 중학교 1학년 아동 750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인지, 사회, 신체 영역에서 모두 역량지각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인지, 신체 영역의 역량지각에선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서구 문화권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이 발견되지 않는다. 역량지각의 공변량구조모형에서는 또래환경 변수가 모두 포함시키기에 부적합한 변수로 나타났고, 연령, 성과 가족의 수입, 아버지의 교육수준, 가정의 물리적 환경, 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아동의 역량지각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Ego-Resilience and Peer Attachment upon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In Early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 이현주;권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47-355
    • /
    • 2013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방법으로 학습에 있어 자기조절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인에 청소년의 내적 힘인 자아탄력성과 외적지지체계 중 하나인 또래애착의 영향력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자는 총 2,35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또래애착(의사소통, 신뢰, 소외)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성취가치, 숙달목적지향, 행동통제, 학업시간관리)의 잠재변수와 하위변수 모두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삶의 만족도도 직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환경적 보호요인의 역할 (The Impact of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s on Social Resilience of Adolescents Exposed to Family Violence)

  • 이상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331-353
    • /
    • 2006
  • 본 연구는 가정폭력의 위험에 노출된 청소년들 중 사회적 탄력성을 나타내는 청소년들은 어느 정도인가를 확인하고,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환경적 보호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며, 가정폭력의 노출위험과 사회적 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환경적 보호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에 노출된 고위험집단 79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간의 폭력을 목격한 집단과 부모로부터의 폭력을 경험한 집단에서 사회적 탄력성을 나타내는 청소년들은 각각 약 43%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지지와 또래집단의 친사회적 특성, 다른 성인의 지지는 사회적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보호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가족지지와 또래집단의 친사회적 특성, 다른 성인의 지지는 가정폭력의 위험이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모간 갈등, 어머니의 지지 및 통제와 또래관계의 질이 고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Pathways from Interparental Conflict to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Support and Control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 조주연;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34
    • /
    • 201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hways from interparental conflict to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support and control and/or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 sample of 340 high school students (166 boys and 174 girls) in Incheon completed questionnaires on interparental conflict, maternal support and control,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problem behavior.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terparental conflict had a direct influence in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dicating that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interparental conflict had more problem behaviors. Regarding pathways from interparental conflict to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support and control and/or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dolescents perceiving higher levels of interparental conflict reported highe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lower support and behavioral control. This was followed by a lower level of quality in terms of their peer relationships; the lower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resulted in more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terparental conflict and maternal support and control play crucial roles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respectively.

중학생 게임 과몰입의 원인과 이용동기의 매개효과 연구 (Causes of Adolescent Game Addi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ame Motives)

  • 김형지;오로지;허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22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기 게임 과몰입의 원인을 개인적 속성과 환경, 게임 이용동기로 파악하고, 구체적으로는 고독감, 자기통제 결여,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또래 집단의 정서적 지지와 게임 이용동기(몰두, 사회관계, 성취감)의 영향력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패널조사 한 결과를 2차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초기 청소년기 고독감과 자기통제 결여는 게임 과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의 영향 관계에서 게임의 성취감 동기가 매개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또래 집단의 정서적 지지는 게임 과몰입과 관련이 없었다. 시간이 지나도 과몰입의 원인과 결과의 영향 관계 구조는 대부분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영재와 평재의 자기조절 전략에 미치는 요인: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Self-regulated Strategies: On Autonomy Support and Beliefs of Intelligence Ability of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 신민;안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877-892
    • /
    • 2014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라 세 집단(영재, 고성취 평재, 저성취 평재)으로 나누어 지각한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 전략 사용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이들 변인 중 어떠한 특성이 자기조절 전략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집대상은 경기도 지역 영재학교 1개교, 고성취 평재와, 저성취 평재집단으로 분류한 일반 고등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자율성 지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 전략을 측정한 결과, 성취 수준과 또래로부터의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 및 자기조절 전략 중 부적응적 자기조절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성취 수준과 지적 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 및 자기조절 전략 중 부적응적 자기조절 요인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자율성 지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 전략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또래로부터의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을 제외한 모든 하위 변인들에서 성취 수준이 높은 영재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 지지를 제공하고,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 가능성 신념을 높여주는 것이 더 적극적인 자기조절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 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kills)

  • 심희옥
    • 아동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33
    • /
    • 2000
  •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interpersonal stressors, and social skills among 4th and 5th graders. Instruments were th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the Self-Report Coping Scale, and the Teenage Inventory of Social Skill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used different coping strategies by the level of peer support. Children with more peer support were more active in seeking social support and in solving peer conflict. Children with more problems in peer relationships used more avoidance strategies such a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Children with a high level of social skills were more likely to use approach strategies in peer conflict while children with a low level of social skills were more likely to employ avoidance strategies. Internalization wa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in explaining inappropriate peer relationships. For girls, social skill was the most essential variable in their peer relationships.

  • PDF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이국행;이영환;김현지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1-166
    • /
    • 2003
  •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영재아의 개념정의와 판별도구 개발, 영재발굴, 선발 및 그들의 교육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영재아들의 적응, 자기지각, 또래관계등 사회정서발달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영재아동의 개인 및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수준 및 성별에 따른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파악하며, 그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 영재아의 사회적 성취나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적응(개인적응, 사회적응, 부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ulcorner, 셋째, 과학영재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수준은 어떠한가\ulcorner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100명의 아동이며, 이들은 교사추천 및 전북대학교 과학영재연구소의 과학과 수학시험을 통해 선발된 과학 영재아동이다. 설문결과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39명(남아 59명, 여아 30명)이 최종 연구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아동의 적응능력검사도구는 한국교육평가센터(KETC)에서 1998년 개발하여 표준화과정을 마친 종합적응능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응영역(자아개념 12문항, 성취동기 10문항, 자기기획 15문항), 사회적응영역(사교성 15문항, 애착 9문항, 사회적 긍정성 10문항), 부적응영역(스트레스 20문항, 욕구좌절 10문항, 편견 12문항) 총 1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자기지각검사도구는 Harter(1985)의 Self-Perception Profile이며, 학업역량, 사회적역량, 운동역량, 신체외모역량, 행동품행역량, 자기가치감 각각 6문항씩 총3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사회적 지지검사도구는 한미현(1996)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교친구지지, 친한 친구지지 각각 6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우울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ffects of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89-19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살생각의 감소와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우울,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는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사회적 지지가 낮아질수록 자살생각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가족지지체계는 부모자녀간의 관계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지지체계는 교사와 또래간의 지지적 관계형성 프로그램과 친구지지 자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지지체계는 다양한 지역네트워크 조성을 통한 통합적 지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한국과 미국 유아의 극놀이에 나타난 또래의 단계별 지지 분석 (Scaffolding by Peers in Young Children's Dramatic Play: A Cross-Cultural Analysis)

  • 최석란;김영숙
    • 아동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71
    • /
    • 1998
  • This study compared Korean and American children on scaffolding by peers during dramatic play. Thirty Korean and twenty American 5-year-old kindergarteners participa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radly's (1980) Developmental Research Sequence (DRS), using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tegories of scaffolding (theme and communication) occurred more frequently among American children than among Korean children. In both cultures, more capable peers scaffolded children during dramatic play and were able to extend the dramatic pl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