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치과학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8초

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가이드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복증례 (Implant-assisted full denture using digital guide: a case report)

  • 김욱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02-209
    • /
    • 2021
  • By classifying temporary denture production for surgical guides, digital guide-based surgery, and final prosthesis production, the problems of each process were assessed in advance and the factors that could be improved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usion dental prosthesis uses virtual programs and computed tomography images to manufacture devices using the latest technologies of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and three-dimensional printing, which enables implants to be placed in the desired location in advance. Moreover, implant placement is not dependent on the skill and condition of the dentist, and because it uses a computer system, it can always be performed at a constant and optimal position. This can reduce the remanufacturing rate compared with the general method, shorten the treatment period, and eliminate patient discomfort. Unlike the traditional method of using impression materials and plaster models, digital fusion dental prostheses would be evaluated as a technology for producing prosthesis through professional desig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점 식별의 오차 및 재현성에 관한 비교 연구 (The comparison of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and reproducibility between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 이양구;양원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79-8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점 식별의 오차를 구하여 각각의 영상에서 오차의 특징을 살펴보고 재현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한 교정 환자 중 18세에서 29세 사이의 성인 환자 중에서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 각각 15명씩 30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의 구별이나 두개 안면 구조의 형태는 고려하지 않았다. 계측점은 동일인이 시간차를 두고 식별 하였다. 식별 후 각 계측점은 좌표 (x, y)로 표시하였으며, 처음 계측점을 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1으로, 1 주 후 동일 계측점을 재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2로, 1 달 후 동일계측점을 재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3로 분류하였다. 오차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x좌표, y좌표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 초기 식별 1주 후 재식별시 오차는 T2-T1(x), T2-T1(y)로, 초기 측정 1달 후 재시별시 오차는 T3-T1(x), T3-T1(y)로 표시하였으며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으로 각각 나누었다. 재현성의 평가를 위한 오차간의 통계학적인 검정은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이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보다 일반적으로 오차의 평균 및 표준편차가 작았다. 2.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오차와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오차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은 드물었다. 3.상의 향상을 통한 오차의 개선은 한계가 있었으며 상이 향상되더라도 각 계측점의 오차 의 경향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모델 스캐너와 구내 스캐너로 획득한 디지털 모형에서 시행한 공간 분석의 타당도, 신뢰도, 재현성 평가 (Validity,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Space Analysis using Digital Model taken via Model Scanner and Intraoral Scanner: An In vivo Study)

  • 박서현;김종수;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6-187
    • /
    • 2020
  • 이 연구는 모델 스캐너로 석고 모형을 스캔한 디지털 모형(Model scanned digital model, MSD)과 구내 스캐너로 구강을 스캔한 디지털 모형(Intraoral scanned digital model, ISD)에서 계측한 치아 근원심 폭경(Tooth width, TW)과 치열궁 길이(Arch length, AL)의 신뢰도와 재현성, 치열궁 길이 편차(Arch length discrepancy, ALD) 분석의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만 12 - 18세의 남, 여 30명에게 석고 모형, MSD, ISD를 획득하고, 2번 계측한 TW, AL의 신뢰도는 Pearson 상관 분석, 4명의 재현성은 군간 상관 분석 그리고 TW, AL 및 ALD의 타당도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든 군에서 계측한 TW, AL는 높은 신뢰도와 재현성을 보였고 MSD군의 ALD분석은 적절한 타당도를 보였다. ISD 군의 TW는 가장 높은 타당도를 보인 반면에, AL와 ALD분석은 유의미하게 짧게 측정되어 낮은 타당도를 보였으므로 임상가는 디지털 모델을 이용하여 공간 분석 시행 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한 임플란트 즉시 보철수복 증례 (Immediate restorations in a fully edentulous patient utilizing digital system: A case report)

  • 방정환;정승미;강세하;황찬현;김대환;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7-166
    • /
    • 2015
  • 본 증례는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인상채득과 석고모형 제작과정 없이 CBCT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수술 전에 한 번의 치과방문으로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즉시 보철수복을 시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무치악 부위 연조직 형태, 수직교합고경, 상하악 악궁관계에 대한 정보는 환자가 사용하고 있는 의치를 스캔하여 얻었다. 이 방법은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수복 과정을 기존의 방법보다 내원 횟수를 단축시켰다.

치과용 모형재 색상에 따른 디지털 모형의 체적 안정성 연구 (The study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digitized dental stone replicas according to difference color of gypsum materials)

  • 최석순;김기백;이경탁;전진훈;김재홍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9-377
    • /
    • 2012
  • Purpose: The aim of study was to compare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digitized dental stone replica using different color of gypsum materials using a white light scanner with three-dimensional software. Methods: A master model(500B-1, Nissin dental product, Japan) with the prepared lower full arch tooth was used. Several type IV stones(white, yellow, green) were used for 30 stone casts(10 casts each) duplicated a master model of mandible. The master model and the replicas were digitized with the non-contacting white light scanner to create 3-dimensional digital models.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oin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on the Delcam Copycad$^{(R)}$(Delcam plc, UK) 3D graphic software.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combined with a Tukey multiple-range test were used to analysis the data(${\alpha}$=0.05). Results: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mean values between gypsum materials within each color(white, yellow, green),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Conclusion: Digitization of dental materials on optical scanner was affected by color. Three different color of gypsum materials showed clinically acceptable accuracies of full arch digital model produced by them. Besides, these results will have to be confirmed in further clinical studies.

치과용 스캐너로 채득한 디지털 모형의 반복성 및 재현성에 관한 3차원적 평가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n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dental scanner-based digital models)

  • 이경탁;김재홍;김웅철;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3-220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wo dental scanners. Methods: The master die and the stone replicas(Kavo, Germany) were digitized in touch-probe scanner(Incise, Renishaw, UK), white light scanner(Identica, Medit, Korea) to create 3-dimensional surface-models. The number of points in the point clouds from each reading were calculated and used as the CAD reference model(CRM). Discrepancies between the points in the 3-dimensional surface models and the corresponding CRM were measured by a matching-software(Power-Inspect R2, Delcam Plc, UK). The t-student test for one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reproducibility of both scanner was within $3{\mu}m$, based on mean value. The mean value between measurements made directly on the touch probe scanner digital models and those made on the white light scanner digital models was $2.20-2.90{\mu}m$,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With respect to adequate data acquisition, the reproducibility of dental scanner differs. Three-dimensional analysis can be applied to differential quality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well as to evaluation of different analysis methods.

구치부 상실로 인해 교합 평면이 기울어진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구강 회복 증례 (Oral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collapsed occlusal plane resulting from loss of posterior teeth)

  • 한진우;장재승;표세욱;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65-173
    • /
    • 2024
  • 상실 부위를 수복하는 경우 정출된 치아에 대한 치료는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치아 상실이 구치부에서 발생하여 구치부 지지의 상실이 지속되면 하악의 점진적인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교합의 변화를 유발하기도 한다. 본 임상 증례는 상악 좌측 구치부 및 하악 우측 제1대구치 상실이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대합치가 정출되고 교합평면이 무너진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하는 고정성 보철물로 구치부 지지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정출된 부위의 교합평면을 수정하기 위해, 상실 부위의 진단 왁스업을 레진으로 복제하여 이를 상악에 장착한 후 교합면을 삭제하였다. 또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를 제작하였다. 임플란트의 식립으로 구치부의 지지가 회복된 이후에 진단 납형을 반영한 임시 수복물을 통해 충분한 시간동안 안정적인 교합 상태를 관찰하였고, 이후 임시 수복물의 형태를 복제한 단일 결정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환자에게 장착함으로써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디지털 수술용 가이드의 지지타입에 따른 정확도 평가 (The accuracy evaluation of digital surgical stents according to supported type)

  • 이준연;윤민호;박태석;전인곤;윤귀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16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술용 스텐트를 이용하여 지지 형태에 따른 수술용 스텐트의 정확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총 5세트의 치아모형에 대하여 양측에 지대치가 있는 치아지지형 무치악 모델과 근심에만 지대치가 있는 치아-조직 지지형 무치악 모델을 제작하였다. 모델을 스캐닝을 시행하고,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여 In2Guid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전산화 단층 촬영술의 정보와 모델 스캐닝 정보를 중첩하여 임플란트 고정체(USII, $4{\times}10mm$, Osstem, Seoul, Korea)에 대한 가상적인 위치배열을 실시하고 수술용 스텐트 제작하였다. DMAX 수술 키트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였다. 식립후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여 찍어 술전에 계획된 임플란트와 실제 식립된 임플란트 사이에 오차(angle difference, coronal difference, apical difference)를 측정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악궁에 따른 정확도 결과에서 하악이 전반적으로 각도, 길이오차의 값이 작게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스텐트의 지지 형태에 따른 정확도 결과에서 치아지지형 스텐트가 치아-조직지지형 스텐트보다 길이오차와 각도오차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 결론: 악궁(상악, 하악)은 수술용 스텐트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치아 지지형 스텐트는 치아-조직지지형 스텐트보다 더 적은 오차를 보여 주었다.

Q-ray view를 이용한 유구치의 숨은 인접면 우식증 탐지 (Detection of Hidden Proximal Caries using Q-ray view in Primary Molars)

  • 정연욱;이효설;최형준;이제호;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9-217
    • /
    • 2015
  • 본 연구는 Q-ray view (All in one Bio, Seoul, Korea)가 변연융선이 파괴되지 않은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을 적절히 탐지해 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명의 소아치과의사가 3-9세 사이의 어린이 32명(평균연령 $5.6{\pm}1.3$세)의 유구치 인접면 100개를 시진, Q-ray view, DIAGNOdent (KaVo, Biberach, Germany), 디지털 치근단 방사선사진 촬영으로 평가하였다. 각 검사법과 실제 치료 시 관찰된 인접면 우식증의 진행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법랑질 우식증에 대한 kappa값은 시진, Q-ray view, DIAGNOdent, 디지털 치근단 방사선사진 촬영 순으로 0.15, 0.10, 0.25, 0.68이었으며, 상아질 우식증에 대한 kappa값은 0.34, 0.56, 0.44, 0.70이었다. Q-ray view는 상아질까지 진행된 유구치의 숨은 인접면 우식증을 탐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하고 간편한 보조장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차원 디지털 모형을 이용한 양악 치조골 전돌자의 치열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arch characteristics of bialveolar protrusion patients using a three-dimensional digital model)

  • 이수경;성재현;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5-54
    • /
    • 2006
  • 최근 안모의 심미성이 중요시되면서 구순 돌출로 인한 비심미성을 해소하고자 내원하는 양악 치조골 전돌자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모형을 이용한 연구는 극히 적다. 모형을 이용하는 연구는 주로 손으로 직접 계측하거나 2차원 평면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나 근래에 3차원 레이저 스캐너가 도입되면서 모형을 이용한 연구를 좀 더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는 3차원 디지털 모형을 이용하여 양악 치조골 전돌자의 치열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양악 치조골 전돌자 20명과 정상교합자 20명을 대상으로 치아 크기, 치열궁 폭경 및 치열궁 길이, 치열궁과 구개의 형태를 비교하여 본 결과 양악 치조골 전돌자는 정상교합자보다 치아 크기가 크고, 하악 견치간 폭경 및 제1소구치간 폭경이 크며 치열궁 길이가 길었다. 그리고 치열궁 형태와 구개 형태에서 정상교합자와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