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제작

검색결과 2,457건 처리시간 0.034초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기술개발 동향 (R&D Trends of Digital Holographic Content)

  • 이범렬;손욱호;오승택;서호용;황치영;정일권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7권3호
    • /
    • pp.32-42
    • /
    • 2012
  • 본고에서는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을 디지털 콘텐츠 관점에서 다룰 수 있는 연구 개발 결과를 다루었다. 디지털 홀로그래피(DH: Digital Holographic) 기술을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관점으로 접근하기 위한 기반 기술 분야로서 DH 콘텐츠 저작도구 기술, 매니지먼트 기술, 공간 인식 기반 인터랙션 기술, 화질 평가 및 휴먼팩터 기술 및 응용 콘텐츠 제작 기술 등으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을 위한 연구 개발 결과로서 3차원 영상정보 획득, 홀로그래픽 프린지 데이터 생성과 DH 콘텐츠의 광학적 수치적 복원 및 DH 콘텐츠의 운용 테스트베드 등의 구현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반 기술을 향후 실용화될 디지털 홀로그램의 광학적 복원 장치와 접목한다면 새로운 형태의 홀로그래픽 실감형 콘텐츠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집단지성을 적용한 협업적 디지털 스토리텔링 플랫폼 (Collaborative Digital Storytelling Platform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 차상진;박승보;유은순;조근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443-446
    • /
    • 2010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콘텐츠를 소비하는 역할을 했던 대중들이 손쉽게 콘텐츠를 제작하고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최근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큰 화제가 되어 많은 곳에서 공모전 등을 통해 웹 환경에서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스토리텔링 콘텐츠로 웹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단순한 저작 도구의 환경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화일 뿐 집단지성을 표방한 웹 2.0 환경에는 동 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환경에서 집단지성을 적용하여 협업적으로 제작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절차 및 필요한 요소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 PDF

한복의 드레이핑 시뮬레이션을 위한 지식 기반 접근법 (A Knowledge based Approach for Hanbok Draping Simulation)

  • 이보란;오수정;남양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615-1618
    • /
    • 2004
  •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디지털 문화 컨텐츠에서 의상을 입은 캐릭터들의 사실성이 강조되는데, 디지털 의상 제작에 있어서 기존의 패션 CAD나 의상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들은 여러 단계의 작업을 거쳐야 하고 의상 디자인의 전문성을 요구한다. 특히, 최근 우리 문화 원형의 디지털 컨텐츠화로 디지털 한복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복은 재단이나 착용방식 등에서 양복과는 구성학적 차이점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한복 제작을 위한 전문 시뮬레이션 도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한복의 제작에서 사용하는 신체 치수와 체형특징에 따른 옷본의 크기 조정 방법을 지식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사용하여 한복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가상 캐릭터에 쉽게 한복을 착용시킬 수 있는 지식 기반 한복 드레이핑 시뮬레이션을 제안한다.

  • PDF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기반 OSMU 디지털 캐릭터 메이킹 - K/DA 걸 그룹을 중심으로- (User-Created Content (UCC) based OSMU virtual character making - Focused on K/DA Girl Group -)

  • 한저;이현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9-50
    • /
    • 2019
  • 2018년 11월 '리그 오브 레전드' S8 파이널 폐막식장에서 Riot Games회사는 홀로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K/DA 걸 그룹과 리얼 걸 그룹 멤버들과 함께 K/DA의 데뷔 앨범 타이틀곡 'POP/STARS'를 제작하였다. 디지털 캐릭터는 VOCALOID 기술 및 창작자의 디자인에 기반을 두지만, 디지털콘텐츠로써의 가치는 UCC 컨버전스를 통해 기존 콘텐츠의 영역을 확장하여 디지털 캐릭터의 생명력과 활용성을 확대하였다. UCC에 기반을 둔 디지털 캐릭터는 주요한 정보 기여자와 소비자가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는 디지털 캐릭터 콘셉트를 이용한 K/DA 걸 그룹의 캐릭터의 특성을 살펴보고, UCC를 바탕으로 K/DA 걸 그룹 데뷔 이래 뉴스, OSMU의 특성, 디지털 캐릭터의 가용성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캐릭터에 대한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활동을 위한 앱 인벤터를 활용한 안드로이드 앱제작 교육프로그램 개발

  • 배지혜;이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5-238
    • /
    • 2016
  • 디지털 콘텐츠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는 앱은 개발자들의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현재도 무수히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많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분야에도 영향을 주어 앱을 활용한 교육환경과 교육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앱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구현되며 이는 콘텐츠 사용자의 유용성과 경제적 가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를 활용한 코딩 교육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관한 관련 연구들이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EPL을 바탕으로 비IT계열 전공의 대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고 창의적 사고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인 앱을 제작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 위한 안드로이드 앱제작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였다. EPL을 위한 도구는 MIT 미디어랩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의 안드로이드용 앱 인벤터2(App Inventor 2)를 사용하며, 제작한 앱을 스마트 기기에서 즉시 실행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데 대해 학습만족도와 성취감이 높음을 수업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작 과정에서도 활발한 사고력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텍스트로부터의 자동 디지털 영상제작을 위한 카메라 자동제어 (Automatic Camera Control for Automated Digital Cinematography from Text)

  • 장세민;박종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904-906
    • /
    • 2004
  • 영화를 제작하는 과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본에는 필요한 부분마다 영상기법이 명시되어 있어서 실제 장면을 구현하는 과정에 원작자가 의도하는 상황을 비교적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비하여 교통사고 사건보고서나 동화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 영상을 자동으로 제작하려는 경우 이러한 영상기법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자연언어로 기술된 자료로부터 디지털 영상을 자동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영상기법을 추출하는 방안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의 선행 연구에서는 동화를 대상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자동 생성을 위해서 시간 관리, 참조 해결, 위치 설정, 세부 명령 결정 및 다수 캐릭터 제어 등의 요소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이고 특히 시간 관리 중에서 적절한 장면전환이 필요한 경우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결합범주문법을 사용하여 동화 문장에 나타나는 작가의 의도를 분석하고, 이에 부합하는 다양한 카메라 운용기법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적용한 디지털 영상 제작 방안을 제시하고 구현한 시스템을 보인다.

  • PDF

인상 스캐닝 방법에 의해 제작된 디지털 치과 모형의 체적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Dimensional Stability of Digital Dental Model Fabricated by Impression Scanning Method)

  • 김재홍;김기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2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구강으로부터 채득된 인상체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모형을 제작하였을 때 제작된 디지털 모형의 체적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환자의 구강을 가정한 상악 모형을 본 모형으로 채택하였다. 본 모형과 동일한 증례의 연구 모형을 치과용 석고를 이용하여 총 20개의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연구 모형 20개를 치과용 기성 트레이와 두 종류의 치과용 인상재를 이용하여 20개 연구 모형을 대상으로 20개의 인상을 채득하였다. 채득된 20개의 인상체를 치과용 스캐너로 스캐닝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모형으로 변환하였다. 체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6개의 대표 지점을 선정한 뒤 디지털 모형과 함께 디지털 모형의 근간인 석고 모형을 계측하였다. 그 결과 계측된 모든 부위에서 디지털 모형이 석고 모형보다 체적이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이러한 결과들로 추론하여 보았을 때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채득된 인상체를 스캐닝하여 제작한 디지털 모형의 체적은 환자의 구강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차이는 미비한 것으로 여러 선행 연구 결과들을 근거로 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허용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기획 /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KIPA) 디지털콘텐츠제작센터

  • 신선자
    • 디지털콘텐츠
    • /
    • 8호통권123호
    • /
    • pp.96-99
    • /
    • 2003
  • 초고속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영화, 게임, 음악, e-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콘텐츠들이 복합적으로 융합되는 '컨버전스'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21세기는 콘텐츠가 하드웨어를 지배하는 시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콘텐츠는 그만큼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이라는 얘기다. 이에 따라 세계 최고의 IT인프라를 자랑하는 우리나라에서도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디지털콘텐츠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내에 자리잡은 디지털콘텐츠제작지원센터는 이런 추세에 부응해 설립, 운영되고 있는 콘텐츠 제작소로 디지털콘텐츠산업 활성화에 한 몫을 담당하며 관련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 PDF

디지털 영상교육의 특성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igital making educational system and growth)

  • 함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20-421
    • /
    • 2007
  •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현상은 새로운 영상 제작 분야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기관에서 담당하고 있는 디지털 영상 제작 교육의 활성화와 저변확대는 산업현장과 연계될 수 있도록 실무중의 교육으로 발전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디지털 장비의 저변확대에 따른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생산은 새로운 디지털 문화를 형성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 PDF

총의치 제작을 위한 무치악 디지털 모형의 정확도 평가 (Evaluation of Validity of Edentulous Digital Model for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 김원수;김기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3-398
    • /
    • 2015
  • 성공적인 보철치료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선행조건 중 하나는 환자의 구강과 정확한 모형의 제작이다. 최근 치과용 캐드캠을 이용한 보철물의 제작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총의치 제작을 위한 디지털 모형의 정확도를 평가함으로써 해당 임상가(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들에게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아날로그 제작 방식에 의한 석고 모형(대조군)과 이를 스캔하여 제작한 디지털 모형(실험군)을 각각 20개씩 제작 후 정확도 평가를 위한 6개의 계측지점을 선정하였다. 두 집단의 모형에서 측정된 6개의 계측지점의 평균을 비교 평가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모형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과용 스캐너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모형이 아날로그 모형보다 작게 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두 집단의 모형들에서 측정된 계측거리의 평균의 차이는 계측거리 별로 0.05~0.45 mm로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기존 선행 연구들에 근거하였을 때 그 정도가 미비한 것으로써 최종 보철물의 성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치과용 캐드캠을 이용한 보철물의 제작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디지털 모형의 정확도와 관련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을 감안하였을 때 본 연구는 관련 실험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여 해당 임상가(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들에게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고,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치과용 캐드캠을 이용한 총의치 제작 시 제작되는 디지털 모형은 임상적으로 허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