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Search Result 53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Bae, Kyung-Jae;Park, Hee-Ji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4 no.2
    • /
    • pp.241-265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public libraries and suggest improvements. The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which are offer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related soci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explore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gram required for public libraries.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38 librarians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ies. Respondents reported that a cooperative program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with national library is essential, due to the lack of the budget and digital literacy re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a model of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cooperative program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were proposed.

Design the Lesson using a Digital Media for the Growth Creativity (창의성 신장을 위한 디지털미디어 활용 수업 설계 - 디지털카메라를 중심으로 -)

  • Chun, Byung-Jin;Lee, Jae-I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127-132
    • /
    • 2010
  • 창의성은 21세기 지식기반 정보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정보홍수에서 새로운 정보를 재창조하는 중요한 능력이다. 그리고, 디지털미디어는 현대인들의 가장 빠르고 쉽게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도구이다. 현 교육현장에서는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이미지와 영상을 투입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교수자의 입장에서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교수학습자료를 투입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가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창의성있게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디지털미디어 중에서 디지털카메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에서 적합한 학습차시를 선택하여 학습자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수업을 설계하여 적용해 보기로 하였다.

  • PDF

The Digital Divide and Challenges on the Elderly i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지능정보사회 노인층의 디지털 정보격차와 과제)

  • No-Min Park
    • Journal of Digital Policy
    • /
    • v.3 no.1
    • /
    • pp.11-20
    • /
    • 2024
  •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s expected to drastically change our lives. The purpose of this content is to derive tasks in the field of media education for the elderly for the realization of digital inclusion in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o this end, the vision, goals, strategies, and tasks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ere examined through the 6th National Informatization Basic Plan(2018~2022) and the 2022 Education Informatization White Paper(2022).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digital gap among the elderly classified as vulnerable groups was identifi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2022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In order to ease the digital information gap between the elderly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t is believed that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media education services us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provision of media education services for the elderly through learning online service channels, and support for digital intelligent media education for the elderly are necessary.

A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Digital Educa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Subjects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지털교육(인공지능포함) 교과목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Ya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73-37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지털교육(인공지능포함) 방안을 제시하며, 이에 맞는 교과목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연구입니다.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교육부에서 유아교사 자격취득을 위한 세부기준을 발표했는데, 교직과목 중 교직소양영역에 디지털교육을 반드시 포함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디지털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과 과정에 디지털 이해, 디지털 교과 융합교육, 디지털 활용 교육, 디지털윤리 등을 균형있게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유아교육분야는 유아교사로서 디지털 이해, 활용 및 소양 뿐 만 아니라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교과 융합, 인공지능 교육 등을 학습시키는 방안 역시 중요하므로 본 교과목을 통해 미래사회를 주도하는 유아교육분야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본 교과목을 설계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apita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Efficacy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 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Kil-Hee Byon;Dea-Hun Choi;Mee-Ky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27-3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정보화기기 중 PC, 모바일 기기 활용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월평균 소득이 높은 사람,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인 PC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pc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경로와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매개효과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보화기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노력과 단순한 컨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즉시적인 교육 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Usage of Digital Device Based on Digital Literacy (디지털 리터러시에 기반한 디지털 기기 활용방안 연구)

  • Go, HakNeung;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19-222
    • /
    • 2019
  • 4차 산업혁명이 언급되면서 3D 프린터, 로봇,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이 발전하고 이는 사회 구조를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새로운 디지털 기기, 기술들을 이해하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요해지고 있다. 2015 OECD PISA에서 ICT 배경조사 중 한국은 접근성, 활용성 부분과 2018 국가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연구,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의 인식 여부 및 활용 여부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기 활용 공간 구성 및 디지털 기기 활용 콘텐츠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구체적 조작기인 초등학생임을 고려하여 디지털 기기 위주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다. 디지털 기기 활용 공간은 기반 기기로 컴퓨터(노트북), 유 무선 인터넷, 디지털 기기로 3D 프린터 및 3D 프린팅 펜, 스마트폰 기반 VR기기, AR마커, 블록코딩 기반 피지컬 컴퓨팅 교구 등을 이용해서 구성하였다. 활용하는 콘텐츠는 학생들의 인식 여부 및 수준에 맞춰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과 학습, 콘텐츠 제작, 문제해결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Literacy Content Frameworks ('도서관과 정보생활'과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내용 체계 비교 분석)

  • Jeonghoon L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41 no.3
    • /
    • pp.487-50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 structure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literacy curricula to discuss the scope of digital literacy integration based on information literacy. Common areas and learning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literacy curricula and mapped against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ligned in information literacy, creation and sharing, and digital ethics,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did not mention ICT utilizati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ies. The high school 'Media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also addressed ICT utilizati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ies in a limited mann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posing a concrete discussion on the scope of digital literacy integration based on information literacy. Th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termining the scope of digital literacy application when revising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in the future.

A Study on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elements Using Open Contents (오픈 콘텐츠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구성과 활용)

  • Hong, Myunghui;Lee, S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2 no.6
    • /
    • pp.711-721
    • /
    • 2018
  •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shift to a software-driven society are raising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on how to access, understand, use, create and share new open content in a variety of sustainable open content. At this point in time, this paper defines the digital literacy as the subliteracy concept for data, tools, and device elements. It is defin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cognitive and non-cognitive abilities and is stratified by computer literacy, ICT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Open content is also defined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can be used and shared freely by anyone, such as the Open Education Resource (OER) and the Open Access movement. Based on the two definitions, a three-step strategy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was developed to select open content in the digital environment, followed by a digital literacy education plan, and finally, an education frame to foster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MS based on Digital Literacy (디지털 리터러시에 기반한 LMS 활용 방안 연구)

  • Go, Hakneung;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223-225
    • /
    • 2022
  •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역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가 제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2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사항으로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역량으로 디지털 기초 소양을 강화한다. 한편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확대되면서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LMS는 디지털 기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므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는 Microsoft의 Teams, Google의 Classroom, KERIS의 위두랑과 e학습터를 비교하고 디지털 리터러시 내용 요소와 LMS 기능을 관련지어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LMS를 활용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Copyright Education Program using Digital Storytelling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저작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 Heo, SaeRom;Chun, Soek-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119-122
    • /
    • 2014
  •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디지털 저작물의 생산이 고품질 콘텐츠로 연계되어 발전함에 따라 저작권은 오늘날 국민의 재산을 지키고 문화산업 등 21세기 산업을 성장시키는 원동력이자 국가경쟁력의 원천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이 저작권의 중요성이 커짐과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저작권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는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저작권 교육 체계 및 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여 저작권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저작권 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 학습자 주도의 디지털 스토리 제작 과정을 경험하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을 기반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저작권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교 학생들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 및 의식 확대와 저작권 보호 실천 의지 강화를 기대하며 초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저작권 교육활동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