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광원 처리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Light Probe를 이용한 제한된 실내 환경에 존재하는 점 광원 추정 기법 (Point Light Source Estimation from indoor environment from Light Probe)

  • 유재덕;박정욱;조지호;이관행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494-499
    • /
    • 2007
  • 실제 영상과 가상의 오브젝트 또는 가상의 환경에 오브젝트를 합성하는 경우 등 사실적인 합성을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실제 환경과 같은 배경 영상의 정확한 광원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 환경을 배경으로 영상을 합성 하는 과정에 필요한 광원정보를 카메라와 Light Probe를 이용하여 촬영된 단일 영상으로부터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내에 존재하는 광원들은 정확한 위치정보를 알 수 없는 실외환경에서와 달리 제한된 공간의 원점으로부터 3차원 공간에 위치한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광원을 추정하기 위해 먼저 실내 공간에 반사도가 높은 Light Probe를 위치하고 디지털 카메라의 적정 노출을 이용하여 광원 추정에 사용할 영상을 획득한다. 광원으로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경우 짧은 노출시간에도 카메라의 영상에 획득된다. 그렇기 때문에 단일 영상에서 광원의 영역을 추정하기 위해 영상처리를 통해 노출 시간을 짧게 하여 촬영한 영상과 비슷하게 밝은 영역만 표현되도록 처리를 한다. 전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으로 구분을 하고 밝은 영역으로부터 광원의 정보를 추정한다. 추정된 광원들은 실제 렌더링에 곧바로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배경에 적합한 렌더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예비기능이 구비된 LED 항로표지 제어회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D AtoN control circuit With secondary function)

  • 예성현;김지훈;백영선;한순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02-805
    • /
    • 2013
  •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는 해상용 항로표지는 기존 제품 보다 활용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LED전구를 적용하여 운용기간도 연장되었으나, 고장시 대처방법이 없으며, 유지보수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항로표지에 주광원과 예비광원을 동시에 형성하여 주광원 고장시 예비광원으로 운용이 가능한 LED 해상용 항로표지에 적용되는 제어회로를 개발하고 구현 하였다.

디지털 영상에서 무채색 영역과 모집단을 이용한 조명광원의 분광방사 추정 (Estimation of the Spectral Power Distribution of Illumination for Color Digital Image by Using Achromatic Region and Population)

  • 곽한봉;서봉우;이철회;하영호;안석출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39-46
    • /
    • 2001
  • 본 논문에서 우리는 3밴드 이미지로부터 광원의 분광 방사 에너지 분포를 추정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광원은 표면 반사(Ο(λ))에 대응하는 최대 무채색 영역(L(λ))의 반사되는 분광 방사 에너지 분포에 의해 추정된다. 3밴드 이미지로부터 최대 무채색 영역의 분광 방사 에너지 분포를 획득하기 위하여 수정된 그레이월드가정 알고리즘을 채택했다. 그리고 최대 표면 반사는 무채색 모집단으로 주성분 분석 방법을 사용해서 추정을 하였다. 무채색 모집단은 먼셀 컬러 색표에서 문턱값 보다 낮은 크로마 벡터를 사용해서 만들었다. 분리된 무채색 모집단의 제1에서 제3차까지의 누적 기여율은 약 99.75%이다. 무채색 모집단에 의해 광원의 분광 방사 에너지 분포의 재구성 그리고 여러 가지 광원 하에서 획득된 3밴드 디지털 이미지는 원본과 재현된 광원의 분광 방사 에너지 분포를 RMSE에 의해 평가하고 실험하였다.

  • PDF

FOG용 개량형 디지털 serrodyne 신호처리 (Modified digital serrodyne processor for FOG)

  • 예윤해;문영백
    • 한국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16
    • /
    • 2001
  • 폐회로구성의 FOG를 위한 새로운 디지털 신호처리기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이 신호처리기는 현재의 디지털 Serrodyne(DS) 신호처리기가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새로이 설계된 변조파형을 이용하는 알고리즘을 ASIC으로 구현함으로써 만들어졌다. 이신호처리기를 길이가 210미터이고 광원의 파장이 830nm인 FOG에 적용하였을 경우 달성가능한 이론적 감도는 2.6 deg/hr √Hz 으로 계산되었으며 실험결과 3.3 deg/hr/$\sqrt{Hz}$를 얻었다. 또한 신호처리기의 드리프트는 FOG의 광학계가 가진 Shupe 효과보다는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다중 광원에서의 디지털 카메라 특성화 방법 (Digital Camera Characterization Method under Multiple Illuminants)

  • 윤창락;조맹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871-874
    • /
    • 2000
  •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와 같은 휴대형 영상 입력 장치(Portable Image Input Device)는 스캐너 (Scanner)와 달리 3 차원의 피사체(Object)를 디지털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고 다양한 조명 환경(Illuminant)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유로 많은 응용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색 재현(Color Reproduction)을 위한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 특성화 방법(Digital Camera Characterization Method)은 생성된 영상의 조명 정보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색 변환 행렬을 생성하므로 다양한 조명 환경 변화에 대해 적응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생성하는 영상의 rgb 색도를 이용하여 색도 평면에 색도 다각형(Chromaticity Polygon)을 구성하고 각 색도 다각형들간의 포함 관계에 따라 조명 정보를 평가함으로써 조명색(Illuminant Color)의 변화에 따른 인간 시각 시스템(Human Visual System)의 색 불변성(Color Constancy)을 재현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특성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측광 후처리 가공에 의한 유연 광직물의 발광 효과 (Luminescence effects of POF-based Flexible Textile by post-treated Optic illuminate)

  • 양은경;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495-502
    • /
    • 2011
  • 광섬유 직물 기반 스마트 의류가 국, 내외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기존의 일반적인 광섬유는 직물화가 어렵고 내구성, 내수성이 결여되어 세탁 및 유지 관리의 한계로 인해 에칭된 광섬유사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코팅 처리하는 '내수성 광섬유사 가공 기술'이 최근 개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직 후 측광가공 된 유연 광섬유 직물을 대상으로 광섬유사 길이에 따른 특성과 광원 색채에 따른 발광 특성을 분석, 평가하여 디지털 컬러 의류의 적용 적합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광섬유사 길이에 따른 총 4가지 유연 광섬유 직물시료를 제직하여, 이를 대상으로 광원 색채에 따른 유연 광섬유 직물의 휘도, 물리적 가시도, 지각적 가시도를 측정함으로써 발광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cm인 유연 광섬유 직물과 녹색 광원을 사용한 경우가 최대가시거리 100m로 디지털 컬러 의류 즉, 안전보호 기능의 산악복 적용에 가장 적합한 발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유연 광섬유 직물 적용 의류 개발과 관련된 후속 연구의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디지털 호모다인 검출방식을 이용한 간섭형 광섬유센서의 신호처리 (Signal processing of interferometric fiber-optic sensor utilizing a digital homodyne detection)

  • 예윤해
    • 한국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2-69
    • /
    • 1995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 전류펄스기간의 발진주파수 변조와 간섭계 출력신호의 시간지연 샘플링을 이용하여 3x3 coupler등과 같은 특수 광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1개씩의 광원과 광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신호의 변화방향과 함께 half fringe의 수를 count할 수 있으며 광연결선 주변환경의 변화에 의한 세기변화 에러도 피할 수 있는 간섭형 센서를 위한 새로운 신호처리방식을 제안하고 이 방식을 거울내장형 FP간섭계를 이용한 온도센서에 적용하였다. 온도센서소자로 cavity length가 1cm인 FP간섭계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360.deg.C에 걸쳐 분해능 2.7.deg.C로 측정하였으며 이때 최대측정속도는 $ 1.378*10^{5}$.deg.C/sec로 계산되었다. 이 방식에서 분해능과 최대측정속도는 반비례 관계를 가지며 감지 광섬유의 길이에 비례하여 분해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6개까지의 센서소자를 한개의 광원과 광검출기로 모니터하는 다중화 센싱 또한 가능한 신호처리 방식으로써 불평형 간섭계를 이용한 모든 종류의 센서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다.

  • PDF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의 고속 병렬 연산을 위한 연산방식 및 하드웨어 구조 (Methodology and its Hardware Architecture for High-speed Parallel Computation of Computer Generated Hologram)

  • 양월성;최현준;서영호;유지상;김동욱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연산에 의해 디지털 홀로그램(computer-generated hologram, CGH)을 생성할 때 많은 계산량으로 속도가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산식을 수정하고 이를 하드웨어로 구현한다. 기존에 제시된 CGH 연산 알고리즘에 비해 제안한 알고리즘은 디지털 홀로그램의 완벽한 병렬처리가 가능하게 하여 속도지연의 문제를 해소한다. 구현 결과 하드웨어가 주어진다면 최대 3사이클에 한 광원으로부터의 홀로그램성분 전체를 연산할 수 있고, 파이프라인 기법을 사용하면 두 사이클의 지연시간 후 매 사이클마다 한 광원에 대한 홀로그램 연산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고휘도 LED를 이용한 머신비전용 조명광원 제어기 개발 (Using High Brightness LED Light Source Controller for Machine Vision)

  • 박양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311-318
    • /
    • 2014
  • 본 논문은 의료영상시스템, 공장자동화 시스템에서 핵심기술인 정확한 검사와 계측을 위하여 보다 선명하고 안정정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으로 고휘도 LED를 이용한 조명광원의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고휘도 LED 전용드라이버를 장착하여 정전류 방식으로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계하고, 32비트 ARM 프로세서 코어를 사용하여 화상처리 시 필수적인 요소인 광량을 256단계로 나누어 리모트 컨트롤 및 외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하여 볼륨의 저항 값 오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밝기 값의 부정확을 방지하고 디지털화함으로써 빛의 재현성을 개선하였다. 아나로그 전원에 비하여 조광 범위가 넓고 낮은 레벨에서도 조광이 가능하도록 설계 하였으며 또한 RS-485 통신기능을 추가하여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가 광량조절 및 ON/OFF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발 하였다.

주파수영역 광 간섭 단층촬영 시스템을 위한 파장가변 광원 및 신호처리계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Wavelength-Swept-Source and Signal Processing for the Frequency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이응제;김용평
    • 한국광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09-316
    • /
    • 2007
  • 주파수영역 광 간섭 단층촬영 시스템을 위한 파장가변 광원과 주파수 보정(calibration)을 위한 신호처리계를 구현하였다. 제작된 레이저의 평균출력을 부스터(booster) 반도체 광 증폭기를 이용하여 14 mW까지 증폭시키고, 레이저 스펙트럼의 편이(shift)를 보상하였다. 패브리-페롯 에탈론(Fabry-Perot etalon)과 디지털 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로 신호처리계를 제작함으로서 파장가변광원의 속도가변에 따른 비트주파수(beat frequency)의 넓어짐을 보정하였다. 제작된 광 간섭 단층촬영 시스템은 종방향 주사속도 154.4 kHz, 측정깊이 0.95 mm, 종방향 분해능 $12{\pm}0.37{\mu}m$의 특성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