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화 전환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5초

디지털화 전환과 비즈니스 모델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on Enterprise Performance)

  • 양붕;심재연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4호
    • /
    • pp.429-44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산둥성과 장쑤성의 293개 상장기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디지털화 전환을 추진하는 기업을 조사하여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적 정교화와 실증적 연구를 결합하여, 기업의 디지털화 전환, 비즈니스 모델혁신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화 전환은 기업성과와 비즈니스 모델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즈니스 모델혁신은 디지털화 전환과 기업성과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기업들은 디지털화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하고, 프로세스를 가속화해야 한다. 또한 기업들도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업의 비즈니스 혁신모델을 최적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기업은 기업의 디지털화 전환을 위한 발전적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디지털화 전환과 비즈니스 모델혁신의 실천에 대한 지원과 협력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국내 지상파 디지털방송 전환계획의 기본 환경

  • 이광직
    • 방송과미디어
    • /
    • 제3권3호
    • /
    • pp.11-23
    • /
    • 1998
  •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한 급속한 기술혁신과 정보통신 시장의 대내 \ulcorner외적 개방으로 방송과 통신 등 미디어간의 융합화가 가속되고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들이 지상파 디지털TV 방송실시 계획을 발표 함으로서 방송의 디지털화는 기정 사실화 되었다. 또한 각국은 방송시장의 개방에 대응하여 방송산업의 경쟁력강화 및 이를 통한 문화적 정체성 확보에 고심하고 있다. 이러한 방송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하여 21세기 멀티미디어/정보화 시대에 국내 방송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국내 지상파 디지털TV 방송의 전환계획은 매우 중요하며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국내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전환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기본적인 전환 일정, 디지털TV 방송 및 동시방송과 관련된 세부 전환 일정, 유료방송 관련 사항, 주파수 활용 계획, 전환비용, 산업체의 기술확보 계획, 디지털방송 관련 법/제도 등 주요 사항들을 여러 분야에서 연구하여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각 관련기관들이 노력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국내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요 사항들에 대한 기본 배경 및 환경들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이를 기초로 관련 기관들로부터 의견을 수집하고, 외국의 사례를 참조하여 수행된 주요 사항들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 PDF

인프라 측면 디지털 전환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alysis of Infrastructure)

  • 신선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37-45
    • /
    • 202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균형 잡힌 디지털 전략 수립을 위한 참고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 차원의 디지털 전환 단계별 지표를 수집,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인프라측면의 디지털 전환 프레임워크 수립을 위해 종래의 유형/무형 인프라 분류 외에 데이터 시대에 핵심 자산으로 꼽히며 중요도가 올라가고 있는 데이터 인프라를 소범주로 추가하여, 3개 범주(유형/무형, 테이터) 19개의 지표를 전산화, 디지털화, 디지털 전환의 디지털 전환 3단계에 걸쳐 파악하여, 우리나라 디지털 인프라의 변화를 함께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우리나라의 인프라 측면의 디지털 전환은 높은 수준으로 디지털화에서 디지털 전환으로 넘어가는 단계에 있다. 둘째, 디지털 전환이 촉발되면서 디지털 전환 정책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어서 포용, 사회 격차 등에 대한 정책이 추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고 있는 규제 환경에 대한 개선도 중요하다. 셋째, 데이터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데이터 인프라 측면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표 개발 및 측정 방안 연구가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된 지표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추후 도출된 지표를 산업별, 업종별, 기업규모별, 연령별, 성별, 지역별, 집단별로 다른 디지털 전환 수준의 차이에 관한 특화 연구도 가능하며, 사회, 산업 분야로의 디지털 전환확장 지표의 연구가 가능하다. 기대효과로는 각 지표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과정을 심화시킴으로서 향후 디지털 전환 정책을 구성하고 추진하는데, 정책 결과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다.

일본의 디지털 방송 전환 정책 및 주요 민간방송의 사업전략

  • 김무곤;김관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4권
    • /
    • pp.7-35
    • /
    • 2004
  • 본 연구는 산업조직론에 입각하여 일본의 디지털 방송전환이 주요 민간방송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01년까지로 확정된 일본 정부의 전환계획은 지상파 방송사에게 재정적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방방송사들은 디지털화에 대한 투자를 감당할 능력이 없어 도산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일본 정부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미디어 소유 제한의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주요 민간방송사들은 사업다각화를 통해 다채널 방송 시장에서도 지배적인 지위를 확보하려는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화 비용의 증가로 인해 수익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위성방송의 가입자가 기대한 만큼 증가하지 않아 재정상태가 불안정해지고 있다.

  • PDF

스마트 건설을 위한 건설산업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전환 방안 연구: 데이터 허브와 응용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활용 (A Study on Digitaliz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Smart Construction: Utilization of Data Hub an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

  • 김지명;손승현;윤경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9-390
    • /
    • 2022
  •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은 그 활용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도 드론, IoT, 센서기술, 디지털트원 등의 도입을 통해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변화를 꾀하고 있으나, 그 변화는 타 산업에 비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불고 있는 건설업계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전환은 건설산업이 처해 있는 고질적인 문제들을 개선하고 혁신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와 디지털 전환에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 허브와 데이터 허브의 이용을 위한 API를 활용한 케이스 스터디를 진행해 보고, 이를 통해 데이터 허브와 API 활용에 대한 효율성과 타당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API 시스템 도입 시 일인 평균 약 23%의 예산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 4.4배의 비용대비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업 추진 타당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및 프레임 워크는 관련 연구의 기초 연구자료가 될 것이며, 관련 기술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좋은 사례 연구가 될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건설업의 스마트화를 위한 디지털화와 디지털 전환에 기여 할 것이다.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정책적 대응 방향: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A Study on Risk Issues and Policy for Future Society of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 구본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30권1호
    • /
    • pp.1-20
    • /
    • 2022
  •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디짓화(digitisation)와 디지털화(digitalisation)의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의미한다. 디지털 전환은 경제/사회 발전 및 삶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도구로 작용하지만 부정적 영향(개인정보 오남용, 윤리문제 야기, 사회적 격차 심화 등)을 미칠 수도 있는 양면성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산업 경쟁력 및 기술 패권 확보 등을 위하여 디지털 전환 촉진정책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반면, 디지털 전환 관련 위험이슈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정책 추진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 초래할 수 있는 미래사회 위험이슈를 Embedded Topic Modeling 방법론 기반의 언론기사 빅데이터 정량분석으로 체계화 및 구체화하고,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세부 이슈들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주요국과 한국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세부이슈를 구체화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분석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정부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근거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의 역기능은 기술 분야에만 한정되어 나타나지 않고 국가안보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는 디지털 전환의 순기능 촉진뿐만 아니라 역기능 대응을 위한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 세부이슈들은 국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정부는 국가적/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이해관계자들의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의 큰 방향을 설정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디지털방송오디오 레벨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Scheme for Audio Level in Digital Broadcast)

  • 이상운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33
    • /
    • 2011
  • 방송 시청 중 한 채널에서의 프로그램 전환 혹은 시청 채널을 전환 할 경우, 프로그램 혹은 채널 간 오디오 레벨의 불균일은 시청자들에게 불편을 야기 시킬 수 있다. 특히 방송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됨에 따라 이런 현상은 더욱 심각하게 발생이 될 수 있으며, 국가 간 고속 통신망의 확산에 따른 방송서비스 및 콘텐츠 배포 환경의 고도화로 인하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국제적 교환이 더욱 증대되어 디지털 방송 오디오 레벨의 균일화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방송 오디오 레벨 제어 관련 국내 현황을 조사하고, ITU-R 등 국제 표준화와 유럽 미국 등 외국의 대응 등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하고 국내 대응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지상파 TV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문화적 인식과 접근 (A Cultural Approach to the Digital transition)

  • 김평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1권
    • /
    • pp.63-86
    • /
    • 2003
  • 디지털TV는 새로운 TV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TV는 이제 지금과 같은 단순한 수상기에서 벗어나 디지털화되면서 고품질의 방송서비스 뿐 아니라, 네트웍으로 연결된 컴퓨터처럼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매체로 바뀌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TV 전환의 실제 현황은 이러한 미래주의적 전망과는 매우 다르다. 아직 초기이기는 하지만 TV의 디지털 전환은 정책, 경영전략, 마케팅, 그리고 수용자 등, 여러 차원에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전환은 주로 정책, 기술, 경영모델, 시장개척 차원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정책과 경영전략, 그리고 마케팅과 관련된 문제들은 수용자 문제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디지털TV의 수용에는 복합적인 문화적 차원의 문제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디지털TV의 기술적 전환은 문화적 전환보다 쉬운 문제이다. 문화적 차원의 디지털 전환은 정책담당자나 관련 산업계에 지금까지와는 다른 문제인식과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 PDF

디지털전환의 미래 예측 시나리오: 퓨처스휠 기법을 중심으로 (Scenario Planning after Digital Switchover in S. Korea: The Use of Futures Wheel)

  • 오종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54-161
    • /
    • 2009
  •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인해, 전 세계의 TV와 라디오 방송사들은 전면적인 디지털 방송화를 위해 매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전면 중단해야만 하는 디지털 전환정책을 2012년까지 완수하여야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대략 30%정도의 디지털 전환률을 보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 조차도 관련 기관의 공식적인 집계는 아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와 같은 해인 2012년 디지털 전환을 완료해야 하는 영국의 경우 2008년 2분기 현재 88%의 디지털 전환률을 보이고 있는 것은 비교될 만하다. 현재 상태로 우리나라의 디지털 전환은 장밋빛 미래를 기대하기 힘들 뿐 아니라, 위태로운 지경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래학적인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디지털 전환의 미래를 예측하여 보고, 시청 행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서는 미래 예측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퓨처스휠 기법을 적용하였다. 결론에서는 우리나라의 급박한 디지털 전환에 대처하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대학교 로보틱스 프로세스 자동화 교육과정 개발 (A Development of a Curriculum of Robotics Process Automation Educ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 박종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45-55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여러 목표 중에서 로보틱스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대학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ICT 기술의 발전과 4차 산업혁명의 과정에서 기존의 아날로그 정보들은 이산화, 디지털화, 디지털 전환의 단계를 거쳐 변화해 왔다. 최근 디지털 전환은 기존의 산업 시스템과 비즈니스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파괴적 혁명에 따른 필수적인 생존 전략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제품 및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디지털 역량을 활용함으로써 고객 및 시장의 파괴적인 변화에 적응하거나 이를 추진하는 지속적인 프로세스로 정의되고 있는데 이를 위해 기업이나 단체의 프로세스 자동화가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따른 대학에서의 로보틱스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필요가 제기되고 있어 기업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던 관련 교육 내용을 대학교를 위한 교육과정으로 도입하기 위해 재설계하였다. 교육과정은 수강생들이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의 이센셜 또는 고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