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6초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통한 효과적인 광고 제공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Advertisement Offer System using Digital Information Display)

  • 강민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73-80
    • /
    • 2013
  •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 Digital Information Display)는 공공정보 게시용 디스플레이 제품을 총칭한다. 최근에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에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여 기업이나 상품의 광고 및 홍보 영상을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방식의 광고들이 현저하게 늘고 있다. 본 논문은 효과적인 광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DID를 통해 광고하는데 있어서, DID가 위치하는 장소의 유동인구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그에 따른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가 선택적으로 광고를 구매할 수 있는 광고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광고주에게 합리적인 비용을 제시하도록 하여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한 광고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디지털 복원을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전시의 형태 (A Study on Digital Displays for Digital Restoration)

  • 김시은;최승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45-155
    • /
    • 2021
  •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오래된 문화재나 훼손된 미술작품을 디지털 기술로 정보를 저장하고 관련된 내용을 영상이나 콘텐츠로 제작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전시하는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통해 재생된 정보와 콘텐츠는 고미술의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관객들의 감상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를 저장하여 작품의 복원이나 보존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복원의 범위를 세 가지 방향으로 정의하고 그 중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자연과 인류의 유산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보조적 역할의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과 전시를 디지털 복원의 범위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해당 범위의 디지털 복원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전시의 형태를 분석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다양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행태를 설치한 강릉 오죽헌/시립미술관과 뉴욕에 있는 자연사박물관을 사례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복원을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전시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전시장에서 관람객들의 참여와 흥미를 유도할 수 있어 자연과 인류의 유산 보존을 위한 긍정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홀로그래픽 테이블탑형 디스플레이 기술 (Technology of Tabletop Digital Holographic Display)

  • 박중기;윤민성;김재한;추현곤;최진수;김진웅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0권3호
    • /
    • pp.31-41
    • /
    • 2015
  •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가간섭성 광원을 이용하여 광파의 진폭 정보뿐만 아니라 위상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홀로그래피 방식의 광파 재생은 광파를 산란시키는 3차원 대상물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이상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으로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와 기존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가 갖고 있는 제한된 시야각을 확장하여 360도 방향에서 홀로그램 입체영상을 자유자재로 즐길 수 있는 테이블탑 형태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을 소개한다.

  • PDF

휴대용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

  • 한준구
    • 정보와 통신
    • /
    • 제31권2호
    • /
    • pp.29-36
    • /
    • 2014
  • 일상 생활에서 우리는 스마트 폰을 비롯한 휴대용 디지털 기기를 자주 활용하고 있다. 휴대용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보여주는 출력 용도뿐 아니라 입력 장치로서도 효용성이 매우 높으며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주요 부품으로 그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한편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은 최근 몇 년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몇몇 상용화에 근접한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현재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가 커다란 광학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있지만 많은 연구자들은 궁극적으로 휴대가 가능할 만큼 단순하고 경량화된 구조로 실현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아직 휴대용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가 구현되지 못한 현시점에서 앞으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가 구현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 기술들의 동향과 전망을 하고자 한다.

대학홍보용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의 이용자중심 콘텐츠개발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용인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finement of a University's Information Display for User-oriented Contents -Focused on Yong In University-)

  • 박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383-38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홍보 및 정보안내를 위해 용인대학교 교내에 설치된 디지털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의 이용행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정보제공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용자중심의 콘텐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장관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연구결과, 이용자 중심의 주요 콘텐츠를 추출하여 정보의 중요도 및 시간대에 맞는 맞춤 콘텐츠를 차등노출하고 체류시간이 많은 공간에 디스플레이를 재배치함으로써 정보전달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교 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공간에 설치되는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의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콘텐츠 구성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불규칙 곡면에 대한 멀티 터치 인터랙션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Multi-Touch Interactive System About An Irregular Curved Surface)

  • 강맹관;;서인교;이상완;;;이동훈;윤태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26-529
    • /
    • 2011
  • 최근 각광 받고 있는 멀티 터치 인터랙션 시스템에서 기존의 디스플레이 방식인 벽면 디스플레이 방식의 네모난 형태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아닌 볼록형(Convex) 불규칙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산 모양의 디오라마 형태의 디스플레이에서 멀티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볼록형 불규칙 표면의 산 디오라마를 제작을 하고 후면 투영 방식으로 프로젝터 영상을 산 디오라마 표면을 대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영상 분석 모듈을 통하여 터치 인터랙션 좌표 정보를 분석한다. 분석된 터치 인터랙션 좌표는 3D 좌표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에 보내면 디스플레이 모듈에서는 인터랙션 메타포로 분석하고 결과를 콘텐츠에 실행시킴으로써 볼록형 불규칙 표면의 산 디오라마에서 멀티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가 체감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은 향후 다양한 디오라마 형태로 제작하여 목적에 맞는 전시 시스템으로의 디바이스나 체감형 아케이드 게임 디바이스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공간 대역폭 (Space-bandwidth product in digital holography)

  • 한준구
    • 방송과미디어
    • /
    • 제16권2호
    • /
    • pp.63-72
    • /
    • 2011
  •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가간섭성 광원을 이용하여 광파의 위상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홀로그래피 방식의 광파 재생은 광파를 산란시키는 3차원 대상물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이상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으로 여겨진다. 디지털 홀로그래피에서 광파의 샘플링 영역과 그 대역폭의 곱은 공간 대역폭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공간 대역폭은 디지털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능력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수치이다. 공간 대역폭은 샘플링 개수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focal plane array (FPA)나 spatial light modulator (SLM)의 픽셀 개수와 일치한다.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로 기존의 디스플레이가 가지는 크기와 시야각 수준의 광파를 표현하고자 한다면 매우 큰 공간 대역폭이 요구된다. 따라서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공간 대역폭을 늘리기 위한 방법은 꾸준히 연구되어 오고 있으며 최근 주목할 만한 시스템들이 제안되었다. 공간 대역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SLM을 이용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에서 가시 부피와 해상도에 대해 논하고, 최근 주목 받고 있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의 공간 대역폭을 정리하였다.

디지털 컬러의 색채정보 체계화

  • 이지영
    • 기계저널
    • /
    • 제55권8호
    • /
    • pp.45-48
    • /
    • 2015
  • 이 글에서는 조명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종래의 '색채'와 구분되는 '디지털 컬러'라는 새로운 개념이 대두됨에 따라, 빛을 매개로 디스플레이 되는 컬러와 이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정보 및 색온도, 휘도, 전력소모량 등 특성적 정보의 정량화, 표준화 기반에 대한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