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로그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Digilog Exhibition Technique of Cultural Heritage using Five Senses Interaction (오감 인터랙션을 활용한 문화유산 디지로그 전시 기법 연구)

  • Park, Jeong-Yeon;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13-41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수중 문화재를 주제로 오감 인터랙션을 활용한 디지로그 전시 기법을 연구한다. 영상을 활용한 디지털미디어가 중심인 기존의 전시 기법에 시각, 청각, 촉각과 같은 다양한 감각기관을 활용한 인터랙션을 추가함으로써 관람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프로젝션 매핑, 증강현실과 같은 디지털 기술과 난파선과 자갈, 실물 크기의 모형 유물과 같은 아날로그를 결합하여 관람객에게 실재감을 주어 효과적인 몰입감(flow)을 유도하고자 한다.

  • PDF

Find Maze Functional Device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통신을 활용한 기능성 미로 찾기 장치)

  • Kim, Ho-Joo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8 no.6
    • /
    • pp.478-482
    • /
    • 2015
  • With the analysis result about previous curative effect researchs, It has been reported that game play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ing social intelligence of handicappted children who have ADHD, tic disorder, communication disorder, or autism.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digilog game play therapy contents that was combined analog and digital. We infer that this contents is effective game play therapy not only for ordinary people but also for dementia old man, or intellectual disorder man. Also We are going to develop a new digilog play game system for preventi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Direct Manipulation based Trajectory Inserting and Editing Methods for ARtalet Authoring Tool (디지로그 북 저작을 위한 감각형 조작 도구를 이용한 직조작 기반의 3D 객체의 이동궤적 삽입 및 편집 기술)

  • Ha, Tae-Jin;Lee, Young-Ho;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497-501
    • /
    • 2009
  • 'Digilog Book' integrates advantages of existing paper book and immersive digital contents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which enables users to feel physical touch and get additional multisensory feedback. As a high level authoring user interface, 'ARtalet' provides an intuitive way to make Digilog Book through 3D user interface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This paper mentions trajectory inserting and editing methods of 3D objects, then combining method of the trajectory. 3D object is selected by camera tracked prop, and then transformation matrix relative to book plane is stored in real time based on timeframe. The saved trajectory is managed as templates, and user can make various compositions of trajectories. We expect that suggested methods can enhance interest of readers.

  • PDF

In-Situ based Trajectory Editing Method of a 3D Object for Digilog Book Authoring (디지로그 북 저작을 위한 3D 객체의 In-Situ 기반의 이동 궤적 편집 기법)

  • Ha, Tae-Jin;Woo, Woon-Tack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15-24
    • /
    • 2010
  • A Digilog Book is an augmented reality (AR) based next generation publication supporting both sentimental analog emotions and digitized multi-sensory feedbacks by combining a conventional printed book and digital contents. As a Digilog Book authoring software, ARtalet provides an intuitive authoring environment through 3D user interface in AR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suggest ARtalet authoring environment based trajectory editing method to generate and manipulate a movement path of an augmented 3D object on the Digilog Book. Specifically, the translation points of the 3D manipulation prop is examined to determine that the point is a proper control point of a trajectory. Then the interpolation using splines is conducted to reconstruct the trajectory with smoothed form. The dynamic score based selection method is also exploited to effectively select small and dense control points of the trajectory. In an experimental evaluation our method took the same time and generated a similar amount of errors as the usual approach, but reduced the number of control points needed by over 90%. The reduced number of control points can properly reconstruct a movement path and drastically decrease the number of control point selections required for movement path modification. For control manipulation, the task completion time was reduced and there was less hand movement needed than with conventional method. Our method can be applicable to drawing or curve editing method in immersive In-Situ AR based education, game, design, animation, simulation application domains.

  • PDF

디지틀 이동통신의 최근 부품 개발 동향

  • 한경호
    • 전기의세계
    • /
    • v.43 no.1
    • /
    • pp.20-22
    • /
    • 1994
  • 이동통신은 그 방식이 아날로그든 디지틀이든 같은 기능의 음성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이다. 아나로그형은 크게 RF 수신부, RF 송신부, 신호처리부 제어부 그리고 전원부로 나누어 진다. 통화시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정교환 신호 여과기가 필요하다. Philips사의 경우 몇개의 칩으로 RF/IF 변환, 아나로그 신호처리 그리고 신호제어를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몇몇 선두회사들은 하나의 아나로그 처리기로 baseband 아나로그 신호를 처리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RF 부분은 아직 별도의 PCB에 제작되는데 이유는 IF 부분의 송.수신부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RF 부분에는 가격을 내리기 위해 개별 소자들이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 PDF

Study of Design for Digital Appliance Interlace Using Analog Metaphor (아날로그 메타포를 활용한 디지털 가전 제품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Shim, Jae-Hee;Yang, Jeong-Hwa;Jang, Sae-H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334-339
    • /
    • 2008
  • 요즈음 각종 미디어를 통해 '디지로그' 라는 신조어가 주목 받고 있다. 디지로그의 핵심은 디지털 기반의 이분법적인 사고의 틀을 보완하기 위해 아날로그적인 감성의 도입을 의미한다. 이는 기능중심적인사고로 해결할 수 없는 인간과 컴퓨터의 간극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HCI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생활가전제품 인터페이스의 중요한 목적은 사용성, 유용성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 이었다. 이는 제품자체의 목적을 그 기능에 국한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에어컨, 냉장고와 같은 생활 가전제품들의 위상은 기능을 넘어 집안의 인테리어의 요소로써의 역할 뿐만 아니라 자신을 대변 할 수 있는 혹은 과시하고 싶은 명품 이미지로써 점차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또한 TFT Color LCD의 도입은 제품의 상태를 단순히 전달해 주는 단계를 벗어나 심미적인 표현까지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를 계기로 수채화 표현기법과 같은 아날로그 메타포를 활용한 감성적 인터페이스가 시도될 수 있었다. 아날로그 메다포를 활용한 디지털 가전 인터페이스의 첫 번째 단계는 스타일이다. 아날로그적인 스타일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바로 회화영역이다. 에어컨 공기청정기능의 프로그레시브 영역에 수채화로 표현된 산과 들을 보여줌으로서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풍경화로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정신적인 만족감과 더불어 제품의 프리미엄의 이미지를 각인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스토리이다. 기능을 디지털의 On/Off에 의거하여 나열 하기보다 기능과 기능사이의 문맥을 스토리로 연결함으로서 아날로그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토리의 기준은 사용자의 경험에 기인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계는 컨텐츠이다. 이제는 한가지로 집중된 기능만으로는 사용자를 만족 시킬 수 없다. 사용자에게 인간적인 체온이 느껴지는 아날로그적인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서 인터페이스 자체로 감동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디지털제품의 궁극적인 목표가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이제는 똑똑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넘어 사용자체가 감성적 만족감을 주는 매력적인 인터페이스로 진화 하고 있는 것이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Webzine for Public Relations of Seoguipo Chilsimri Festival (서귀포 칠십리 축제 홍보를 위한 웹진의 설계 및 개발)

  • Cho, Jae-Choon;Lee, Kyung-Jin;Cho,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688-691
    • /
    • 2009
  • 축제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노력가운데 축제의 배경과 의미, 행사 내용 등을 담은 축제 콘텐츠의 개발과 이를 통한 홍보는 매우 중요하다. 디지털과 인터넷의 장점을 살려 이를 매개로 하는 웹페이지와 같은 홍보 수단은 전통적인 홍보수단인 책자, TV 및 라디오 방송과 함께 중요한 축을 이루어 왔다. 디지털 홍보 수단의 가장 큰 장점은 내용의 수정 요구가 있을 때, 아날로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도 가능하며, 재활용성도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잡지의 아날로그 미디어와 디지털 미디어가 결합된 디지로그 형태의 웹진의 활용은 아날로그 미디어에 더 익숙한 사용자 층을 배려하면서도 또한 새롭고 혁신적인 미디어를 원하는 사용자 층을 위한 새로운 홍보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귀포 칠십리 축제의 홍보를 위한 웹진을 설계 및 개발한다. 서귀포 칠십리 축제의 홍보를 극대화하기 위해, 제주도 관광 정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있는 주요 일곱 가지의 정보제공형태를 도입하고 축제와 참가자간의 상호작용을 도울 수 있는 참여마당을 웹진에 반영하였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서귀포 칠십리 축제의 홍보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참가자에게 축제를 만끽하고 영원한 추억으로 남길 수 있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