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젤 배출 질소산화물

Search Result 13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Farm Engine Characteristics of Biodiesel using Mixed Waste Vegetable Oil (폐식물성혼합유지 바이오디젤의 농용기관특성 평가)

  • Choi, Hwon;Lim, HackKyu;Kim, Tae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0-60
    • /
    • 2017
  •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이 문제시 되면서 친환경 에너지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 바이오디젤은 동,식물성유지 및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생산이 가능할뿐더러 농용엔진에 특별한 개조 없이 사용가능하다. 또한 바이오디젤 자체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이산화탄소 저감에 효율적이다. 바이오 디젤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기존의 연구는 단일유지의 폐식용유를 사용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가정에서 배출되는 식물성 폐식용유의 경우 여러 가지가 혼합되어 배출되고 있어, 혼합폐식용유지의 바이오디젤 특성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식물성유지(폐대두유, 폐카놀라유, 폐해바라기유)를 중량비(1:4, 1:1.5 1:0.66, 1:0.25)로 혼합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 생산한 바이오디젤을 농용기관에 이용하여 농용기관의 출력특성 및 배기배출물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농용기관은 배기량이 673cc인 직접분사식 디젤기관(ND10DE, Daedong, Korea)이며, 엔진성능평가를 위해 토크는 토크센서(YDL-704s, Setech, Korea)를 사용하였다. 배기배출물 평가는 배기가스분석기(HG-550, Airlex, Germany)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을의 배출량을 측정하였다.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생산한 바이오디젤과 경유의 기관성능을 비교한 결과 토크와 축출력의 경우 BD의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었다. 토크는 혼합된 유지에 따라 상용운전범위인 1500rpm~2400rpm에서 평균 대두와 카놀라유를 혼합하여 생산한 BD10은 7.2%, BD20은 12.1% 감소하였고, 대두와 해바라기유를 혼합하여 생산한 BD10은 11.3% BD20은 16.3% 감소하였다. 또한 해바라기와 카놀라유를 혼합하여 생산한 BD10은 8.3%, BD20은 14.6% 감소하였다. 이는 BD의 발열량이 경유에 비해 낮아 토크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배기배출물 평가의 경우 질소산화물은 BD의 함랑이 증가함에 따라 경유에 비해 배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산화탄소는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이오디젤이 함산소연료이므로, 연료내의 산소로 인해 완전연소를 촉진시켜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고 질소산화물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Biodiesel Fuel on Characteristics of Specific Fuel Consumption and Exhaust Emissions in DI Diesel Engine - Using Rape Oil - (직접분사식 디젤기관에서 연료소비율 및 배기배출물 특성에 미치는 바이오디젤유의 영향 - 유채유를 중심으로 -)

  • Lim, Jae-Keun;Choi, Soon-Youl;Kim, Suk-Joon;Cho, Sang-G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1
    • /
    • pp.83-87
    • /
    • 2008
  • We have a lot of interest in alternative fuels to provide energy independence from oil producing country and to reduce exhaust emissions for air pollution prevention. Biodiesel, which can be generated from natural renewable sources such as new or used vegetable oils or animal fats, may be used as fuel without change of engine structure in diesel engine of compression ignition engine. In this paper, the test results on specific fuel consumption and exhaust emissions of neat diesel oil and biodiesel blends(10 vol.% biodiesel and 20 vol.% biodiesel) were presented using four stroke,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Especially this biodisel was produced from rape oil at our laboratory by ourselves. This study showed that specific fuel consumption and NOx emission were slight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CO emission and Soot were tolerably decreased more in the case of biodiesel blends than neat diesel oil.

  • PDF

The requirement of development on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 for the diesel engine (전자 제어식 고압 연료분사장치 개발)

  • 이재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6
    • /
    • pp.33-39
    • /
    • 1996
  • 최근 서울의 일부 지역에서는 오존 주의보에 의한 대기 오염의 수치가 발표되고 있어 이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기오염의 주범은 자동차이며, 자동차에서 주로 많이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과 탄화수소(HC) 및 디젤자동차에서의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등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러한 물질의 저감에 대한 요구가 점차 강화되어가고 있다. 특히, 디젤 엔진이 가솔린 엔진에 비해 대기오염의 주원인이라는 편견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는 눈에 보이는 Black smoke에 대한 거부반응이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디젤 엔진의 유해 배출 성분 중에서 NOx는 가솔린과 비슷한 수준이나 HC와 CO성분은 상당히 적게 배출되고 있다. 또한, 디젤 엔진은 연료 경제성 및 지구 온난화의 원인인 CO$_{2}$ 배출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디젤 엔진에서 많이 배출되는 성분으로서 입자상 물질(PM) 및 NOx를 줄이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저감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분사계 측면에서 전자제어식 고압 연료 분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의 개발 필요성에 대해서 논하기로 한다.

  • PDF

Engine performance and emission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 blended diesel fuel in a passenger car diesel engine (바이오디젤 혼합연료를 적용한 승용디젤엔진의 성능 및 배출물 저감특성)

  • Jho, Shi Gie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3
    • /
    • pp.181-185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canola biodiesel blended fuel on the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four cylinder CRDI(Common-rail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In this study, using the biodiesel fuel(20%,40% of biodiesel-canola oil and 80%, 60% of ULSD(ultra low sulfur diesel) by volume ratio with change of engine speed and injection pressure. The experiment results of increasing biodiesel ratio fuel show that NOx emissions increased. However, soot emission were reduced BC fuels compared to ULSD. Soot emissions largely increased at low injection pressure.

Application of PIV technique to spray behavior characteristics study in evaporative field (증발 분무 거동특성 연구에 있어서 PIV 기법의 적용)

  • Yeom, J.K.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5 no.3
    • /
    • pp.5-11
    • /
    • 2011
  • 디젤기관의 경우는 종래부터 직분식이 주류를 이루었고, 근래에는 분사압력의 고압화가 진행중이다. 분사압력의 고압화에 의해 연소효율의 향상 및 배출가스중의 입자상물질(PM:Particulate Matter)의 저감을 유도하고 있으나, 연소가스의 고온화로 인해 질소산화물(NOx:Nitrogen Oxides)은 증가한다. 따라서, 분사기간의 지연(Retard)이나 파일럿분사(Pilot injection)등의 혼합기제어에 의해 질소산화물의 저감을 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젤기관에 있어서도 혼합기 형성의 최적화에 의한 연소제어를 시도하는 수법이 중시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는 디젤분무 구조에 기초한 혼합기의 형성기구에 대한 규명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고도의 혼합기형성 제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고온 고압장에서의 증발디젤자유분무구조를 해석하였으며, 계측영역은 연료와 주위기체와의 혼합이 활발히 진행되는 분무의 하류영역으로 설정하고, 입자화상속도측정법(particle Image Velocimetry:PIV)을 이용한 분무의 유동해석을 기초로 증발 디젤분무의 구조 해석을 행하였다. 실험조건으로서 분사압력을 72MPa, 112MPa로 각각 변화시켰다.

Exhaust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Heavy-duty Diesel Engine applicable to Prime Propulsion Engine for Marine Vessels (선박 주 추진기관으로 사용가능한 대형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특성 분석)

  • Lee, Hyung-Min;Park, Rang-E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6 no.4
    • /
    • pp.484-489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work presented here was focused on analysis of particulate matter and nitrogen oxide characteristics in ESC test mode from heavy-duty diesel engine installed on-road vehicles applicable to prime propulsion engine for marine vessels. The authors confirmed that a large quantity particulate matter were emitted in high power density condition, nitrogen oxide characteristics were dependent on exhaust gas temperature. Particulate matters were reduced by 1/100~1/1,000 times in post DPF with test modes but filtration efficiency was decreased in the engine power fluctuation. In the case of the high speed and power condition, the exhaust level of particulate matters wa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ment of temperature of gas flowing into DPF. The orders of magnitude for particle concentration levels from the analysis of size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s of test engine was different. Both emitting nano-sized particles below 100nm regardless of DPF and non-DPF.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ngine Performance and Emission by EGR Ratio (EGR율에 따른 엔진성능 및 배출가스 특성에 관한 연구)

  • Baik, Doo-Sung;Lee, Jong-S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543-545
    • /
    • 2009
  • 유럽을 포함한 많은 선진국들은 자동차 배기가스에 대한 환경규제를 만족하기 위해서 노력을 하고 있다. 가솔린 엔진에 비해서 문제가 되는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즉 질소 산화물과 입자상 물질을 저감하려는 노력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11,000cc 대형 터보 디젤엔진에 배기가스 순환장치를 설치하여 질소산화물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한다.

  • PDF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NOx in Medium Speed Diesel Engine (중속 디젤기관의 질소산화물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우석근;윤건식;윤영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4 no.4
    • /
    • pp.526-534
    • /
    • 2000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xhaust emissions in medium speed diesel engine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s to derive the optimum conditions for minimizing the exhaust emissions, especially, nitrogen oxides. The 355 KW$\times$1200 rpm medium speed diesel engine was intensively examined to investigate the trend of exhaust emissions in case that the parameters affecting combustion conditions such as fuel injection timing, intake air temperature and pressure, engine speed and load were changed. The exhaust emissions for 9 sets of medium speed diesel engine were analyzed in addition. From this study, NOx level could be reduced by 30~50% through the adjustment of retarded fuel injection timing, lowered intake air temperature and increased charging air pressure.

  • PDF

협회뉴스

  • Korean Society of Ship Inspection and Technology
    • 선박안전기술공단 소식
    • /
    • s.2
    • /
    • pp.2-3
    • /
    • 2006
  • "수상레저기구에 대한 안전검사 및 검정업무 대행"/ 2005년도 "올해의 KST인" 선발/ 선도그룹 양성을 위한 위탁교육 실시/ 디젤기관의 질소산화물(NOx) 배출규제 관련 간담회 개최/ "신규직원 공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