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젤매연필터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부압을 이용한 매연저감장치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Smoke Reduction System using Vacuum)

  • 함성훈;권영웅;오세훈;박성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714-718
    • /
    • 2009
  • 지난 수년간 디젤엔진의 성능을 지배하는 인자를 도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디젤엔진의 배출물은 대기 환경오염의 주원인으로 많은 나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디젤엔진의 매연 저감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새로운 시스템은 매연을 포집하기 위해 부압장치와 수분이 포함된 필터를 사용하였다. 새로운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하여 디젤 차량의 실차 성능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 매연저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L급 디젤엔진의 배압이용 DPF 매연포집량 예측에 대한 연구 (Study on Estimation of PM Mass in DPF from Pressure Drop in 3L Diesel Engine)

  • 김홍석;이진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5호
    • /
    • pp.499-504
    • /
    • 2010
  • 디젤 매연여과장치내 포집된 입자상물질의 재생 시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매연 포집량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필터내 축적된 매연 포집량은 필터 전 후의 압력차와 배기유량에 의해 예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디젤산화촉매와 디젤매연여과장치 전 후의 각각 압력차의 비로써 정의한 매연지수의 산출을 위해 효과적인 신호처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3L급 승용 디젤엔진에서 정상운전조건과 과도운전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매연지수와 매연 포집량에 있어서 일정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디젤 매연 필터에서 퇴적되는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 예측 (Prediction of Particulate Matter Being Accumulated in a Diesel Particulate Filter)

  • 유준;전제록;홍현준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9-34
    • /
    • 2009
  • 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has been developed to optimize engine out emission, especially particulate matter (PM). One of the main important factors for developing the DPF is estimation of soot mass being accumulated inside the DPF. Evaluation of pressure drop over the DPF is a simple way to estimate the accumulated soot mass but its accuracy is known to be limited to certain vehicle operating conditions. The method to compensate drawback is adoption of integrating time history of the engine out PM and burning soot. Present study demonstrates current status of the soot estimation methods including the results from the engine test benches and vehicles.

매연저감장치 손상에 기인한 차량화재 사고사례 분석 (Analysis on Vehicle Fires Caused by Damage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 송재용;사승훈;남정우;조영진;김진표;박남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70-7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디젤 승용차량에서 매연저감장치 손상에 기인한 차량화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디젤 차량에서는 배출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저감하기 위하여 매연저감장치를 배기계통에 설치하고 있다. 매연저감장치는 입자상 물질의 과다 포집, 재상과정에서의 오류 및 흡기계통 불량 등에 의해 재생과정에서 파손에 이르게 되며, 매연저감장치가 파손되는 경우, 고온의 배출가스가 분출되고, 차량 하부 배기계통의 주변 가연물을 통해 화재로 진전된다. 매연저감장치 손상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배기계통 배관 및 머플러 부분에 규산염계 무기화합물이 부착되는 특징을 나타내며, 이 규산염계 무기화합물은 매연저감장치 내부 필터 재료인 세라믹 부분이 손상되는 과정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된 디젤 차량의 경우, 머플러 주변에서 규산염계 무기화합물이 식별되는 경우, 매연저감장치 손상에 기인한 화재로 추정할 수 있다.

곡관 연결 조건에 따른 디젤엔진 매연여과장치 입구 유속 분포의 CFD 해석 (A CFD Analysis of Flow Velocity at Inlet of a Diesel Particulate Filter according to the Curved Duct Connection Conditions)

  • 이수룡;고영남;이충훈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57-464
    • /
    • 2009
  • 디젤 엔진 매연 필터의 입구부와 배출 가스 배출을 위한 배기관 연결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태로 연결하였을 때의 DPF 입구 유속 분포를 $STAR-CD^{(R)}$ 전산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곡관의 형상을 나타내는 3 종류의 수치해석 용 격자 모델을 사용하여 DPF 입구에서의 유속 분포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피토관을 2차원 이송장치에 탑재하고 위치를 이동시키며 측정한 유속 분포와 동일한 조건에서 시뮬레이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DPF 입구와 $90^{\circ}$의 곡관이 연결된 조건에서 CFD 해석을 수행한 결과 입구 단면에서의 유속 분포가 말발굽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최대 유속값이 DPF 중심축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CFD 해석결과는 실험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매연여과장치에 의한 경유미세입자 저감 특성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Diesel Nano-Particle by Diesel Particulate Filter)

  • 임철수;엄명도;류정호;김예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7-328
    • /
    • 2003
  • 경유자동차는 연료 특성상 매연을 포함한 입자상물질을 다량 배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젤입자상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발암성 및 돌연변이원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호흡 등을 통한 인체 유입시 건강에 매우 유해하다. 그러므로 디젤입자상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 중 발생된 배출가스가 배기관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기 전에 엔진 연소실과 배기관 사이에 후처리장치와 같은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를 저감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처리장치들 중 세라믹필터에 백금과 같은 산화성이 우수한 촉매를 코팅하여 만든 촉매식 매연여과장치(DPF ; diesel particulate filter, SK제공)를 사용하였을 때 입자저감성능 및 입자크기별 분포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대기오염 저감대책을 기초자료 및 환경학적, 보건학적 연구에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섬유헝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디젤 입자상물질 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Diesel Particulates Using Ceramic fiber filters)

  • 주용남;홍민선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1-363
    • /
    • 2000
  • 디젤 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에 비하여 연료소비효율이 높고, 경제성이 좋으며 고출력을 낼 수 있어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매연과 가스로 인한 오염도 심각한 수준에 달하였다. 엔진의 전자화, 고압분사기술등 여러 자동차 관련기술의 발달로 배출오염물질의 저감에 큰 발전을 이루어 왔으나, 계속적으로 강화되어지는 배출규제에 맞추기 위해서는 입자상 물질 후처리 장치의 개발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중략)

  • PDF

디젤차량 배기가스의 PM 제거에 관한 매연여과장치 전산해석 (A CFD Analysis on DPF for the Removal of PM from the Emission of Diesel Vehicle)

  • 염규인;한단비;남승하;백영순
    • 청정기술
    • /
    • 제24권4호
    • /
    • pp.301-306
    • /
    • 2018
  • 최근 미세먼지의 증가로 인해 디젤 자동차로부터 발생되는 PM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를 제거하는 후처리 장치인 매연여과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 DPF)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DPF 효율 향상의 하나로 DPF 내의 압력강하를 줄여서 필터 및 재생(Regeneration)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SYS FLUENT를 이용하여 5.66" SiC와 Cordierite DPF의 셀 밀도, 채널 형상, 벽두께, 입 출구 채널 비에 따른 압력강하 영향을 시뮬레이션했다. 실험결과로서 200 CPSI보다 300 CPSI에서 압력강하가 작게 나타났으며, Anisotropy과 O/S 셀이 Isotropy보다 약 1,301 Pa 작은 압력강하를 나타냈다. 공극률은 10% 증가할 때 마다 압력강하가 약 300 Pa씩 작아졌고, 벽 두께에 따른 영향은 0.05 mm 두꺼워질수록 약 500 Pa 씩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측정자동화에 의한 입구연결부 형상이 L-형인 디젤매연필터 입.출구에서의 유속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ow Velocity Distribution at Inlet and Exit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with L-Shape Inlet Connector Using Automatic Measurement)

  • 이충훈;배상홍;최웅;이수룡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93-100
    • /
    • 2007
  •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at inlet and exit of Diesel Particulate Filter(DPF) by fabricating L-shape connector with the DPF was measured using a Pitot-tube and 2-D transverse machine. An adaptor designed for making the Pitot tube probe access to the inlet and exit of the DPF was connected with the inlet and exit flange of the DPF, respectively. The Pitot tube which was mounted in the 2-D positioning machine could access to the inlet and exit of the DPF through the rectangular window of the adaptor. The L-shape connector in the DPF inlet has a flow guide which is a perforated steel pipe.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at the inlet of the DPF showed a chaotic velocity distribu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with a diffuser type connector. The velocity distribution at the exit of the DPF showed a crown shape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diffuser type connector. The velocity distribution at the exit of DPF show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air flow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