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협업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1초

GUI 디자인 프로토타이핑 소프트웨어 협업 효율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ollaborative Efficiency of GUI Design Prototyping Software)

  • 김유리;최종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05-306
    • /
    • 2019
  • GUI 디자인 업무 환경에서 협업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토타이핑 소프트웨어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프로토타이핑 소프트웨어를 GUI 디자이너의 협업 효율성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디자이너들을 인터뷰하여 협업 형태에 따른 한계점을 도출하고 효율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중소기업간 디자인 협업의 체계적 지원을 위한 플랫폼의 개발 (Platform Development toy Systematic Support of Design Collaboration between SMEs)

  • 박지숙;박선화;윤주현;이경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7-221
    • /
    • 2003
  • 협업 지원을 위한 기존의 시스템은 일반 기업의 범용적인 업무 프로세스에 초점을 두고 있어 중소 산업 디자인 회사와 같이 소규모의 특화된 업무프로세스를 가지는 기업에는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중소 산업 디자인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협업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구 조건들을 도출하고, 이들 요구 조건들을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고객의 승인과 내부의 일정 공유 기능에 중점을 둔 협업 지원 시스템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된 협업 지원 시스템은 내부 조직원 중심의 비체계적 협업지원의 기능이 아닌 외부 조직원과의 체계적 협업을 지원한다는 면에서, 협업 지원 시스템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정보 시스템의 도입이 취약한 중소산업 디자인 회사의 협업 지원 환경을 개선하고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진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디자인 과정 단계별 특성에 따라 활용되는 협업 방식 분석 (Analysis of Collaboration Method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the Design Process)

  • 정영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00-308
    • /
    • 2021
  • 코로나19의 유행은 면대면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온 디자인 협업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디자이너들은 대면 미팅이 어려운 상황에서 화상 회의 및 온라인 문서 도구 등을 적극 활용하게 되었고, 이는 특정 디자인 과정에서 오히려 비대면 협업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경험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디자인 과정 중 어떤 활동에 비대면 협업이 혹은 대면 협업이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유행 이후에 진행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젝트 3건을 회고적 인터뷰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 과정, '발견, 정의, 개발, 전달'의 세부 활동 중 디자이너들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창의적 문제 해결이 필요한 부분에는 대면 협업이, 디자이너 각각이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하며 작업을 진행할 때는 비대면 협업이 선호되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비대면 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디자인 도구의 특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되고 논의된 내용들은 이후 디자인 과정에 관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증강현실 기반의 원격 3차원 디자인 협업 환경에 관한 연구 (Augmented Reality Based Remote 3D Collaborative Design Workspace)

  • 사공경;남택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21-226
    • /
    • 2006
  • 원격 3차원 디자인 협업 환경이란 원거리에 있는 디자이너들이 3차원 모델을 함께 동시적으로 다루는 협업 환경으로서,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기존의 연구들도 2차원 데스크탑 환경에 제한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협업 환경의 제안을 통해 지리적으로 떨어진 디자이너들간의 3D 모델에 관한 원활한 협업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증강현실 기반의 원격 3차원 디자인 협업 환경은 3D 모델의 공유를 위한 회전 원반(turntable)과 상대의 위치 및 제스처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그림자(virtual shadows)로 구성된다. 동시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원반은 물리적인 매개체로서 가상물체와 실제 세계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동시에 상대의 실재감을 높인다. 가상그림자는 가상물체 주위로 보여지는 사람들의 손과 팔의 움직임을 시각화하여 공유하는 것으로, 상대의 위치뿐 아니라 지시, 제스처 등 행동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사용자 평가 실험을 실시하여 3차원 모델을 검토하는 단계에 그 유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데스크탑 환경의 모델링 툴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실제 공간에서 가상물체를 조작할 수 있음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회전원반과 가상그림자의 제공은 태스크 수행의 정확도를 높이며 협업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환경적 제약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던 3D 모델에 관한 원격 협업에 의사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이를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환경에서 제시한 상대방과 협업대상물에 대한 심리적, 물리적 공유 감을 증대시키는 방법들은 3D 모델에 관한 디자인 협업에서 확장되어 다른 원격 협업을 지원하는 데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효율적인 협업 프로세스 방안에 관한 연구 - 사용성 테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for effective collaboration for user experience design)

  • 손지선;임정화;오창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472-477
    • /
    • 2007
  •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패러다임이 도래하면서 점차 사용성 진단이 제품 혹은 서비스의 전체 개발 프로세스 상에서 필수적인 절차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경험 품질 향상을 모색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실제로도 제품 개발 과정의 한 꼭지로서 사용자 리서치를 수행하는 기업이 점차 증가되고 있지만, 리서치를 통해 도출된 결과가 실제 제품 개발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반영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의문을 품게 된 이유는 사용자 리서치 결과가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에 적용된 정도가 크지 않은 경우를 종종 목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서 리서치 결과가 실무 담당자들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해석 상의 차이 때문일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사용성 진단 리서치 프로세스의 변화를 시도해 보았다. 다시 말하면, 실제 현장에서 단기간 동안 진행되는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리서치 진행자와 실무 담당자간 협업 프로세스 작업 단계인 협업 디자인 워크샵(co-designing workshop)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협업 디자인 워크샵 프로세스의 소개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사용성 진단 리서치 결과의 활용도 및 가치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리서처의 책임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패턴 디자인 협업 시스템 모델i (Cooperating Pattern Design System Model)

  • 김미진;박우창;이은옥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C)
    • /
    • pp.45-48
    • /
    • 2008
  • 디자인 팀들간의 효과적인 협업 작업을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실행할 수 있는 협동 플랫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을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 기반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웹 상의 패턴 지식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참여자들이 필요로 하는 지능적인 디자인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기반구조에 따라 설계된 웹 사이트는 디자이너들 간에 빠르고, 효율적인 패턴 설계를 지원한다.

  • PDF

과학적 가시화를 위한 증강 협업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Designing Amplified Collaboration Environments for Scientific Visualization)

  • 박경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5호
    • /
    • pp.535-542
    • /
    • 2005
  • 증강 협업 환경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그룹과 그룹간의 사용자들이 함께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작업 환경이다. 본 논문은 실시간 협력 작업 환경의 특징적인 공유 작업 공간 모델을 살펴본다 그리고 과학적 가시화를 위한 증강 협업 환경의 공유 작업 공간 모델을 검증하는 반복적인 디자인 실험연구를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원거리 사용자들의 협업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 협업 환경의 디스플레이 기술 설정을 바꿔가며 사용자 평가 실험이 진행되었다. 각 실험에서 두 개의 방에 두 명씩 분산된 그룹들에게 협업 가시화를 이용한 집중적인 분석 작업을 시켰다. 그 결과 다른 사람들의 작업 내용을 쉽게 볼 수 있는 고화질 작업환경의 항시 가시성이 분산된 구성원들 간의 상호 인지도와 협력에 도움이 되어 협업 능률을 향상시켰다.

지리적으로 분산된 디자이너들을 위한 3D 디자인 협업 환경 - 공유 조작과 원격 실재감을 지원하는 증강현실 기반 인터랙션 기법을 중심으로 - (Collaborative 3D Design Workspace for Geographically Distributed Designers - With the Emphasis on Augmented Reality Based Interaction Techniques Supporting Shared Manipulation and Telepresence -)

  • 사공경;남태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71-80
    • /
    • 2006
  • 국제화, 전문화, 분업화 되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으로 인해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협업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디자인 전문가들이 3D 모델을 함께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디자인 협업 환경을 제안한다. 특히 원격 협업 환경에서 원격 실재감, 공유조작, 상대 인식 등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하는 새로운 인터랙션 기법을 개발하고, 디자인 리뷰와 관련된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평가하였다. 관련연구 조사와 디자인 협업 행태의 관찰 실험을 기반으로 작업대상 관련, 작업공간 관련, 상대인식 관련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반의 3차원 원격 협업 환경을 구축하였고 원격 사용자에 대한 존재감을 제공하는 회전원반(Turn-table)과 가상그림자(Virtual Shadow)라는 인터랙션 도구를 개발하였다. 회전원반은 가상모델의 조작에 직관성을 부여하고 상대의 조작에 물리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가상그림자는 상대의 위치, 제스처, 지시 등의 인식 정보를 지속적이고 자연스럽게 제공한다. 평가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인터랙션 도구들이 3D 모델의 검토에 있어서 대략적인 지시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수정사항에 대한 논의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가상의 3차원 모델을 다루는 원격에 위치한 사용자들(디자이너-디자이너, 디자이너-엔지니어, 혹은 디자이너-모델러 등) 간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공간디자인의 협업적 매니지먼트 활용에 관한 연구 - 기업과 디자이너의 협업(collaboration) 현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of Space Design - Focus on current extant of collaboration of Corporations with Designers -)

  • 이병욱;허범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200-207
    • /
    • 2012
  • This paper is analyzed the successful fundamentals of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strategy from case of corporates such as, Louis Vuitton, H&M, MINI, Black Berry, Chanel, and Prada.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contributes creating cultural life and concurrently achieving corporate purpose through new vision and value creations which is a combination of rationality and originality as interacting design area and management area.In addition,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has been emerged in order to create new business model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t should be horizontal intercourse in order to increase social value and positive effects of each others to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ew partner to build an effective business model. These case studies established the successful design strategy which is well structuring the systematic design network and efficiently managing the brand image from analyzing the user's needs and their life styles as an element of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This research is presented the mean of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as a managing element to build a successful business model and proposed an appropriate application plan through the case studies.

  • PDF

학제간 접근법을 통한 헬스케어 디자인 프로젝트: 협업 환경에서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Healthcare Design Project: Exploring Designer's Role in Collaborative Settings)

  • 김서영;나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353-361
    • /
    • 2021
  • 고령화 사회에서 건강과 웰빙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의료 환경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얽힌 복잡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의료 환경에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협업하는 상황에서 디자이너의 역할과 능력을 알아내는 것이다. 학제간 접근법을 도입한 헬스케어 디자인 프로젝트에서의 효과적인 방법과 프로세스를 파악하기 위해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는 세 가지 연구 질문을 기반으로 프로세스 퍼실리테이션, 관계 관리, 시각화, 상상력과 같은 디자이너의 다면적인 역할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