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평가

검색결과 1,996건 처리시간 0.036초

디자인 교육 능력 평가 기준과 방향 (Application of New Evaluating Elements for Design Education)

  • 김원경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5
    • /
    • 1999
  • 21세기 디자인 교육의 중요한 과제는 다원화되어 가는 미래의 정보 및 국제사회에서 다양하고 독특한 문화를 창조하는 창의적인 인간을 양성하는 일이며 유능한 예비 디자이너로서 타고난 재능과 독창적인 조형표현의 잠재성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게 계획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중략)

  • PDF

모바일 인터넷 표준 GUI 개발을 위한 사용성 평가 기술 연구 -감성만족도 향상을 위한 디자인 평가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Usability Evaluation Method for the Mobile Internet GUI -Based on design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for improvement of Emotional satisfaction-)

  • 김종덕;정봉금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53-264
    • /
    • 2004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의 사용편의성을 높이는 데 있어 그래픽디자인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의 사용자 니즈(needs)를 예측할 수 있는 측정모델을 개발하며, 평가기반을 시스템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UI 디자인 평가 방법론의 핵심 내용을 시스템화하여 프로토타입(Prototype) 설계 및 평가과정을 직접 지원하는 UI 설계지원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Small Screen이라는 제한된 display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인지의 과부하 없이 단시간에 임무를 완성하도록 조작정보의 흐름을 즉각적이고 함축적인 방법으로 알려줄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시각언어-이미지를 이용하여야 하며, 또한 UI 설계에 반영함에 있어서는 객관성을 높여야만 한다. 이에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편의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자인 평가 방법론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사용자의 디자인 니즈 및 트렌드(Trend)를 예측할 수 있는 그래픽디자인 평가모델은 사용자의 감성적인 측면을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다는 특성으로 해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 평가라는 결과를 토대로 모바일 인터넷 표준 GUI가 설계되었으며, 차후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의 GUI 개발에도 활용이 될 수 있는 기초가 되었으면 한다.

  • PDF

사용자 감성평가를 통한 MP3 CDP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Design for MP3 CDP based on User Sensibility Evaluation)

  • 박정순;이상화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5-218
    • /
    • 2002
  • 감성정보를 디자인 활동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사용자를 최초 컨셉 단계에서부터 참여시켜 관찰 및 평가에 적극 동참케 하는 사용자 참여 디자인이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감성 정보 수집 및 평가를 통한 상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MP3 CDP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근의 MP3CD Player들은 일반 음악 CD들이 10여곡에서 많게는 20여곡 정도의 분량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그 분량이 최고 100여곡 이상에 이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P3CD Player들은 기존의 일반 음악 CD Player의 UI를 소극적으로 수정,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자체적인 곡 분류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H’사의 MP3CD Player를 선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초기 디자인에 사용자를 참여시켜 사용자 감성 정보 및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평가하여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제품의 최초 기능 분석시에는 카드인덱스(Card Index)방식을 이용하여 기능을 그룹핑하고 인터페이스를 개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토타입을 완성하였다. 이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방식을 관찰 분석하여 평가 결과를 토대로 UI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PDF

대전 스카이로드 미디어 파사드의 공공 디자인 평가와 감성 평가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ublic Design Evaluation and User's Sensibility Evaluation of the Daejeon Skyroad Media Facade)

  • 백영주;김보성;김성훈
    • 감성과학
    • /
    • 제24권1호
    • /
    • pp.25-36
    • /
    • 2021
  • 본 연구는 대전 스카이로드 미디어 파사드의 공공 디자인 평가와 감성 평가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 스카이로드 미디어 파사드 영상물을 시청하여 대상자들이 미디어 파사드의 공공 디자인 평가 항목과 감성 어휘로 구성된 감성 평가 항목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대전 스카이로드 미디어 파사드의 공공 디자인 평가 결과의 평균 비교를 진행하고, 감성 어휘의 요인 구조를 도출하여 각 요인에 포함되는 감성 어휘를 바탕으로 공공 디자인 평가 요인과의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의 성별, 미디어 파사드 경험 여부, 연령에 따라 일부 차이 및 경향성을 보이는 공공 디자인 평가 항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어휘의 요인 구조로는 총 14개의 어휘가 4개의 요인 구조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공공 디자인 평가 요인에 걸쳐 공통으로 관련성이 높은 감성 어휘로는 "쾌적한-불쾌한"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관적으로 쾌적하다고 인식되는 감성이 공공디자인으로서 대전 스카이로드 미디어 파사드의 주된 가치로 평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성별과 연령을 고려한 정책이 반영되어 대전 스카이로드가 운영된다면 공공 디자인으로서의 가치가 더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자인에 대한 객관적인 가치평가 요인이 디자인전문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bjective Value Evaluation Factors of Design on Global Competitiveness of Design-Specialized Company)

  • 안진호;이동희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3호
    • /
    • pp.279-298
    • /
    • 2015
  • 디자인산업은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 되지만, 현재 그 성장 동력에는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정성적 가치기반의 디자인산업의 특성으로 객관적이지 못한 평가방식이 원인이며, 이로 인하여 디자인산업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디자인전문기업의 산업적 경쟁력을 약화시켰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정성적 가치 체계를 보강하고, 디자인의 산업적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디자인에 대한 객관적인 가치평가 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디자인전문기업의 해외 경쟁력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 지를 규명하여 우리나라 디자인산업의 독자적인 경쟁력 강화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요인을 측정 평가의 계량화, 프로세스의 일관성, 프로젝트의 정합성, 논리적 설득성으로 정의하였고, 디자인전문기업의 경쟁력요인을 기업의 신뢰도와 서비스 품질로 정의하였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검증 결과 대부분의 가설은 채택되었으나, 평가의 계량화는 디자인전문기업의 서비스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직물 디자인 강성 이미지 스케일(image scale) (Affective Scale for Textile Image)

  • 박수진;장준익;정찬섭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 /
    • pp.218-22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직물 디자인과 관련된 감성 어휘 모형과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통합하여 직물 디자인 감성 이미지 스케일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차원으로 구성되었던 감성 어휘 모형을 수정하여 2차원-범주 모형으로 만들고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이용하여 개별 직물 표본에 대한 디자인 평가가 선행되었다. 두 체계를 토대로 33개의 직물 표본에 대해 76개의 감성 어휘를 사용한 감성 조사가 실시되었다. 직물관련 감성 평가시 개별 감성 어휘를 모두 비교, 판단하는 경우 생길 수 있는 과제의 어려움을 줄이고자 범주 평가 후 범주 내 개별 어휘를 평가하는 방식을 취했다. 설문을 연령대가 다른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실시되었으며 설문 결과를 토대로 직물 표본을 2차원-범주 모형에 분포시키고 필수적인 디자인 요소에 대해 확인하였다.

  • PDF

뇌전도를 활용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평가 (The Brand Identity Design Evaluation Using EEG Measurement)

  • 한유림;김다솔;한지애;류시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4호
    • /
    • pp.106-113
    • /
    • 2018
  •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는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적 인지활동에 영향을 주는 핵심 자산이다. BI 디자인 개발의 초기 기획 단계에는 기업 고유의 차별화된 접근 전략이 요구되고, 더불어 마지막 BI 디자인 평가단계에서는 잠재 소비자들을 활용한 합리적인 디자인 평가 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BI 디자인 평가 과정은 대다수가 설문조사에 의존함으로써 해당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험자들의 '왜곡된 심리 표출 현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다수의 BI 디자인 시안에 대한 우선순위의 선호도 조사 방식에 덧붙여, 피험자의 뇌파측정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이 BI 디자인 평가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피험자 선호도 조사 결과와 피험자 뇌파측정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매력성'과 '집중도'를 변수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매력성'에 관한 선호도 조사 결과와 '집중도'에 대한 뇌파 측정 결과의 상관관계가 높음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전통적인 정성적 평가방식에 덧붙여 뇌파를 활용한 디자인 평가 방법이 BI 디자인과 같은 암묵적 지식 대상을 평가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에 있어서 사용자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ser Evaluation Regarding Universal Design)

  • 최지숙;유현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1-16
    • /
    • 2009
  • 본 연구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유니버설디자인 제품의 포장 용기를 중심으로 사용자에 의한 평가 및 평가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제품에 있어서 필요한 유니버설디자인 및 포장에 요구되는 유니버설디자인 평가항목의 기준을 나타냈다. 또한 선행 연구사례로서 일본의 사례를 조사하여 디자인전개시 실천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 평가에 의한 제품 개발시 필요한 평가 가이드라인의 기준과 평가방법에 있어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선진사례에서도 나타난 것과 같이 디자인 평가구분에서 상품식별 항목에 해당되는 포장 용기의 사례가 많아 전 디자인분야에 유니버설디자인이 고르게 반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인공신경망 응용 디자인 평가를 위한 감성속성의 명세화 및 평가모델의 구축에 관한 연구 (Applying New Network to the Emotive Elements Specification and Model Construction for Design Evalua)

  • 이은종;권오병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2-247
    • /
    • 1999
  • 디자이너는 제품의 디자인에 대한 고객의 감성적 평가에 대한 예측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특히 Web상에서 제품을 평가하는 사례가 늘어감에 따라 보다 차별화된 감성적 평가 모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연구된 다양한 디자인의 명세화 방법을 조사ㆍ분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Web상에서 좋은 제품을 선택하게 하는 감성적인 속성을 명세화하는 몇 가지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인공신경망을 통한 검증을 거쳐서 디자인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감성요소 명세화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명세화된 감성속성을 가지고 인공신경망을 응용하여 감성적인 속성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 PDF

창의적 캡스톤 디자인 교육 방법 개발 (A Development of Creative Capstone Design Education)

  • 윤석범;장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5-20
    • /
    • 2014
  • 본 논문은 공주대학교에서 실시된 창의적 캡스톤 디자인 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새로운 방법을 개발한다. 결과물은 수행 프로젝트의 진행 방법과 과정과 과정을 기반으로 자체평가와 수행평가로 평가하였다. 구성된 팀들은 각 전공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2~3명 이내로 하였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모든 팀은 자체 평가 기준을 만족시켰으며 전반적인 만족도는 항목별로 5점 만점에 3.88~4.44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기존의 비 산업체 참여와는 다르게 캡스톤 디자인 및 개발 진행에 산업체의 참여가 있었다. 향후에는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디자인, 제작 및 시제품 테스트 등에 기업체 지원을 받아 진행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