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 선호

Search Result 83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Domestic Older People's Color Preference for Silver Product (국내노인의 실버용품 색채선호도에 관한 연구)

  • Lee, Mi-Ran;Lee, J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9-18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시대에 발맞춰 실버산업의 한 분야인 실버용품 디자인 시 계획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인 색채에 대해 다루었다. 현재 국내 노인 관련 색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실버용품을 위한 색채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버용품 사용주체인 국내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색채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향후 실버용품 색채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실버용품의 색상 및 색의 3속성(색상, 명도, 채도)에 대한 노인들의 심리적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남녀 모두 명도가 높은 밝은 색상을 선호하였고, 여성의 경우 무려 89%가 수수한 무채색 보다는 원색인 화려한 색상을 선호하였으며, 남자들 또한 52%가 화려한 색을 선호하였다. 이 결과는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버용품이 무채색인 흰색, 회색, 검정색이 대부분인 것을 감안하면 실버용품의 색채계획이 노인의 실제 선호색과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색채선호도는 향후 실버용품 색채계획 시 주요한 고려사항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Influence of Aesthetic Elements on Preference to Product Aesthetics (제품 심미성에 있어서 선호도에 대한 심미적 요소의 영향)

  • 형성은;오정화;홍정표;양종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85-188
    • /
    • 1999
  • 디자인에 관련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품 심미성이 소비자 선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제품 심미성에 관한 연구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그것은 제품 심미성에 관한 연구가 제품의 심미적 요소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주고 또한 제품 심미성이 소비자 선호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나름대로 지대한 공헌들이 있었지만 제품 심미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그것들이 소비자 선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들은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의 어떤 측면들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선호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는 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프레임 ?을 제공하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Leggings for Athletic Leisure (애슬레저용 레깅스에 관한 연구)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23-324
    • /
    • 2021
  • 본 연구는 애슬레저 레깅스의 주 소비층인 20대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레깅스 패턴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레깅스의 착용실태를 알아보고 애슬레저 레깅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여대생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레깅스는 운동용으로 착용하고 검은색의 발목까지 오는 밀착되는 기본 레깅스 디자인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며, Y존 부위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동작 시에는 허리가 노출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선호 브랜드는 아디다스가 가장 많았고 레깅스에 몸매 보정 기능이 추가되기를 원하였다. 선호하는 브랜드를 구매했을 경우 디자인, 치수, 소재, 활동성, 내구성 등 대부분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원단을 고려하여 레깅스를 구매한 경우에는 봉제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브랜드를 고려하여 구매한 경우 가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 주의하여야 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포괄적인 연령대와 남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the food Instrument design for the Design Preference and Creativity between Korea and Malaysia (음식도구에 대한 디자인선호와 창의성평가요소에 대한 비교 - 말레이시아와 한국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사례연구 -)

  • Hong, Jeong-Pyo;Lee, Se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27-130
    • /
    • 2009
  • 국가 간 문화의 차이에 의하여 생활습관이나 방식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음식은 다른 분야보다 많은 차이를 나타난다. 특히 음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음식도구 중 디자인요소가 동일하고 유사한 것이 있거나 다른 요소와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각 국가 간의 음식도구를 유니버설 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에 대한 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여 국가 간 음식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도구의 디자인요소를 창의성의 관점에서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내용으로는 첫째, 음식에 대한 소비자행동 분석 프로세스의 개발 및 관찰을 통하여 행동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동분석을 접목하여 음식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둘째로,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 간 음식의 주문부터 평가까지의 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나타난 현상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각 국가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식도구에 대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셋째, 국가별 개발된 디자인 안을 대상으로 선호도,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선호요소와 창의성평가요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는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별, 음식별, 행동별, 식당형태별로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고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음식도구 디자인에 이용할 수 있으며 국가간 동일 아이템을 디자인 교육시간에 진행시켜 대학의 디자인교육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간에 협력과 상호보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 아이디어 전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Typicality and Preference according to Determinants of Typicality (전형성 결정요인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 연구)

  • 나광진;양종열;홍정표;이유리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4
    • /
    • pp.87-96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deals(goal-directed design attributes) and physical common features on typicality of product desig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icality and preference that suggested different result in prior research. So for these objectives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icality and preference with two dimensions composed of goal-directed attribute typicality and physical common features typicality. The result showed that consumers' judgment of typicality on product design was increased as the product design has ideals. This was a same result as the prior research. In addition, Increasing the physical common feature with other members in product category, consumers judged that the product design is typical. Otherwise, in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ypicality and preference were showed that the design of ideals(goal-directed design attributes) influenced on preference positively, but the design of physical common features had an inverted U-shaped.

  • PDF

A Study on the Residents' Preference for the Diversity of Interior Design in Apartment Houses - Focused on Interior Images and Finishing Materials - (아파트 실내디자인 다양화를 위한 거주자 선호에 관한 연구 - 실내이미지 및 실내마감재 특성을 중심으로 -)

  • 오찬옥;박수빈;김석태;양세화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38
    • /
    • pp.125-133
    • /
    • 2003
  • The apartment hous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housing types in Korea. However, it has not met the diverse and individualized needs of their residen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residents'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in apartment houses and suggest the guidelines for the diversity of Intoner design In apartments. The subjects were 412 apartment residents who lived in Haeundae, Busan. They were asked about their preference for interior images of each room and finishing material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apartment interior images were composed of nine main factors. 2) The residents preferred to 'practical' interior image in apartment and different interior images for each room. 3) The residents preferred interior images were different by their housing sizes and space organization types. 4) The residents preferred to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for each room..

A Study on the Consumer′s Preference of the Color Image (소비자의 색채 선호 이미지 연구)

  • 이복신;최종석;박영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54-55
    • /
    • 1999
  • 소비자는 상품을 구매하는 데 있어 기능이나 성능이 '우수하다', 값이 '싸다', '비싸다'가 아닌 선호의 관점에서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 소비자의 선호와 취향을 전략화한다는 것은 단순히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떠나 어떤 이미지론 전달하는 상품을 만들 것인가 혹은 어떤 이미지로 소비자의 감성을 파고들것인가 하는 문제를 바탕으로 하게 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