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 능력

Search Result 46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01)

  • Park, Jin-Ho
    • Korean Architects
    • /
    • no.4 s.432
    • /
    • pp.75-81
    • /
    • 2005
  • 지난 몇 년간의 연구와 출간된 글, 그리고 디자인 스튜디오 등 일련의 실험과정을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이란 하나의 주제로 묶어 연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연구 및 실험은 두 가지 틀 속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첫째는 '이론과 실무'이고, 둘째는 '분석과 종합'이다. 건축 활동에 있어 이론과 실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에게 흔히 '건축10서'라고 알려져 있고 현존 가장 오래된 건축 저서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의 첫 번째 책, 첫 장 '건축가의 교육에 관하여'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의 이론과 실무능력의 겸비를 강조하고 있다. 건축 디자인을 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이론과 그 이론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를 강조한다. 즉 디자인 작업이란 연구, 분석, 실험 행위로 구성되는 연속 과정을 하나의 전체로 종합시켜 이루어지는 결정체이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은 그 근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연구 그리고 디자인으로의 실험적인 적용 및 응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 위에서 전개, 발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작업이 '이론과 실무'의 상호 보완적인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연재를 이어간다. 접근 방식으로는 '분석과 종합'의 변증법적인 통합에 기초한다. 건축 디자인의 형태적 체계를 인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과 종합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의 분석은 논리적인 사고나 원리에 근거한 디자인을 비교 검증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나타나는 어떤 공통 특징을 인식하는 것이고, 이에 의거해 정련하고 개괄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종합이다. 즉, 건축가의 작품의 분석적 작업을 통해 이론과 원리를 추출하고, 이 원리들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방법을 말한다.

  • PDF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03)

  • Park, Jin-Ho
    • Korean Architects
    • /
    • no.6 s.434
    • /
    • pp.88-97
    • /
    • 2005
  • 지난 몇 년간의 연구와 출간된 글, 그리고 디자인 스튜디오 등 일련의 실험과정을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이란 하나의 주제로 묶어 연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연구 및 실험은 두 가지 틀 속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첫째는 '이론과 실무'이고, 둘째는 '분석과 종합'이다. 건축 활동에 있어 이론과 실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에게 흔히 '건축10서'라고 알려져 있고 현존 가장 오래된 건축 저서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의 첫 번째 책, 첫 장 '건축가의 교육에 관하여'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의 이론과 실무능력의 겸비를 강조하고 있다. 건축 디자인을 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이론과 그 이론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를 강조한다. 즉 디자인 작업이란 연구, 분석, 실험 행위로 구성되는 연속 과정을 하나의 전체로 종합시켜 이루어지는 결정체이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은 그 근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연구 그리고 디자인으로의 실험적인 적용 및 응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 위에서 전개, 발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작업이 '이론과 실무'의 상호 보완적인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연재를 이어간다. 접근 방식으로는 '분석과 종합'의 변증법적인 통합에 기초한다. 건축 디자인의 형태적 체계를 인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과 종합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의 분석은 논리적인 사고나 원리에 근거한 디자인을 비교 검증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나타나는 어떤 공통 특징을 인식하는 것이고, 이에 의거해 정련하고 개괄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종합이다. 즉, 건축가의 작품의 분석적 작업을 통해 이론과 원리를 추출하고, 이 원리들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방법을 말한다.

  • PDF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6)

  • Park, Jin-Ho
    • Korean Architects
    • /
    • no.9 s.437
    • /
    • pp.93-101
    • /
    • 2005
  • 지난 몇 년간의 연구와 출간된 글, 그리고 디자인 스튜디오 등 일련의 실험과정을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이란 하나의 주제로 묶어 연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연구 및 실험은 두가지 틀 속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첫째는 '이론과 실무'이고, 둘째는 '분석과 종합'이다. 건축 활동에 있어 이론과 실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에게 흔히 '건축10서'라고 알려져 있고 현존 가장 오래된 건축 저서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의 첫번째 책, 첫 장 '건축가의 교육에 관하여'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의 이론과 실무능력의 겸비를 강조하고 있다. 건축 디자인을 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이론과 그 이론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를 강조한다. 즉 디자인 작업이란 연구, 분석, 실험 행위로 구성되는 연속 과정을 하나의 전체로 종합시켜 이루어지는 결정체이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은 그 근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연구 그리고 디자인으로의 실험적인 적용 및 응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 위에서 전개, 발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작업이 '이론과 실무'의 상호 보완적인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연재를 이어간다. 접근 방식으로는 '분석과 종합'의 변증법적인 통합에 기초한다. 건축 디자인의 형태적 체계를 인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과 종합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의 분석은 논리적인 사고나 원리에 근거한 디자인을 비교 검증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나타나는 어떤 공통 특징을 인식하는 것이고, 이에 의거해 정련하고 개괄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종합이다. 즉, 건축가의 작품의 분석적 작업을 통해 이론과 원리를 추출하고, 이 원리들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방법을 말한다.

  • PDF

Case Study: Children's Participatory Design associated with the Kindergarten (사례: 유아 교육 기관과 연계한 어린이의 참여적 디자인 방법)

  • Park, Hyun-Mi;Choi, Seung-Eok;Jin, Young-Gyu;Cho, Soo-Ho;Park, Sang-Hyun;Woo, Joo-Ky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46-251
    • /
    • 2006
  • 참여적 디자인은 사용자의 경험을 디자인 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자신이 디자인의 주체가 되어 자신의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반영하는 방법을 말한다. 우리는 만 3~5 세의 미취학 아동을 참여 디자인의 사용자 대상으로 하였으나, 이 연령대의 어린이는 자신의 의사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정확히 전달하기 어려우므로 전통적인 참여적 디자인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사례를 통하여 실제 어린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참여적 디자인 방법을 소개한다. 실제 유치원과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현직 유치원 교사가 전체 디자인 프로세스에 참여하였다.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검증하는 단계와 프로토타입의 파일럿 테스트 단계에서 어린이들이 직접 참여하였으며, 그들의 반응과 의견이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 본 연구는, 어린이 제품의 디자인을 위해 실제 어린이 교육 기관과 연계한 새로운 형태의 참여적 디자인 방법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사례를 보여준다.

  • PDF

Design Methodology for Creative Design Thinking (창조적 디자인 발상을 위한 디자인방법론)

  • Hong, Jung-Pyo;Jeong, Su-Kyo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9 no.4
    • /
    • pp.385-394
    • /
    • 2006
  • In the present society where aesthetic designs would have product value, designs must be the ones that add flexible sensation as well as the energy of counteraction which escapes from and destroys existing concept. The 'creative expression' to reach such design objectiv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bilities which designers must possess and is an overall concept in problem solving of designing which participates in formative approach or image development as well as product concepts such as function or performance . In this research,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environmental change of designing, conditions designers must possess followed by these things and creative design expressions researched in the past, etc are examined and by presenting design method for creative designing concept targeting mobile phones, it will attempt to contribute i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improve creative value of designers.

  • PDF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5)

  • Park, Jin-Ho
    • Korean Architects
    • /
    • no.8 s.436
    • /
    • pp.85-91
    • /
    • 2005
  • 지난 몇 년간의 연구와 출간된 글, 그리고 디자인 스튜디오 등 일련의 실험과정을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이란 하나의 주제로 묶어 연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연구 및 실험은 두가지 틀 속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첫째는 '이론과 실무'이고, 둘째는 '분석과 종합'이다. 건축 활동에 있어 이론과 실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에게 흔히 '건축10서'라고 알려져 있고 현존 가장 오래된 건축 저서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의 첫번째 책, 첫 장 '건축가의 교육에 관하여'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의 이론과 실무능력의 겸비를 강조하고 있다. 건축 디자인을 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이론과 그 이론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를 강조한다. 즉 디자인 작업이란 연구, 분석, 실험 행위로 구성되는 연속 과정을 하나의 전체로 종합시켜 이루어지는 결정체이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은 그 근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연구 그리고 디자인으로의 실험적인 적용 및 응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 위에서 전개, 발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작업이 '이론과 실무'의 상호 보완적인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연재를 이어간다. 접근 방식으로는 '분석과 종합'의 변증법적인 통합에 기초한다. 건축 디자인의 형태적 체계를 인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과 종합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의 분석은 논리적인 사고나 원리에 근거한 디자인을 비교 검증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나타나는 어떤 공통 특징을 인식하는 것이고, 이에 의거해 정련하고 개괄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종합이다. 즉, 건축가의 작품의 분석적 작업을 통해 이론과 원리를 추출하고, 이 원리들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방법을 말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Based on the Self-Designed Major (자기설계전공기반 도서관공간기획전공 개발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Shin, Youngj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3 no.1
    • /
    • pp.5-31
    • /
    • 2019
  • In this study, in order to foster human resources equipped with expertise in libraries and spatial organiz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libraries,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the self-designed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was developed and the education goal, human resources award, and major capabilities were presented. To this end, the relevant literature analysis, expert opinion collection, and consumer survey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in-person awards required for library space planning were identified as space planning personnel, design thinking personnel, and creative working people. Second, the person-specific majors were derived with the ability to analyze the library environment, ability to express spatial concepts, ability to analyze user needs, ability to coordinate interests, ability to understand spatial design, ability to understand spatial design, and ability to apply practical applications. Based on the plan, subjects should be developed that can fulfill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future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human resources award, and human resources status, and operation plans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can adapt students without fail due to its own design-based major.

Learning Outcomes of Design and Software Convergence Major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공학교육인증을 위한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융합전공의 학습성과)

  • Choi, Ji-Eun;Jin, Su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5
    • /
    • pp.51-63
    • /
    • 2019
  •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sinc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ultivation of convergence talents that can solve complex problem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to establish the program learning outcomes of the engineering and education curriculum, which is the accreditation standard of engineering education proposed by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Case study methodology was appli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ase of analysis is design and software convergence major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urse syllabi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our core competencies to be achieved in the design and software convergence majors were derived in addition to the ten program outcomes presented by ABEEK. New core competencies are convergence ability, creative thinking, entrepreneurship, and design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convergence engineering education field.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 Seung-Ju, Hong;Seong-Won, Kim;Youngjun, L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2
    • /
    • pp.227-234
    • /
    • 2023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design think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pplied it to verify the impact o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e inspection tool used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file Inventory (CPSPI), an inspection tool for measuring creative thinking type ability based on the CPS theory of Hwasun Lee, Jungmin Pyo, Insoo Choe(2014). CPSPI included the steps of evaluating cognitive preferences and cognitive abilities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ests, and sharing and persuading one's ideas with other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design think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t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area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areas of Problem Detection and Analysis, Idea Generation, Action plan, Execution,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 was confirm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Design Generation Methodology For Creative Design Thinking (창의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 방법론)

  • Hong, Jeong-Pyo;Jeong, Su-Gyeong;Jo,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81-84
    • /
    • 2007
  • 소비자들이 상품에 대한 미학적인 측면을 점점 더 중요시 하게 됨에 따라 현대 디자인은 기존의 개념을 탈피하여 새롭고 부드러우며 유연한 감성이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가 '소비자의 꿈을 현실로 만들어 주는 것'이라면 이러한 목표에 이르기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발상' 은 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능력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법에 대한 선행연구의 프로세스와 방법론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한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사례연구로써 컴퓨터를 이용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법을 제안하여 디자이너에게 실제 디자인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창의적 아이디어발상법의 개발에 대한 효과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