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특성

Search Result 3,43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Preferred Seat Design for Train (열차용 시트의 선호외형 디자인 특성 분석)

  • 박세진;이현영;한상찬;김지현;구재광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11-16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열차용 시트 디자인에 대한 감성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실제 디자인으로 구체화하고자 실시되었다. 시트 디자인의 감성평가를 위해 형용사들을 추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한국인들이 기대하는 열차용 시트 디자인의 감성특성을 조사하였다. 여기서 추출된 감성특성을 실제 디자인으로 보다 쉽고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특징적인 시트 디자인들을 시각적인 그림으로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감성특성 및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선호되는 시트 디자인의 감성특성과 이러한 감성특성과 관련을 가지는 실제 디자인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시트들을 디자인하여 2차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가장 선호되었던 디자인을 최종 디자인 대안으로 결정하였다.

  • PDF

Frank Gehry's Jewely Design Reflecting Architectural Design Characteristics (프랭크 게리의 악세사리 디자인에 나타나는 건축디자인 특성)

  • Oh, Hyen-Soo;Lee, Hee-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603-606
    • /
    • 2012
  • 본 연구에는 해체주의로 일컬어지는 전통적 디자인의 원론적 틀에서 벗어나 보이는 프랭크 게리의 건축작품들의 전반적인 특성을 형태 구성에서 나타나는 형태론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건축물의 형태 디자인 요소와 티파니 주얼리에서 그가 선보였던 게리 에디션을 통해 그의 주얼리 디자인에 반영된 건축디자인의 특성을 파악하고자한다. 자신만의 독특한 건축디자인 특성을 건축 이외의 디자인 분야에 표현한 게리를 통하여, 건축가의 디자인이 건축 이외의 많은 것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Alvar Aalto's Architecture and Furniture Design (알바 알토의 유기주의 건축과 가구디자인 비교연구)

  • Jung, Hyeoun-Kyeoung;Lee, Hee-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623-626
    • /
    • 2012
  • 20세기 건축가들과 디자이너들은 사회적, 시대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디자인 언어를 수립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전개해 왔다. 알바 알토는 모더니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건축가이자 가구디자이너로 평가받고 있는데, 그의 건축디자인과 가구디자인은 상당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바 알토의 건축디자인 특성을 가구디자인과의 관련성의 측면에서 파악하여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알바 알토의 건축 디자인 특성 중 유기적 측면에서 정리된 디자인의 불연속적 특성, 불규칙적 특성, 통합적 특성, 자연요소의 특성의 측면에서 그의 가구디자인 사례를 건축디자인과 비교하여 가구디자인에 반영된 건축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 PDF

A Study of feature-Extraction from the Specifically Intoned Product Design (제품의 특성추출을 통한 디자인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 Jo, G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9-14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목적을 가진 제품들의 특성들을 파악하여 디자인 개발시 이러한 특성들을 제품 컨셉 또는 디자인 형태에 응용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실험 대상을 설정하였고, 실험 대상을 선택한 후 실험 대상에 관한 기초 설문과 실험 대상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 대상의 디자인과 기능적 요소를 추출하여 코딩하였다. 그리고 실험 대상의 이미지분석 후 얻은 요소와 실험 대상의 요소의 관계를 증명하였으며, 실험 대상의 특성 추출을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험 프로세스를 거쳐 특정한 제품에 특성들을 추출함으로써 디자인 개발 시 소비자 니즈의 분석이 가능하며, 제품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디자이너가 제품을 쉽게 이해하고 디자인 개발 시 컨셉 설정에 큰 기초가 된다. 본 연구의 MP3의 경우 MP3의 이미지 분석 결과 음악성, 확장성, 휴대성, 사용성, 신체 부담감, 인터페이스, 그리고 개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과 각각 연관된 특성들을 찾았다. 이로써 MP3를 디자인할 때 중요 특성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초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소비자 니즈 파악이 가능하고, 디자인 기초 학문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 PDF

란제리 디자인의 이미지유형과 디자인 특성

  • 위은하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9-79
    • /
    • 2003
  • 최근 홈쇼핑이나 인터넷쇼핑을 이용한 구매율이 높아지고 있는 란제리는 겉옷의 맵씨를 좋게 해주는 속옷으로 최근 실내복까지 겸하고 있다. 본 연구는 란제리디자인의 시각적 이미지효과를 알아보고 이미지유형별 디자인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란제리디자인의 이미지 구성요인은 무엇이며 이미지 유형에 따른 유형별 디자인 구성요소와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Design in Multimedia Design (멀티미디어디자인에서 정보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류시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1
    • /
    • pp.63-76
    • /
    • 2004
  • Although information design principles had originated from the graphic design field including publishing design in 1970s, information design have taken one of the most important positions in multimedia design fields as the present since Richard Saul Wurmn started his researches on information design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on internet environments. However, relatively little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for building identity of information design in multimedia design fields so far and moreover in some cases, information design is likely to be narrowly viewed as 'the representation of a piece of information and its visualization' which was defined in traditional graphic design field. This research circumstance leads the study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design in current multimedia design with contingent perspective which i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information design. The study results suggest 5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design including 'suggesting context & finding out information hierarchy', 'access of integrated consideration & share of information control', 'using of multi-dimensional media & content first', 'stabilization of information quality & combinational understanding of meaning', 'bilateral information representation & user's knowledge expansion'. Future research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expanded to a degree with argument for inter-dependent and/or exclusive characteristics of adjacent fields of information design such as interface design, interaction design and experience design.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Design Pattern and Emotional Design Characteristics on the Building Facade (건물 파사드의 디자인 패턴과 감성 디자인 특성의 상관관계 분석)

  • Oh, Youngeun;Lee, Hyunsoo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4 no.2
    • /
    • pp.51-6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which can effectively support the building facade design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This paper deals with five different design patterns suggested by Ben Pell. They are the applied pattern, perforated pattern, layered pattern, casting pattern, and tiled pattern. This paper analyze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pattern, which shows the highest point in the previous survey. The 'continuous' has a high emotional correlation. The high correlation with the emotional word 'continuous' and 'regular' was derived. The final emotional design characteristic is 'continuous-discontinuous', and 'irregular-regular'. and these emotional words can be summarized as the relatively highest correlation. In this paper, it is worth analyzing design characteristics of building facade by a support of digital technology and discussing utilization of design characteristics derived.

Research for Design Specialization Education strategy (디자인특성화 교육전략 연구)

  • Park, Young-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2
    • /
    • pp.481-488
    • /
    • 2019
  • A change request in design education is a phenomenon manifested by changes in the value of the industry and market demands. Changes in external requirements and internal values that affect the design industry today are shifting from consumer-centered design to stakeholder-centered design. At the center of these changes, design educat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an educational mechanism that conforms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and design specialization should coincide with the direction of the capitalist market. Design specialization must realize the policy of education in economic value first, and should be changed to a design process that enhances rationality and efficiency from the previous apprenticeship education.

Comparison Analysis on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Design Consultancies between Korea and America (한국과 미국의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현황 비교 분석)

  • Lee, Jin Ryeol
    • Smart Media Journal
    • /
    • v.5 no.1
    • /
    • pp.95-10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action plans to make the industry of Korean design consultancies accomplish qualitative growth by compar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design consulting firms between Korean design firms and American ones. For this, questionnaire survey and comparis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109 Korean design firms and 97 American ones. Th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design firms comparing to those of American ones keep low in all 7 areas of building long-term partnership relationship, building multi- disciplinary organization, utilizing result-based compensation system, developing design at the strategic business level of clients, executing active design business, making convergent networking with other industry and performing specialized design services. In order to accomplish stable industry infrastructure of design consulting industry with qualitative growth, it requires continuous effort to execute 7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design firms.

A Study on Safe Design Principle (안전디자인 원칙에 관한 연구)

  • Yoon, Jongyoung;Ahn, Hye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20-123
    • /
    • 2015
  • 국민 생활안전과 관련된 안전디자인에서 기본적으로는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지만, 디자인의 고유 요소들도 아울러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안전디자인은 산업디자인의 고유 특성과 인간공학과 안전 공학적 측면을 포함해야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안전디자인이란 제품 시설 공간 등에 설계 제조 건축 운영 등의 형태로 적용되어 주기능의 '안전' 달성도를 높이고, 타 기능과의 상승적 융합을 통해 사회 안전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국내외 관련 논문, 보고서, 통계자료 등의 문헌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안전디자인 개념과 구성요소, 안전디자인의 범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작업공간에서의 안전디자인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있는 호주의 안전디자인 원칙 가이드라인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안전디자인에서 지켜져야 할 다섯 가지의 원칙에 대해 논의하여 안전디자인의 확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 연구로서 활용이 되고자 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