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철학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Pursuit of Individual Freedom in Rudi Gernreich's Fashion Designs (루디 건라이(Rudi Gernreich)패션 디자인에 나타나는 개인적 자유에 대한 추구)

  • Lee,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38
    • /
    • pp.123-142
    • /
    • 1998
  • 본 논문에서 패션 디자인(fashion design)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제시해 보려하였다. 즉 패션 디자이너의 디자인에 대한 철학을 이해함으로서 패션에 대한 근복적인 면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갖도록 하는 접근 방식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대상은 디자이너 루디 건라이(Rudi Gernreich : 1922-1985)와 그의 작품들인데, 그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급진적인 성향 뒤에 숨어 있는 그의 디자인 철학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작품과 철학의 상관관계를 조명하려는 것이 그 주된 목적이다. 기존의 그에 대한 평가는‘파격적 패션’,‘소설 스테이트먼트(Social Statement)’,또는‘시각적 창출’등의 표현으로 극히 피상적인 것이었다. 반면에 그가 어떠한 경로로 이러한 디자인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또는 그가 현대의상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였다. 본 논문의 초점은 건라이의 패션 디자인을 그가 중요한 가치로 믿고 있었던‘개인적 자유에 대한 추구’의 반영으로써 재 평가해 보려는 것이다. 이것의 입증을 위해서 그의 디자인들을 역사적, 사회적 그리고 미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그의 디자인 철학을 도출하기 위해 그의 개인적 배경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하였고, 그의 디자인과 관련된 자료와, 현존하는 작품들과 그에 따른 참고문헌들에 대한 분석 조사 작업을 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필자는 건라이의 작품들을 세 개의 주된 주제들, 즉,‘부분적 누디즘(Partial Nudism)’,‘유니섹스 모드(Unisexs Mode)’, 그리고‘옵 아트 패션(Op-art Fashion)’으로 구분하였다.‘부분적 누디즘(Partial Nudism)’과‘유니섹스 모드(Unisex Mode)’는 60년대 중반에서 70ssu대 초반에 출현한 유스 컬츄어(Youth Culture)에 부합하는 그이 디자인의 반영으로써 성의 혁명, 여성 인권운동과 동성애자 인권 운동과 같은 사회이슈들과 그의 디자인이 갖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옵-아트 패션(Op-art fashion)’은 건라이 디자인의 미학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인체와 옵-아트 원리의 관계를 조명해 보고, 건라이가 옵-아트와의 연계하에 그의 디자인을 어느만큼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각 주체들은 건라이 작품들의 개별적인 분석을 통해 논하였다. 본 논문은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건라이의 디자인에 대한 재 평가로 결론을 지었다. 이러한 재평가 작업을 통해 패션 디자인계에 미친 그의 공헌의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대 패션에 그의 영향이 계속 미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려 하였다.

  • PDF

A Study on Typography Style by Deconstructionism (해체주의(Deconstructionism) 경향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에 관한 연구)

  • 신청우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2
    • /
    • pp.185-196
    • /
    • 1999
  • It has been known that deconstruction has affected various fields as literature, architecture, an, film, industrial design, and so on. Especially, deconstruction has applied into a wide scope of the design related fields through diverse ways and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is a great potentiality in the ways of it's expression with different styles. Deconstruction design has been approached in connection with post-modernism, deconstruction theory of J. Derrida and pluralistic post industrial society. In particular, it is obvious that deconstruction philosophy has deeply affected the fields of visual design and typography which are mostly communicated with symbols and text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 deconstruction theory has been practically applied into the typography by analyzing the change of deconstruction typographic styles and explor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change.

  • PDF

Design philosophy and Principle of Hangeul (한글의 디자인 철학과 원리)

  • 한재준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2
    • /
    • pp.235-244
    • /
    • 2001
  • Hangout is already recognized as a world famous writing system. However, the typefaces that may show the excellence of Hangeul lack the systemic development, and their frequent change without independence rather causes an obstruction to the development of visual culture and informational systematization of the country. In this paper, I presume that the core of this obstruction is caused by a lack of successful inheritance of the creation philosophy and principle of Hangeul. In order to prove this premise definitively, I saw Hangul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and suggested the base and objectivity to solve the problem by systematically define the excellence of Hangeul. In this paper, 1 confirmed that the creation philosophy and principle of Hangeul had the design philosophy that was appropriate for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at time, and went through rational design process. Therefore, as I mentioned earlier, the due for the problem with Hangeul typefaces can be found when it is handled based on the creation philosophy and principle. Furthermore, the creation of Hangeul can be explained as a creation of rational and scientific letter as a method of easie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people and nations. Therefore, the study of the design method and principle used in the process of Hangul creation may provide the new base for the methodolog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nd it may be a core research subject to find the root of Korean design philosophy.

  • PDF

Hangil Design and Oullim, the Great Harmony (한글 디자인과 어울림)

  • 안상수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3
    • /
    • pp.383-392
    • /
    • 2004
  • Oullim is Vital principle Which allows humanity to continue its inherent culture. By proposing the evaluative authority of the creative significance of the invention of Hangul and its formation and superiority from the stand point of Oullim, I would like to focus on Hangul's creative significance on the grounds of 'broadly profound design'. The ideas of Hunminchongum's invention id based on the philosophy of Great Absolute. The philosophy of Great Absolute is natural phenomenon and metaphysical understanding of cosmology. But King Sejong could keep a good balance between identity and practicality. It is a high value of Hangul. The main idea of design is seeking for principle of nature and systematical vitality. King Sejong also put this main idea of design in practice for inventing Hunminchongum. In the process, Oullim appeared as an essential function for the Great Design.

  • PDF

Comparison and Convergence of the Blank Space in Chinese and Japanese Graphic Design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Blank Space in Poster Design (중국과 일본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여백의 비교 및 융합연구 -포스터 디자인에서 여백 표현을 중심으로-)

  • Xie, Wenqian;Kim, Won-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6
    • /
    • pp.153-162
    • /
    • 2017
  • Comparison and Convergence of the Blank Space in Chinese and Japanese Graphic Design This study discusse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in Chinese and Japanese aesthetics. Most of the contemporary graphic designs in China lack influence or individual philosophy on aesthetics. In analyzing and comparing the use of blank-leaving in graphic design works showed that the traditional artistic sense of the blanks can enrich the cultural connotations of design and raise the artistic creation of the works. This paper used "convergence" to create a new approach on Chinese contemporary graphic design, especially on poster design. The application of blank-leaving in the graphic design has positive impact in the creation of excellent graphic design works that provide references and inspiration to develop a new blank on my own design.

나의 우리 옷에 대한 이해와 창작

  • 이기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11-12
    • /
    • 2004
  • 흔히 사람들은 난 '옷을 몰라' 하면서도, 어떤 형태든 옷을 입는다. 그리고 그 옷을 입은 '최종형태'는 곧 그 사람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사실은 '어떤 옷을 입느냐' 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 옷은 한 사람의 전체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 축적되면, 각 계급 계층, 지역, 국가의 특징이 고스란히 담기게 되고, 나아가 한 시대의 역사적인 모든 요소들을 반영하고 그 시대정신과 철학까지를 반영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