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선호

Search Result 83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Q방법론에 의한 유아용 제품 디자인 선호도 연구 -중국 유아용 식기를 중심으로- (Design Preference Evaluation of Product for children based on Q-Method - Focused on Tableware for Chinese Children -)

  • 탕링;변재형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7호
    • /
    • pp.39-51
    • /
    • 2022
  • 식기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용품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유아용 식기는 사회적으로 더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용 식기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회적 배경과 결합하고 Q방법론을 적용하여 건강과 안전, 감각적 체험, 행위 유도, 정서적 인지의 네 가지 관점에서 유아용 식기 제품에 관한 평가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중국 유아용 식기의 디자인에 관한 조사 대상자들의 수요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이 외에도 인터뷰 과정에서 일부 조사 대상자들은 유아용 식기 디자인의 인체공학과 각 지역의 문화 차이도 주목해야 한다고 제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유아용 식기의 디자인 선호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감성지향적 범주화를 통한 장류제품의 디자인.마케팅 전략 (The Design.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Sauces by emotion-oriented Categorization)

  • 이유리;양종열;박상준
    • 감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491-502
    • /
    • 2007
  • 범주화는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범주화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이 다르고 감성의 차이에 따라 디자인 컨셉이 다르며 이에 따라 디자인요소가 다르게 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제품라인이 확대되어 제품의 차별화가 모호한 경우에는 범주화과정이 필요하다. 즉 감성의 유사성 정도를 바탕으로 정확한 범주를 정하고 컨셉화하여 소비자 지향적인 디자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의 제품범주(장류) 안에 유사한 하위범주(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를 구성하고 있는 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이미지를 추출하고 그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범주를 결정하여 디자인방향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장류는 선호하는 이미지로부터 차별화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류에 대한 감성 이미지 조사에서, "웰빙의", "감칠맛나는"의 감성 이미지는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저분한", "냄새나는"의 감성 이미지는 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는 장류제품을 개발할 때 "감칠맛 나는"과 같은 긍정적인 감성이미지는 부각시키고, "지저분한" 이미지와 같은 부정적인 감성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는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서 제품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 PDF

창의성요소와 감성디자인의 평가방법 관계에 대한 연구 (Evaluation Method for the Creativity Elements and Emotional design)

  • 이성필;홍정표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259-268
    • /
    • 2010
  • 현대사회를 감성사회라고 말한다. 감성사회에서 감성(感性)디자인은 상품의 가치를 높여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많은 연구자들이 감성디자인에 대하여 주장을 하고 있지만 감성제품과 일반 제품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판단기준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히거나 무엇이 감성제품인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된 사례가 많지 않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에서, 사용자에게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디자인요소가 무엇이며, 감성디자인의 분류와 판단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선행 연구된 디자인 창의성 평가 요소와 감성디자인의 관계, 소비자에게 선호되는 감성디자인은 어떤 창의성평가요소와의 디자인요소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안하고, 두 번째로, 감성디자인유형별로 중요하게 표현되는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들에게 제품을 보여주고 감성디자인이라고 생각하는 제품을 선정하게하고, 선정된 제품을 디자인유형별로 나누어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선정된 제품에서 느끼고 있는 디자인이미지를 알아보고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감성디자인은 시대의 변화, 환경, 사용자에 따라 중요한 창의성평가요소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자인은 어떤 이미지를 갖는 디자인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PDF

금강 경관의 수면폭 변화에 따른 시각적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Keum River Sceneries at Different Water Level)

  • 유상완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73-282
    • /
    • 2006
  • 본 연구는 수량에 의한 수면폭의 변화로 인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이 일정할 때 수량에 의한 수면폭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선호되어지는가?'에 대한 연구의문에서 출발하여 금강경관의 수면폭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구명하였다. 1)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선호요인 변수는 먼저 갑천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심미성 인자, 개성적 인자 4개의 변수, 무주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2개 변수로서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모든 선호요인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선호의 값도 증가를 가져오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2) 다중회귀모형에서 다른 조건이 불변일 경우, 갑천, 무주 모두 감정적 인자의 값이 증가할 때 전체적인 시각적 선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인자가 두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선호요인이 시각적 선호에 기여하는 상대적 중요도는 갑천의 경우 감정적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심미성 인자, 개성적 인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인자는 개성적 인자에 비해 4.3배만큼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주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인자는 물리적 특성 인자 비해 1.1배만큼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장소 모두 감정적 인자가 가장 중요한 선호요인으로 판명되었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는 하천의 수면 폭 및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 PDF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 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A Study of the Fashion Design Process Model for Mass Customized Clothing)

  • 박진아;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133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에 적절한 의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하기 위하여, 맞춤화 정도를 달리한 두 가지의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종래의 대량 생산형 디자인 프로세스와 비교 고찰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대량 맞춤화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이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맞춤화가 가장 심화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에서의 디자인 만족도가 높았으므로, 의류 제품에 있어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소비자 수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여 디자인 요소별 선호도를 분석해 본 결과,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색채가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어 소비자에게 색채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집단으로 선정한 '대량 맞춤화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전체 응답자 집단에 비하여 소재 변수를 의미 있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응답자 집단과 연구집단의 경우 모두 스타일이 가장 중요하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대량 맞춤화형 의류 제품의 수용 가능성과 이에 적합한 의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 PDF

사용자 선호지향 기반에 의한 GUI 아이콘 표현 유형과 조형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 아이콘 디자인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f the most favorable ICONs and the formative factors in the GUI design - Focused on the design of the Graphic ICONs. -)

  • 우근도;정성환;홍정표;형성은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521-530
    • /
    • 2008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의 아이콘들은 시각언어로서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들의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정보전달 매체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아이콘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기 때문에 임의의 사용자에게 원하는 시각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커뮤니케이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Graphic User Interface이라는 매체의 특성에 적합한 아이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콘 유형인 그림 아이콘을 중심으로 하여 그림 아이콘의 각 세부적 표현 유형의 선호도에 따른 조형적 영향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각 표현 유형에 영향을 주는 조형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아이콘 디자인에서 사용자 선호 지향적 디자인 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디자인을 할 때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 PDF

래시가드 착용실태 및 디자인 선호 연구 (A Study on the Wearing Condition and Design Preferences of the Rash Guard)

  • 한우신;최정욱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5-57
    • /
    • 2022
  • A rash guard, also known as rash vest or rashie, is functional sportswear that protects the wearer's skin from various dangers during outdoor sports activities. It is durable and comfortable since it is designed considering muscle movement. In modern society, more and more people enjoy leisure activities due to an increase in income level and increased leisure hours. Water leisure activities are increasingly enjoyed in the summer. As the way people think of leisure evolves, people are more inclined toward dynamic leisure sports rather than static facility tourism. Therefore, more research on rash guards is required.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design preferences and purchase behaviors of young adults on rash guard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actual sportswear behaviors concerning those who are most active in water sports, people in their 20s and 30s.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 healthy exercise lifestyle for women who enjoy water sports and the growth of the water sportswear market. In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wearing behaviors and purchase preferences as well as the wearing satisfaction on rash guards. For the study, 2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be used as analysis dat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6 questions, 6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11 about purchase preferences, and 19 about wearing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8.0.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nvestigate the design preferences and wearing behaviors of rash guards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results found numerous complaints on comfortableness and durability, which suggests more concern and improvements are necessary in those areas when designing patterns for rash guards.

가사전담 남편을 위한 육아 TV채널의 브랜드마크 및 스테이션 아이덴티피케이션 제안 (Brand Mark and Station Identification for TV Channel Specializing in Childcare for House Husbands)

  • 천은영;최장섭;백진경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03-116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발전으로 인한 성별분업 체계의 변화와 가사전담 남편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육아를 다루는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에 주목하여 가사전담 남편을 주요 대상으로 육아채널 개설 시 필요한 브랜드마크와 스테이션 아이디를 디자인하여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와 현황분석을 통해 브랜드마크와 응용브랜드마크를 제작하여 생후 6개월~37개월까지의 아이를 육아하는 부모 55명을 대상으로 채널 필요성과 선호도 및 인지도 관련 수용자 의식조사를 2차에 나누어 실시하였다. 1차 조사 결과, 부모들의 육아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의 심리와 육아채널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브랜드마크와 응용브랜드마크 형태와 색채 선호도 및 인지도 평가를 통해 부정적 결과를 얻은 응용브랜드마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여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이를 연상시킬 수 있는 형태가 인지도와 적합성이 높았으며, 고채도의 남색 계열 색채 사용이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주거공간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대한 노인선호 (Elderly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in Residential Space)

  • 이춘엽;오찬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7-76
    • /
    • 2009
  • As the needs of housing for the elderly has increased,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and some housing projects for the elderly including nursing home began to be provided. Most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housing type or space layout and only several ones on interior design. The interior design in house influences physically or psychologically on the elderly who lives in. Also, the subject of them which examined the needs or preference for housing for the elderly were the middle-aged, not the ag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in residential space by the elderly. The structured interview with 120 old persons who lived in Busan was carried out using by a questionnaire and 3D images. The elderly answered about the preferred interior style, color, lighting and interior finishes of each room in house, such as living room, master bedroom, kitchen, and bathroom.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of each room in house which the elderly preferred were presented. In general, they preferred the mixed interior style with tradition and modem. Also, the reddish and purple interior color, flower or plant patterned wall finishes, and wood floor were preferred in living room and master bedroom by the elderly. The white interior color and one colored wall finishes without any pattern were preferred in kitchen and bathroom.

초등학교 설계를 위한 디자인게임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aming Method for a Designing the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Students' Preference of Physical Environments-)

  • 김혜정
    • 교육시설
    • /
    • 제16권6호
    • /
    • pp.29-41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way to improve the school environments especially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design gaming with children.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the method to find how children experience school environments and the way to find their needs, feelings, and desires of the school facilities. The methods which have been used are design gaming consisted of picture card game, drawing favorable and unfavorable places, and making the wish list. 46 children in Seoul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physical environments which have been focus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ype of classroom, atmosphere of library, indoor and outdoor leisure activity space, indoor and outdoor play area, and the pedestrian way from home to school and from school towards hom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used to attempt to develop children's preference of each place and their wish about school environments. The results have been summarized based on the general preferences and differences of favorite and unfavorite places.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s and gender have also been discussed focused on the picture game and drawings of favorite and unfavorite pl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