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문화

검색결과 2,136건 처리시간 0.028초

WECHAT 이모티콘 사용동기 및 인문학적 해석 -화(和)와 예(禮)를 중심으로- (Usage Motivation and Humanistic Interpretation of Emoticons in WeChat -Focused on Hwa(和) and Ye(禮)-)

  • 강샤오멍;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38-1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규범적 사회의 영향이 강한 동북아시아 문화권에서 SNS 이모티콘 소통의 특징을 찾아 전통 인문사상을 기반으로 이 특징들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국가별 주류 SNS가 상이하므로, 구체적으로 중국의 위챗(Wechat)을 중심으로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서 동기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에 대해 해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문헌연구와 21명에게 인터뷰를 진행하여 38개 사용동기 항목을 도출하고, 272명에게 이모티콘 이용동기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챗의 이모티콘 사용동기로 6개의 요인들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들을 감정 표현, 심미성, 유용성, 인상관리, 재미, 소속감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위챗 이모티콘 사용의 동기요인들 중 규범적 사회의 특징에 부합하는 '인상관리'와 '소속감' 요인을 중심으로 유가의 인문정신인 '화(和)'와 '예(禮)'사상이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서 어떻게 발현이 되는지에 대해 해석하였다. '화(和)'는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의 소속감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부각하여 소통 과정에 잘 어우러지고자 하는 '소속감' 요인에서 나타난다. '예(禮)'는 도덕적 윤리 규범을 강조하는 것으로, 도덕적 윤리 규범에 적합한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보다 나은 관계를 조성하고 유지하는 '인상관리' 요인에서 나타난다.

고대 실크로드와 고조선 경금 제직기의 연관성 고찰 (Relationship between the Ancient Silk Road and High-technology Machine in Producing Kyung-Geum)

  • 김지수;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23권4호
    • /
    • pp.117-142
    • /
    • 2020
  • 본 연구는 실크로드의 역사를 다시 조명하여 실크로드의 주역이었던 고조선의 아름다운 실크의 감성을 찾아보고 잘 알려지지 않은 우리의 역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고서, 서적, 논문, 유적지 발굴 유물들을 분석하는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유물에 대한 자료는 다양한 서적과 논문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관련 유물사진들을 수집한 2차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고대 실크로드와 고대 동양에서 발견된 고조선의 경금의 실크 생산 환경을 조사한다. 두 번째, 고조선의 경금의 고도의 제작기술에 대해 조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BC 4500년 홍산문화의 동이족으로부터 발견된 옥으로 만든 누에를 통해 고조선의 실크 생산 시기를 추론할 수 있다. 신장자치구 누란, 아스타나, 니야 등에서 경금이 많이 출토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경금은 기원전 11세기경으로 서 발해만 고조선의 수도 중 하나였던 조양에서 발굴된 것이다. 서양의 브로케이드 및 다마스크의 기원으로 보이는 경금은 고조선의 수평 사각직기인 제화루기로 고도의 제직기술의 발전된 직기를 통해서 생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고대 실크로드의 특징은 기원전 5-6세기경 발해만 유역의 고조선에서 생산한 경금 견직물이라고 추측할 수 있었다. 한나라의 사직기나 서아시아의 수직직기로 경금 제직이 불가능하며 고조선의 제화루직기과 함께 고도의 제직기술을 통해서만 경금이 탄생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대의 실크에 관한 역사 연구를 이어나가기 위해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며, 앞으로 고대 실크에 관한 후속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기 바란다.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Metaverse Platform Using Big Data Analysis)

  • 홍진욱;한정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627-635
    • /
    • 2022
  • 본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상황이 장기간 지속화됨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IOT, AR, VR, 빅데이터와 같은 4차 산업 혁명의 기반 기술이 메타버스 플랫폼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문화 등 외부 환경의 변화는 학문의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변화에 대비하여 기존 성과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 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키워드에 '메타버스 플랫폼'을 포함하는 자료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 중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자료를 워드 클라우드 빈도 분석, 키워드 간 연결강도, 구조등위성 분석을 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워드 클라우드 분석에서는 '활용', '디지털', '기술', '교육' 순으로 키워드가 나타났다. 키워드 간 연결강도(N-gram) 분석 결과 '에듀→테크'의 연결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워드 연쇄 군집 수의 총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세부 연구영역은 '디지털 기술'을 포함 다섯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메타버스 플랫폼 분야의 학문적 연구 주제 범위는 그리 넓지 않았으며, 장기 지향적 관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연구 주제의 발굴 및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건설 자동화 서비스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와 대응전략 -목적, 시사점, 전략을 중심으로-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Response Strategies of Construction Automation Services -Focused on purpose, implication, and strategy-)

  • 이재명;이용기
    • 서비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158-175
    • /
    • 2022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기술 진보로 대량 실업과 고용불안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특히 건설 자동화 서비스 방식은 빠른 발전과 기술간 융합에 따라 작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현장 안전사고 방지, 건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노동자들의 자리는 감소할 것이며 소득분배도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이에 본 연구는 노동 시장의 불안감을 완화시키고 정부 및 사회 각계각층이 고민하여 방향성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현재 건설 분야에 종사 중인 2명의 전문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의미 도출과 현 경향을 파악하고 필요한 개선방안과 제도적 영역에 관해 규명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목적, 시사점, 전략적 총 3개의 주제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현장의 대응, 노동자 대응, 교육훈련 대응, 정부와 기업의 대응으로 총 4개의 분야별로 대응 전략을 제언할 수가 있다. 산업 현장의 대응은 수평적이고 유연화된 조직 문화로 전환 되어야 하고 기존 노동자의 교육과 신규 인재양성이 필요하다. 노동자 대응은 융합능력과 깊은 전문성을 길러야 하며 교육훈련 대응은 직업교육과 훈련에 초점을 맞춘 재교육 시스템 도입을 갖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기업의 대응은 건설 기술 서비스 창업 및 창직 활성화를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건설 자동화 서비스의 기술혁신에 따른 사회 전반의 생산성 향상과 효율성이 노동 시장에서 실업률 상승과 일자리 감소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지 않도록 향후 경제 및 사회학적으로 논의를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 연구 (A Conceptual Framework for One Source Multi Use Strategy of Culture Content)

  • 김영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8호
    • /
    • pp.155-180
    • /
    • 2012
  • 본 연구는 OSMU를 문화콘텐츠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일련의 마케팅 활동으로 파악하고, 브랜드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브랜드 자산관리의 전략적 틀을 적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의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문화콘텐츠와 관련하여 소비자가 떠올리는 강력하고 호의적인 연상은 콘텐츠의 높은 브랜드 자산 가치를 구축하는데, 이를 위해 저작권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고, 이를 OSMU 전략의 수립과 집행의 근간으로 삼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전략 모델에 따르면, 콘텐츠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1)다양한 창구를 통해 콘텐츠를 노출시킴에 있어서 필요한 창구화 의사결정, 2)원천 콘텐츠를 어떤 장르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르 전환에 있어서 어떤 요소가 유지, 강화되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장르전환 의사 결정, 3)상품화 대상 선정, 상품화 활용 요소 및 상품화 디자인과 관련한 상품화 의사 결정 등 다양한 OSMU 의사 결정의 기준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경로의 소비자 접촉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조율하고 통합하며, 브랜드 자산의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콘텐츠의 장기적인 부가가치 극대화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는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첫째, OSMU를 일련의 과정으로 파악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조망함으로써 OSMU 논의의 폭을 넓히고 있다. 둘째, 창구화, 장르전환, 상품화 등 다양한 OSMU 활동을 통합하고 조율할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셋째, 전략의 초점을 원천 콘텐츠 (One Source)의 부가가치 극대화에 맞춤으로써, 멀티 유즈 (Multi Use) 결과인 장르 전환된 콘텐츠 또는 관련 상품을 위한 전략과의 혼란을 배제하였다. 넷째, OSMU 실행과정에서 저작권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의사결정을 파악하고, 그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OSMU 주체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콘텐츠의 내용 이외에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논의의 대상에 포함시킴으로써, 콘텐츠 향유자뿐 아니라 미래의 잠재고객을 콘텐츠의 장기적 부가가치 창출원으로 인식하였다.

이브 생 로랑(Yves Saint Laurent) 작품에 수용된 예술과의 교류 (Interchange with Art Contained in the Works of Yves Saint Laurent)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2호
    • /
    • pp.283-295
    • /
    • 2011
  • This study deals with the interchange with art that is contained in the works of Yves Saint Laurent, and it is disclosed through his works that modern fashion is part of expressive art while pursuing creative function as a work of art. The study has been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s, the pictures of his works and interviews posted in domestic and overseas fashion magazines such as Vogue, Fashion News, Mode & Mode, Gap, Collections, etc. Regarding the scope of this study, it specifically deals with works he created from 1958 until 2002, when he announced his last coll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with respect to Post-Impressionism, his works were greatly affected by van Gogh(who had used colors as active media in depicting his internal mental state) which gave birth to gorgeous and handicraft-like 'Couture-style clothes'. With respects to Fauvism, the works of Matisse also had an impact on Yves Saint Laurent, who added a sense of fauvism in his works through the use of colors, motif, or full reproduction of images from paintings. We see the influence of cubism upon Laurent when we examine his works of 'clothes with artistic value,' which utilized applique, beaded decoration, patchwork, embroidered patterns, relief-like ornaments, etc. using motif or objet much as we see in the works of Picasso and Braque, artists who expressed a new dimension of the formative arts. Laurent's use of neoplasticism, or plainness of painting, demonstrates a new formative art on the three-dimensional human body by using the works of Mondrian, which consist of black lines and primary colors, although generally Laurent's 'neoplastic'works differed from the works of Mondrian by more actively utilizing the lines and colors when designing dress and its ornament. In addition, the paintings and poems of surrealism artists and poets were directly used in the clothes or their images were sometimes borrowed. In order to express respect toward the spirit of surrealism and its artists, the human body motifs such as lips and eyes(which were frequently used by the surrealism artists) were applied to embroidery, printing and beaded decoration. Finally, being inspired by such Pop artists as Andy Warhol, Roy Lichtenstein and Tom Wesselman, Laurent further emphasized the aesthetic value of the popular consumer image in his own work, resulting in the wide recognition of the designs of Yves Saint Laurent as representing the new wave of the Pop Art school.

뉴미디어 아트의 상호 작용성을 통한 미술관에서의 메타현실 체험 연구 (A Study on Meta-Reality Experience at a Gallery through the Interactivity of New Media Art)

  • 김태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13-125
    • /
    • 2018
  • 최근의 뉴미디어 아트는 새로운 기술만을 수용하여 예술도구로 사용하는 기술종속적인 예술이기보다 기존의 기술들을 전복시키고 재활용하며 변형시키는 재매개의 역할로써 발전해 나아가고 있다. 여기에서 새로움(New)의 개념은 새롭게 탄생된 기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기술을 우회적으로 바라보고 거기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뉴미디어 아트의 개념이 어떻게 게이미피케이션이 적용된 공간에서 게임을 화면 안에서 바깥으로 외형화 시키는지에 대한 공간화에 대한 개념을 그 출발로 삼았다. 참여형 뉴미디어 아트는 전시장에서 작품을 단순히 관람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객의 참여하는 플랫폼을 부차적으로 추가시켜 전시장 공간 전체를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의 상호작용성은 게임이 예술화된 공간 안에 속하게 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변화 과정과 현상들에 주목하였다. 여기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은 곧 '게임의 공간화' 과정을 의미한다고 보는 입장이라는 점을 전제로 한다. 미술관에서 관객들을 대상으로 한 상호작용성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는데 있어 게임의 공간화의 과정에서 변형되어가는 여러 가지 사례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만화캐릭터의 표정과 독자 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and reader cognition of a Comics character)

  • 윤장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7-231
    • /
    • 2006
  • 21세기의 새로운 뉴미디어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만화 및 애니메이션은 각종 영상매체에서의 중요성과 더불어 모든 예술분야에서의 그 비중은 갈수록 커지게 되었다. 특히 날이 갈수록 발전하는 시각문화에 대한 유저들의 소구는 감성공학과 더불어 감성디자인의 필요성을 절실히 깨닫게 해주고 있다. 더군다나 한국과 같은 지리적인 위치에서 일본 문화 중에서도 가장 중독성이 있는 만화, 애니메이션의 영향은 청소년부터 장년층까지 두루 미치고 있는 이유로 한국적인 만화 언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따른 적절한 연구가 필요하다 생각되어 그 중에서도 만화 캐릭터의 표정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일본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표정을 크게 "희(기쁨), 노(분노), 애(슬픔), 락(즐거움)"과 공포(무서움), 놀라움, 혐오(역겨움)으로 나누고 이것을 기준으로 만화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최소한의 도식적인 표정 요소들을 도출하여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들과 연관시켜 이미지맵을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자들이 만화의 표정언어를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측정도구를 만들어보았다. 표정 요소 도출을 위해 선택된 일본 만화의 샘플들은 우선 출판만화로 한정하였으며, 차후에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표정분석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 PDF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디자인 개발연구 - 스카프, 넥타이 상품을 중심으로 -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Goods to which Korea Image is applied - mainly centering around the goods of scarf and necktie -)

  • 남재경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6권
    • /
    • pp.249-266
    • /
    • 2004
  • Nowadays more than 200 countries are living on the earth in international relation. Having their own culture and history, these countries constitute international society, creating their national image with their own identity based on the culture and history. Though each country has cultural goods in which it combines its culture and history to economic area, the global and cultural goods representing a country is not made in short term, but completed by the combination of its long tradition, cultural consciousness of the nation and artistic level. That is to say, the image developed by the country is naturally embodied in the goods and the world recognizes the image and confirms the goods. To embody such Korean and global goods, it is essential to put priority on the research of history and culture of our society. Needless to say,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the value of our own differentiated beauty and apply it to each area of design industry. Recognizing the differentiated value of our own cultural originality, this research performs the design of scarf and necktie to exhibit Korean image in modern and fashionable ways for commercialization by developing design of fashion and cultural goods to which Korean image is applied. Through literature and various informations, the theme of design that can best convey Korean image is determined to be the national flag of Korea, Taegeukki and five cardinal colors and the researching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ough the area of developing designs of cultural goods is very wide and various including commerce, industry, products , fashion, handicraft and traditional handicraft, etc., this research sets the scope of developing design, focusing on the fashion accessories utilizing the textile design such as costume, scarf, necktie and so on. Second, the definition and scope of cultural good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domestic cultural goods will be examined. Third, the modelling property and symbolic meaning of the national flag of Korea (Taegeultki) and five cardinal colors, the theme of design will be studied. Fourth, on the basis of above research, scarf and necktie will be designed by modern and fashionable design to which Korean image is applied. Fifth, this is textured in textile printing and gradation for commercialization.

  • PDF

PDA를 활용한 안내서비스가 이용객의 몰입, 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복궁의 PDA안내서비스를 중심으로- (Effect of PDA Guide Service on Users' Involvement,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Focused on PDA Guide Service in Gyeongbokgung-)

  • 김주연;이민재;안경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73-381
    • /
    • 2012
  • 정보기술 발달로 인해 관광정보제공에 있어서 다양한 정보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여러 지역자치단체나 관광지에서 여러 정보기기를 활용한 관광정보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다. 2010년 6월부터 경복궁에서 PDA 기기를 활용한 안내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DA기기를 활용한 안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경복궁을 대상으로 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문 문화해설사의 안내서비스를 받은 관람객과 PDA 안내서비스를 이용한 관람객의 해설에 대한 몰입, 만족, 재이용의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항목에 대해서 문화해설사의 안내서비스를 받은 방문객이 지각한 몰입, 만족 및 재이용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PDA안내서비스의 서비스품질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이 구성요인이 이용객의 만족, 몰입, 재이용의도 등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PDA 안내서비스 구성요소는 '해설성', '디자인', '사용용이성', '시스템 안정성'의 네 가지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이 중 '해설성'은 이용자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해설성', '안정성'과 '사용용이성'은 이용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용자의 재이용의도에 있어서는 '해설성'과 '시스템 안정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