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이너

Search Result 97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파티 리넨 디자이너 영송 마틴(Youngsong Martin)

  • Yu, So-Ra
    • 주택과사람들
    • /
    • s.192
    • /
    • pp.56-57
    • /
    • 2006
  • 처음 만난 사람에게 건네는 악수. 어떠한 상황에도 'I'm OK'라고 대답하는 낙천적인 성격, 웃지 않는 것이 외려 힘들다는 쾌활함. 그녀의 이러한 점이 콧대 높은 미국 상류사회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파티 리넨 디자이너 영송 마틴(Youngsong Martin)을 서울에서 만났다.

  • PDF

Protocol Analysis of Product Design Assignment based on Design Information and Design Process : A Case Study (제품디자인과제에 대한 디자인 정보와 프로세스에 기반한 프로토콜분석 사례연구)

  • Jin, Sun-Tai;Kim, Yong-S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1 s.63
    • /
    • pp.109-118
    • /
    • 2006
  • A case study bas been conducted to explore design activities of four expert designers through protocol analysis, We examined relations among design information, process patterns and solution qualities with two complementary coding schemes based on design contents and design process, Relation between personal creativity modes and design activities has been examined as well. Regarding design process, an adequate distribution of activities in process may be necessary to bring out a good solution. It seemed that the more design contents about context, external knowledge, and general feature are used, the more unique design concepts are made. Regarding personal creativity modes, not much of differences in that design activity were observed while only a few relations between designer's personality and design activity were observed. The fact that the designers participated are all experienced designers could explain this. Investigation on the differences between novice designers and expert designer reflected in protocol data based on design information and design process coding scheme is to be done. Also, how personal process patterns observed through this protocol analysis can be utilized in composing design team.

  • PDF

What Determines the Emotional Quality of Homepage\ulcorner - from the emotion, users and designers perspectives (무엇이 홈페이지의 감성 품질을 결정하는가\ulcorner -감성 측면과 디자이너의 측면 그리고 사용자 측면을 중심으로)

  • 박수이;최동성;김진우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4
    • /
    • pp.97-110
    • /
    • 2002
  • As users environments change, users primary needs for homepages also change more complicatedly. Today, users do not only want usability for homepages, but also to feel appropriate emotional experiences. Despite users needs, users do not always experience appropriate emotions that are conveyed by designers through homepage. I In this research paper, we analyzed the related factors with the emotional quality, which means the degree that users feel target emotions intended by designers. For analyzing factors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y, three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factor of an emotion, the factor of users and the factor of designers. As the factor of emotions,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unclear emotional dimensions in users minds are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y. The second hypothesis, as the factor of users, is that the diversity of users experiences by same homepage is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y. The third hypothesis, as the factor of designers, is that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design elements is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y. In the previous research, we selected the basic 13 emotional dimensions and 30 representative emotional words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and evaluations by professional designer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experiment and user survey. In the experiment, we asked 30 designers to design homepages focusing on the typical emotion that was presented by a researcher. Based on the designing process and user evaluation, w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es: ANOVA with Tukey post hoc method and Factor Analysis. We fou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motions that designers intend and the actual emotions that users experienced from homepage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we know that the factor of users and the factor of designers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ies, but the factor of emotions did not. The definiteness of emotions did not relate with the emotional quality. However, the diversity of emotions that users feel seeing the same homepages and design elements that designers chose for conveying target emotion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y.

  • PDF

Comparison on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 of the designer and consumer about the formative elements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조형요소 인지특성 비교)

  • Min, Kyung-Taek;Heo, Seong-Cheo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2 no.1
    • /
    • pp.97-108
    • /
    • 2009
  • In the process of product design, shaping is the process of making a substantive existence, and ultimately it generates the outcome. The process of shaping is generally led by designer's initiative work, and in this process, various formative elements are used to generate the outcome. In this research, the basic purposes are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of elements which generated by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and designer's view in the process of shaping of the produ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ffective responses caused by those differences. Also, it will examine how the consumers can direct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the shaping of the consumer-participated product, and the feasible guidelines of design in which consumers' needs can be reflected more efficiently to the process of shaping. As a result, consumers and designers have certain degree of difference of view-point about the formative element of the shape. The difference was due to subjective common ideas of design in case of designers, and in case of consumers, it was due to their immature visual understanding. There is another experiment of affective response about the shape of the product. First, I established the sensible image vocabulary based on the shape of the product. And based on the vocabulary, I carried out the same experiments to the consumers and designers.

  • PDF

PR페이지 - 발전하고 있는 패키징 솔루션 <3> 복잡함을 정복하라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11 no.4
    • /
    • pp.124-125
    • /
    • 2012
  • 다양한 상품이 모여 있는 편의점 판매대에서 고객들에게 많이 팔리기 위해서는 우선 패키징부터 달라야 한다. 디자이너들은 다른 제품들보다 자신의 제품이 '눈에 띄게 하기 위해' 고민을 하고, 제조사들은 빠른 회전율과 저비용을 원한다. 이를 위해 패키징 디자이너들은 혁신적인 워크플로와 프로젝트 관리, 그리고 교정 도구들로 디자인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길 원하고 있다. 한국코닥에서 공급하고 있는 다양한 패키징 솔루션에 대해 소개한다.

  • PDF

PR페이지 - 발전하고 있는 패키징 솔루션 <4> 프리프레스 솔루션과 함께라면 경쟁 우위도 가능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11 no.5
    • /
    • pp.104-105
    • /
    • 2012
  • 다양한 상품이 모여 있는 편의점 판매대에서 고객들의 눈에 띄어 많이 팔리기 위해서는 우선 패키징부터 달라야 한다. 디자이너들은 다른 제품들보다 자신의 제품을 '눈에 띄게 하기 위해' 고민을 하며, 제조사들은 빠른 회전율과 저비용을 원한다. 이를 위해 패키징 디자이너들은 혁신적인 워크플로와 프로젝트 관리, 그리고 교정도구들로 디자인 프로셋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길 원하고 있다. 한국코닥에서 공급하고 있는 다양한 패키징 솔루션에 대해 소개한다.

  • PDF

선과 면, 그리고 빛의 조화를 꿈꾸다-건축 &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종호

  • Lee, Geum-Hui
    • 주택과사람들
    • /
    • s.201
    • /
    • pp.70-71
    • /
    • 2007
  • 철저한 시장 조사와 트렌드 스터디를 통해 유니트한 공간을 창조해내는 건축 &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종호. 국내 최고가로 평가받고 있는 현대산업개발의 삼성동 I-Park 펜트하우스, 호텔에 새로운 공간 개념을 도입한 Park Hyatt Hotel, 서초 아크로비스타 등이 모두 그의 손길을 거쳐 탄생되었다. 선과 면, 빛을 통해 공간을 그려내는 (주)디자인스튜디오의 김종호를 만나보았다.

  • PDF

PR페이지 - 포토리아 텐콜렉션 시즌3 '출발'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14 no.3
    • /
    • pp.92-93
    • /
    • 2014
  • 포토리아가 텐콜렉션 시즌1, 2의 성공에 힘입어 세 번째 시즌을 다시 시작한다. 2013년에만 100만명(중복 제외)의 방문자를 모은 텐콜렉션은 세계적 명성의 사진작가 5명과 그래픽디자이너 5명이 참여하는 시즌3으로 돌아온다. 1명의 사진작가와 1명의 그래픽 디자이너로 이뤄진 총 5쌍의 아티스트 듀오는 미래에 대한 비전을 담은 콜라보레이션 작품을 선보인다. 각 듀오가 제작한 5개의 작품은 원본소스 파일로 텐콜렉션 팬들에게 무료로 제공된다.

  • PDF

프린팅 월드 - 미국 인쇄산업에서 선호하는 디자이너는?

  • Jo, Gap-Jun
    • 프린팅코리아
    • /
    • v.12 no.10
    • /
    • pp.120-123
    • /
    • 2013
  • 인쇄산업에서 디자인 작업은 인쇄공정 전체의 방향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다. 또한 셀 수 없을 만큼 다양한 고려사항에 대비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이기도 하다. 이렇듯 디자인 작업에서 신경 써야 할 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필수적인 고려사항에 대해서는 대체로 의견을 같이 한다. 일반적으로 미국 인쇄산업에서는 보다 지적이면서도 능동적인 디자이너를 선호한다.

  • PDF

A Study on the Image-photos as a Communication Tool in Product Design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이미지 사진에 관한 연구)

  • 김관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10a
    • /
    • pp.20-21
    • /
    • 1999
  • 오늘날 제품개발 환경에서 디자이너는 고유의 디자인 업무뿐 아니라 여러 기능부서의 의견을 수렴하고 통합, 조정하는 교량 또는 촉매로서의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디자이너는 제품기획에서 생산, 판매에 이르는 제품개발의 전 단계에 적극적으로 그 역할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