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등장성운동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5초

복합운동처치가 태권도 선수의 슬관절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to Knee Joint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n the Taekwondo Athlete)

  • 최경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0-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남자 고등부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여 등장성운동과 등척성 등장성운동을 혼합하여 복합 훈련을 실시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등속성 근 기능 중 최대우력, 동측근력비율, 양측근력비율, 근지구력을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나타내었다. 첫째, 최대우력은 좌우측 신굴근 모두에서 등장성 운동집단에 비하여 복합 훈련집단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측근력비율, 근지구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전후에 차이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양측근력비율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전후에 차이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서 태권도 선수들의 경기력 증가를 위한 주요 체력요소인 평형능력, 근 지구력의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등장성 운동과 복합훈련 중 어떠한 방법으로 실시하여도 근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운동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등척성 운동과 등장성 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였을 경우 최대우력이 등장성운동을 실시한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현상으로 보면 태권도 발차기의 파워를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등장성 운동과 등척성을 복합적으로 실시하는 운동방법이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저항성 운동형태가 근감소증 유방암 환자의 근기능 지표 및 타액 내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on Muscle Function Parameters and Cytokine Concentration in Saliva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Sarcopenia)

  • 장재훈;허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11-41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감소증이 있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근 수축형태의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여 상지 근기능 및 타액 내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유방암 생존자의 재발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근감소증이 있는 유방암 환자(등척성 운동집단 10명, 등장성 운동집단 10명)를 대상으로 8주간 60~70%RM의 강도로 60분 동안 주 3회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n=10)은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8주 운동 전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어깨관절의 굴곡(p=.001), 외전(p=.001), 외회전(p=.045) 및 사이토카인인 IL-6(p=.000) IL-10(p=.001)의 경우 등장성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등장성운동 시 근전도 신호의 중앙주파수 분석을 통한 근피로지수 검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Muscle Fatigue Index Searching in terms of Median Frequency Analysis of EMG Signals during Isotonic Exercise)

  • 홍수용;이성호;윤형로;조상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5-181
    • /
    • 2003
  • 근피로 연구는 주로 등척성(isometric)운동에서 수행되었고 등장성(isotonic)운동에서 얻은 근전도 신호는 통제하기 힘든 잡음이 많아 등척성운동에서 사용된 주파수분석기법을 동일하게 적용하였을 때 신뢰할만한 중앙주파수 자료와 근피로 판정용 변수를 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등장성운동에서 측정한 근전도신호의 중앙주파수 검출방법에 따른 근피로 판정 변수들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근전도신호를 가지고 FFT 수행간격과 연속적인 FFT구간의 중첩비율을 다르게 하여 중앙주파수를 검출하고 이들의 선형회귀직선을 구하여 회귀직선상의 변수인 초기중앙주파수, 기울기. 근피로지수를 비교한 결과, 초기중앙주파수의 경우 FFT 수행간격이 넓을수록 조금씩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울기의 경우 FFT 수행간격이 넓을수록 중첩구간이 적을수록 기울기의 감소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근피로지수의 경우는 특정 FFT 수행간격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한정된 자원 극복할 차세대 태양에너지

  • 전국보일러설비협회
    • 보일러설비
    • /
    • 통권50호
    • /
    • pp.56-64
    • /
    • 1998
  • 1970년대 초 석유파동과 자원 민족주의의 대두와 더불어 지구상의 석유매장량의 한계성이 더욱 더 인식되었고, 석탄자원도 가용성이 오래 지속되지는 못할 것으로 알려져 에너지의 안전성이 세계각국의 중대한 과제로 등장할 때 제2차 석유위기가 도래하였다. 따라서 인류의 생존을 위한 에너지원은 태양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로 귀착되었고, 또한 원자력에너지의 문제점과 한계상황으로 인해 태양에너지의 이용이야말로 무한량, 무공해라는 점에서 인류의 영원한 생존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등장하였다. 범국민적인 에너지 소비절약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에너지 수요는 급격히 증가할 것이고, 에너지 절약은 우리가 숙명적으로 극복해야할 중요과제로 남아있어, 본지에서는 효과적인 에너지절약 방법의 하나로 등장한 태양열 에너지에 대해 몇회에 걸쳐 알아보도록 한다.

  • PDF

고주파 통증치료기를 이용한 재활 치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habilitation Treatment Using Radiofrequency Treatment)

  • 조재현;이상용;이근용;윤세진;정하영;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12-218
    • /
    • 2020
  • 인체에 고주파 에너지를 가하면 진동 폭이 매우 짧아서 직류 전류 이용 시 발생하는 전해질 화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온분자, 분극분자 등이 초당 4만 번 이상 진동을 하면서 마찰열로 전환되어 심부열을 발생시켜 모세혈관의 혈류량은 휴식 시 보다 4~5배 증가하여 산소, 영양물질, 항체, 백혈구 등 공급의 증가한다. 또한 진동 폭과 맥동기간이 매우 짧아 전기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는 물리적 인자치료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통증치료기를 사용하여 젊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등장성운동을 시키고, 등장성 운동 시 근전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운동신경 응답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재활치료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윗팔두갈래근의 등장성 운동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근전도 데이터와 운동 후 고주파통증치료기사용 후 측정된 근전도 데이터를 각각 RMS하여 t-검정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남녀 모두 t값, p값이 유의수준(<.05) 보다 작게 나와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별에 따른 표면근전도의 중앙주파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Median Frequency Analysis of Surface EMG on Gender Differences)

  • 이상식;이기영;고재욱;박원엽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0-25
    • /
    • 2012
  • 표면근전도의 중앙주파수 특징을 이용하여 근지구력시간에 대한 남녀 성별차별을 구분할 수가 있다. 중앙주파수는 근육의 피로속도를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완이두근의 등장성 운동을 통한 근전도의 성별차이를 알아보았다. 등장성운동은 피실험자가 근육피로가 피곤해 질 때까지를 측정하였다. 남녀 성별차이는 근지구력시간에 대한 중앙주파수의 선형회귀선의 기울기로 구분되어지는 특성을 보였다.

희석액의 삼투질농도에 따른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정자의 운동성 변화 (Changes of Sperm Motility in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by Osmolality of Diluents)

  • 장영진;임한규;장윤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7-191
    • /
    • 2000
  • 삼투질농도가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감성돔 정자는 정장과 등장인 삼투질농도에서 운동성이 억제되었으나, 전해질(NaCl, KCl, $CaCl_2$, $MgCl_2$) 및 비전해질(mannitol, glucose, fructose, sucrose) 희석액의 삼투질농도가 증가할 때, 운동성을 획득하였다. 희석액의 삼투질농도에 의한 정자운동지수(SMI)의 변화는 포물선을 그렸다 모든 희석액에서 SMI는 해수의 삼투질농도와 유사한 약 1,000 mOsm/kg에서 가장 높았고 그 이상에서는 다시 낮아졌다. 비록 정자의 운동성이 희석액의 삼투질농도에 의해 유발되고 해수와 비슷한 농도의 고장인 희석 액에서 SMI가 가장 높았지만, 고장이나 저장의 희석액에 정자를 노출시키는 것은 정자의 운동성 감소를 유발하였고 생존에 유해하였다.

  • PDF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과 대안적 도시운동의 부상

  • 이기웅
    • 사회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7-156
    • /
    • 2017
  • 최근 몇 년 동안 서울에서는 도시공간에 관한 권리를 둘러싼 격렬한 투쟁이 이어져왔다. 급작스러운 임대료 상승과 그에 뒤따르는 폭력적 전치는 이제 도시생활의 일상적 의례의 하나로 자리잡은 듯하다. 흔히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명명되는 도시공간의 자본화는 한편으로 도시 내 계급지배가 관철되는 대표적 양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도시운동이 발생하는 조건과 배경으로도 작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서울의 도시공간에서 발견되는 도시운동의 새로운 형태들을 2010년 이후 등장한 세 개의 도시 운동 집단, '맘편히장사하고픈상인모임(맘상모),' 리슨투더시티, 비빌기지에 초점을 맞춰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도시공간에 대한 이들의 대안적 상상과 실천의 형성 과정을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고, 이들이 제시하는 도시운동의 '새로움'을 과거의 도시운동과 비교 분석하며, 도시운동으로서 이들의 실천이 지닌 함의를 도시권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내용과 형식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이들 집단의 행동은 몇몇 핵심적 특성을 공유한다. 첫째, 이들은 공동재(commons)로서의 도시공간을 추구한다. 둘째, 이들은 느슨하고 유연하며 소규모의 조직을 지향한다. 셋째, 이들은 예술과 문화를 주체형성에 적극적으로 동원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철거민운동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계급 기반 도시운동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며, 계급 이후(post-class) 도시권의 전망을 선취한다.

등장성 운동 시 근전도 중앙주파수 데이터의 잡음 제거 방법 (Noise Reduction Methods for the EMG Median Frequency Data in Fatiguing Isotonic Exercise)

  • 조상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1-43
    • /
    • 2001
  • 19명의 건강한 성인 남자의 우세팔쪽 위팔두갈래근에서 피로가 생길 때까지 2.4초를 하나의 주기로 팔꿉을 반복적 등장성으로 굽히고 펴서 표면근전도 신호를 얻었다. 처리과정 A 중앙주파수(MDF )는 이 신호의 0.5초 구간을 power spectrum analy sis (PSA)로 계산하였는데 상당량의 잡음이 있었다. 중앙주파수의 잡음 양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표면근전도에서 3번까지 신호를 받았다 (2.4초 구간을 PSA로 계산한 처리과정 B, 13 point 로 moving averages한 처리과정 C, digital low pass filter한 처리과정 D). 그리고 나서 그 신호의 주요 주파수 성분을 뽑아내었다. 위의 중앙주파수 자료와 시간간의 회귀직선을 분석하면 초기 중앙주파수, 회귀기울기, 그리고 피로지수와 같은 모수를 얻을 수 있다. 비모수 검정의 하나인 Kendall 기법으로 네 개의 처리과정간의 모수를 비교하였다. 통계결과 잡음이 처리과정 A보다 B, C, D에서 적었고, D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중앙주파수를 digital low pass로 여과(filtering)함으로써 앞으로 있게 될 동적 운동 시 근피로 모니터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