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드릴

Search Result 51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드릴링 특성에 관한 연구

  • 김홍배;함승덕;남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04a
    • /
    • pp.115-119
    • /
    • 1992
  •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재료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위하여 각종의 신소재가 개발되고있다. 이들 신소재 중에서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높은 비탄성과 비강도특성 때문에 구조물의 경량화가 요구되는 우주선, 항공기 등에 주로 이용 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복합재료의 가격이 저렴해 지면서 이 재료의 높은 비탄성과 감쇠특성을 이용하고자 스포츠용품 및 기계 부품에도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이용이 증가 되고 있다. 항공기나 고속회전체의 부품을 복합재료로 제작하였을 경우 복합재료를 다른 금속이나 다른 복합재료부품에 접합(joining)시켜야 하는데 이 때문에구조물의 효율은 Joint에서 주로 죄우된다. Joint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복합재료의 표면을 가공한 수 Adhesive를 이용하거나 Bolt로 체결하기 위해 구멍 뚫기 작업이 필요하여 드릴링을 하였을때 이 재료가 매우 연마성이 강하여 심한 공구마멸을 일으키며, 드릴의 입구와 출구쪽에서 각 ply들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고, 드릴가공된 벽면으로부터 섬유 또는 레진의 탈락현상등이 발생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점을 최소화하여 고정밀도의 높은 생산성을 얻기위한 가공기술에 대한 자료를 만들고 최적 절삭조건 및 복합재료가공용 드릴의 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고속도강 표준드릴을 사용하여 유리섬유 에폭시 복합재료및 탄소섬유 에폭시 복합재료의 드릴링 실험에서 절삭조건이 가공면 생성, 공구마멸, 절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Evaluation of the Axial Vibration Properties of a Typical Drillstring (드릴스트링의 종진동 특성에 대한 실험적 및 이론적 연구)

  • Lee,
    • Journal of KSNVE
    • /
    • v.5 no.1
    • /
    • pp.107-115
    • /
    • 1995
  • An analytical model for drillstring axial vibration is proposed. The drillstring is modelled as an equivalent stepwise uniform bar, and the bottom boundary is modelled asa spring and a damper which depend on WOB(weight on bit). The effect of tool joints and the effect of surrounding layers, such as mud and formation, are evaluated theoretically. To investigate the bottom boundary condition, a forced axial vibration testing technique was developed and the tests with a typical drillstring were performed at various WOB's. The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theoretical results. An important conclusion is that the flexibility of the bottom rock must be included in order to predict resonant frequencies of the drillstring axial vibration.

  • PDF

Studies on the Response of Barley Varieties to Nitrogen Application and Seeding Methods (보리의 안전증수를 위한 질소비료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 Hong-Suk Lee;Eun-Woong Lee;Ho-Young Le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0
    • /
    • pp.152-162
    • /
    • 1975
  • Five barley varieties were compared under six 1evels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two methods of cultural management, conventional and drill seeding. The increase in grain yield and nitrogen content of the leaves showed a significant linear regression from added increaments of nitrogen in Haganemugi and Olbori, particulary under drill seeding. The other varieties resulted in various degrees of lodging and no significant increases in yield. The spike number per square meter was the major component of yield, but when the spike number per square meter was sufficient, 1000 grain weight was equally as important as a component of yield.

  • PDF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Drill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the Truck Cargo Box (트럭 적재함 가공용 자동 드릴링 머신 개발)

  • Oh,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39-742
    • /
    • 2009
  • 대형 트럭의 적재함 제조 공장의 경우 전 공정이 인력에 의존하는 강도 높은 제조 현장이다. 특히 적재함의 양 측면 게이트 고정 작업의 경우 약 7명 정도의 인력이 투입되어 드릴링 및 조립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드릴링 작업은 작업자의 손목이 손상되는 사고를 빈번히 일으키고 있는 위험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을 작업자 2인이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제작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드릴링 머신을 개발하기위한 기구적 및 시스템 설계, 제어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 PDF

Effective Tillering Pattern and Grain Yield on Different Sowing Method in Barley (보리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분얼의 양상과 수량)

  • 신만균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0 no.5
    • /
    • pp.548-555
    • /
    • 1995
  •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understanding on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tillers as affected by sowing method. Yield and yield contribution rates of till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data of field experiments in the Honam Crops Experiment Station of Iri, Korea from October 1986 to July 1987. Narrow-seeding (each row placement 40cm$\times$seeding width of each row 18cm), drill-seeding (20cm$\times$5cm) and broadcasting on wide ridge (each ridge placement 120cm$\times$ridge width 90cm) were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sowing methods. Primary tillers such as mainstem, 1 and 2 produced ears in all treatments, but the ear from a secondary tiller of 11 was observed only in broadcasting on wide ridge. Drill-seeding was the highest in number of spikelet, grain and plump grain per ear, while narrow-seeding being the lowest. The plump grain yield per square meter was 679.8g in narrow-seeding, while drill-seeding and broadcasting produced more than narrow seeding by 28.7% and 16.8% respectively. The actual yields per l0a for sowing methods showed a similar pattern to plump grain yield per square meter in which the yield was 567.6kg by narrow-seeding and the increments of drill-seeding and broadcasting were 30.6% and 15.4%, respectively.

  • PDF

미소경 드릴링 머신의 시작과 절삭현상의 연구

  • 백인환;정우섭;이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66-70
    • /
    • 1993
  • 미세드릴가공은 드릴 직경의 소경화로 발생하는 공구강성저하, 지동 발생, 칩배출 곤란 등으로 인해 수많은 기계가공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가공 중의 하나이며 이로인해 설계의 단계에서 가능한 피하고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근래 각종 제품의 소형 경량화 추세가 일어나면서 미세구멍가공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시계부품, 소형 정밀 부품, 연료분사용 노즐, 광파이버 관련품, 우주항공기 부품 등에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전기.전자 공업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표면실장기술(SMT)은 프린터 배선기판의 고밀도화를 더욱 진전시켰으며 이는 구멍밀도, 구멍지름의 미소화 등 미세구멍가공 관점에서 보완해야 할 기술적인 과제를 남겨 놓았다. 본 연구는 미세드릴가공의 메카니즘을 규명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여 미소경 드릴링 머신을 개발하는 데 주력함과 동시에그 절삭현상의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The Trend of New Technology in Metal Spinning (Metal 스피닝의 신기술 동향)

  • Lee, Tae-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6 no.1
    • /
    • pp.79-85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mainly on the technical development trend through the published papers, such as asymmetric metal spinning, metal spinning in heat treatment conditions and free mandrel spinning. Although the classical spinning, so called conventional, shear, tube spinning, uses the axisymmetric shaped mandrel(which is same inner shape of the final product), in new technologies the mandrel can be asymmetric one, spinning can be done without mandrel and also spinning is done with heat treatment together.

A Study on the Control of Micro Drilling by the GA-based Fuzzy Interence (GA-based Fuzzy 추론에 의한 미세드릴가공의 제어에 관한 연구)

  • 백인환;정우섭;권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b
    • /
    • pp.64-68
    • /
    • 1995
  • 미세드릴가공은 최근의 공업제품의 소형 경량화 추세로 인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가공시에 있어서 많은 난 점이 존재 하기 때문에 강도 높은 가공기와 숙련된 가공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드릴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 절삭상태 검출방법으로써 실용적이고 가공상황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주축용 모터의 전류 값을 이용하며 제어기 설계를 위해 퍼지추론과 유전알고리즘 이론을 도입한다. 이러한 지능형 가공방법을 미세 드릴가공에 구현하기 위해서 오프라인으로 안정한 가공조건을 초기화한 다음 퍼지제어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절삭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이송속도를 제어하며 가공상황 변동에 따른 적절한 퍼지규칙을 자기 동조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한 후 실제가공을 통하여 미세드릴가공의 특성과 제어기의 성능을 평가한다.

  • PDF

Structural optimizations of the optical fiber hydrophones with the hollow mandrel: Part I. Effects of the foraming layer on the wave propagation and the sensitivity (중공형 멘드릴을 이용한 광섬유 하이드로폰의 최적 구조 설계 Part I. Forming 층이 음파 전달 및 감도에 미치는 영향)

  • 임종인;노용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4
    • /
    • pp.23-29
    • /
    • 1998
  • 본 논문은 foraming층이 음파의 전달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멘드릴형 광섬유 하이 드로폰의 광음향 감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foaming층의 내부 구조에 따른 음파의 전달 특성을 분석하였고, AL(Aluminium)/foaming 및 Nylon/foaming 멘드릴(mandrel) 각각에 대하여 foaming층의 재질 및 두께 변화에 따른 광음향감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foaming층 내의 구조변화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 었다. 또한 AL al cNylon층상 복합체인 멘드릴에서 foaming층의 탄성율이 낮을수록, 두께 가 증가할수록 공음향 감도는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1GPa 이하의 탄성율을 지닌 두꺼운 Foaming층을 사용하여 층상 복합체 멘드릴을 구성하는 것이 광음향 감도의 향상을 위하여 효율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