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드릴

검색결과 510건 처리시간 0.032초

PCB 다축드릴머신의 구조해석 및 설계 (Design and Structural Analysis of Multi-Axis Drill M/C for PCB)

  • 이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412-41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PCB의 제작 공정에 있어 기준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다축드릴머신의 PCB와 드릴날 간의 충돌시 힘을 구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이는 PCB 가공을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PCB용 다축드릴머신을 설계함에 있어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안전성확보와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 PDF

다이아몬드 입자 전착드릴에 의한 탄소섬유 에폭시 복합재료의 드릴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illing Characteristics of Carbon Fiber Epoxy Composite Materials by Diamond Grit Electroplated Drills)

  • 김형철;김기수;함승덕;김홍배;남궁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2권8호
    • /
    • pp.27-38
    • /
    • 1995
  • For solving troubles happen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with carbon fiber epoxy composite materials(CFRP) by using HSS drill, a few types of diamond gift electroplated drills are manufactured, and machinability of these drills is experimented with a variety of cutting speed and feed rate. These drills have some advantages of good wear resistant and the conception of grinding process. As a result, using of these drills improves both troubles being caused by tool wear and damage of exit surface depending on fiber stacking angle. It is desirable that cutting conditions for the cutting thickness per revolution must be set under 0.01mm when the size of a diamond grit is # 60 .approx. 80.

  • PDF

모터전류를 기초로 한 드릴 마멸 모델링과 실시간 마멸 추정 (Drill Wear Modelling based on Motor Current and Application to Real-time Wear Estimation)

  • 김화영;안중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77-87
    • /
    • 1995
  • In-process detection of drill wea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igies for automatic, unmaned machining systems. In this study, an on-line drill wear estimation model based on spindle/Z-axis motor currents generat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is proposed. The theoretical model is obtained by integrating the drilling process model and the servomechanism model. The drilling process model describes the relationship of drill wear and drilling torque/ thrust force, whereas the servomechanism model describes the relationship of drilling torque/ thrust force applied to motor and spindle/Z-axis motor current. Evaluation tests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model is a good real-time estimator for drill wear.

  • PDF

과맥신품종에 대한 드릴파와 시비수준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Various Fertilizer Level and Drill-Seed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the Newly Bred Naked-Barley)

  • 최원열;박공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4
    • /
    • 1976
  • 1972년 우리나라에서 맨 처음 육성된 과맥품종으로 내한성이 强하고 다수성인 '광성'과 1974년에 육성된 단간 조숙 다수성인 방사006 두 품종을 가지고 드릴파재배에 따른 방시수준의 효과에 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행파보다 드릴파가 종실수량이 8%나 많았고 증수요인의 하나인 수수가 현저하게 많았다. 2. 광성보다 방사006가 내도복성이 강하였다. 3. 관행파나 드릴파에서 광성보다 방사006가 시비량 증가에 따른 적응성이 높았다. 4. 품종별로 비교하던 방사006가 광성보다 종실중이 5% 높았다. 5. 시비수준별로 종실중을 비교하면 표준비에 비하여 100% 증비에서는 19% 증수되었다. 6. 드릴파 표준비에서는 광성에 비하여 방사006의 수량이 감소되었으나 증비에서는 크게 증수를 보인 내비성 품종이었다. 7. 광성보다는 방사006가 드릴파종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사료된다.

  • PDF

광섬유 음향 센서용 맨드릴 설계 및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and Design of the Mandrel for Fiber Optic Acoustic Sensor)

  • 이종길;하태현;이준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31-34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변압기 열화 진단에 사용되는 Sagnac형 간섭계의 핵심 기술인 광섬유 음향 센서의 설계를 위하여 세 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맨드릴형을 제안하였고 이의 진동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보다 뛰어난 감도를 가진 센서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광섬유 음향 센서용 맨드릴을 외경 요철형, 중공 원통형, 내경 요철형등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이의 고유진동수와 고유 모드를 해석하였다. 2kHz 미만의 고유진동수는 제외하고 주로 2~20kHz 범위 내에 속한 고유진동수를 검출하여 고유모드를 나타내었다. 설계된 맨드릴의 기본 형상 치수는 외경 30 mm, 길이 50mm이다. 원통의 두께는 1 mm이며 요철의 크기는 $2mm{\times}2mm$이다. 유한요소해석 결과 외부 음압 주파수가 2~20 kHz 범위에서 11 kHz 인근의 주파수인 경우 외경 요철형과 중공 원통형의 맨드릴을 선택하면 높은 감도를 얻을 수 있다. 17 kHz 인근 주파수에서는 외경 요철형과 내경 요철형이 유리하며 20 kHz인근에서는 중공 원통형과 내경 요철형이 높은 감도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변압기 내에 삽입되어 각종 열화 진단용 모니터링 센서로 활용되는 광섬유 음향 센서의 맨드릴 설계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이용하여 MHz 단위의 초음파 감지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맥류 기계화 적응재배 양식과 적응품종의 생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eding systems and varieties adapted to mechanization in barley and wheat culture)

  • 조재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29
    • /
    • 1970
  • 맥류의 기계화적응재배로서 드릴파와 점파를 품종과 비료수준을 달리하여 실행의 보통재배 및 광파재배와 비교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맥의 최적품종은 안전 다수 조숙인 당여이고, Barsoy는 내동성이 약하였다. 2. 소맥의 최적품종은 영광으로서 안전 다수 대립이나 성숙이 늦다. 원광은 도복이 심하였다. 3. 배비는 보통비보다 다수이고 도복이 약간 조장된 이외에는 재배적위험성도 없었다. 4. 내동 내도복성품종을 취택하면 배비조건에서도 드릴파나 점파가 안전하다. 5. 보통재배에 대한 증수율은 대맥에서는 20cm간격의 드릴파 16%, 광파 13%, 20${\times}$12cm의 점파가 12%였고, 소맥에서는 광파 9%, 20 ${\times}$ 13 cm의 점파 8%, 20cm 간격의 드릴파 7%였다. 6. 이들의 증수원인으로서는 수수의 증대가 가장 뚜렷하다. 7. 파종량의 증대는 드릴파 증수의 주인으로 되지 않은 것 같다. 8. 점파나 드릴파는 성숙을 다소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9. 점파재배는 파종작업중의 필연적인 답압에 의하여 소맥에서 발아를 조장하는 효과가 있었다. 10. 드릴파나 점파에서는 좀더 밀식함으로서 더욱 증수할 여지가 있을 것 같다.

  • PDF

복합재 분리형 맨드릴을 이용한 라이너 없는 복합재 추진제 탱크에 대한 시험 평가 (Test Evaluation of a Linerless Composite Propellant Tank Using the Composite Collapsible Mandrel)

  • 이승윤;김광수;윤영하;이무근;김희철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132-139
    • /
    • 2023
  • 추진제 탱크의 경량화를 위해 비강도가 우수한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를 이용하여 라이너 없이 복합재 추진제 탱크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EOP 1.7 MPa의 내압을 지탱할 수 있는 직경 800 mm의 복합재 추진제 탱크 축소형 시제를 설계하였고, 보스 또한 동일한 복합소재로 제작하여 무게를 줄였다. 라이너 없이 탱크를 제작하기 위해 분리형 맨드릴을 이용하였고, 맨드릴의 무게도 줄이고 경화 과정에서 맨드릴의 팽창을 줄여 치수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복합재로 맨드릴을 제작하였다. 맨드릴 상에 탄소섬유 직물 소재를 핸드레이업 공정으로 적층한 후 오토클레이브 경화 과정을 거쳐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시제품 제작 후, 상온 보증압 시험과 헬륨 기밀 시험, 그리고 상온 반복 내압 시험과 파열 시험을 수행하여 내압 강도 및 기밀 성능 요건을 충분히 만족함을 확인하였고 파열압에 대한 안전여유가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발사체 연료탱크 개발에 적용함으로써 발사체 전체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고, 향후 극저온 성능까지 검증한다면 극저온 산화제탱크 제작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위 환경이 맨드릴형 광-음향센서의 감도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Sensitivity of a Mandrel Type Fiber Optic Acoustic Sensor)

  • 임종인;노용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12
    • /
    • 2000
  • 본 논문은 주위 환경인 수압 및 수온변화에 따른 맨드릴형 광-음향센서의 감도특성을 분석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음향감지부의 구조로는 실린더형, 중공 층상복합체형 및 air cavity가 삽입된 중공 층상복합체를 선정하고, 주위 수압과 수온변화에 따른 광-음향센서의 감도특성을 분석하였다. 맨드릴형 광-음향센서는 주위 정수압의 변화에 대해 0.15dB 미만의 음향감도 변화를 나타내고, 수압변화에 대해 안정적인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주위 수온변화에 대한 음향감도의 상대적인 안정성은 air cavity가 삽입된 중공 나일론 층상복합체를 이용한 맨드릴형 광-음향센서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천공 효율 향상을 위한 드릴비트 버튼배열 성능평가 방법 (Evaluation of a Drill Bit Button Arrangement for Enhanced Drilling Efficiency)

  • 강훈;조정우;정명식;조용재;이상곤;이재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6호
    • /
    • pp.575-581
    • /
    • 2015
  • 드릴비트는 암반에 직접적으로 타격력과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암반을 파쇄, 분쇄하는 천공기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동시에 회전축 방향으로 타격하며 암반을 파쇄하기 때문에 암반 파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드릴비트의 배열 최적설계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버튼배열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써 버튼배열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버튼의 중복타격 면적, 비 타격 면적, 천공편향 모멘트와 같은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버튼배열의 파쇄 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더불어 제안된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기존 드릴비트 버튼배열의 파쇄 효율성을 검토함으로써 제안한 배열성능 평가방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