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드론 스테이션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Implementation of an Autonomous drone charging station using streetlights (가로등을 활용한 자율 드론 충전 스테이션의 구현)

  • Myeong-Chul Park;Gyung-Hwan Kim;Ji-Hyeong Lee;Seung-Jae Hong;Chang-Hyeon Baek;Jin-Hyeun Seok;Min-kyeong kim;Dong-Bi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269-270
    • /
    • 2024
  • 최근 드론 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드론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려는 노력이 커지고 있다. 대규모 환경 모니터링, 재난 관리 등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장시간 연속 비행이 필요하지만 드론의 배터리 용량 문제로 인해 사람이 직접 배터리를 교체해 주지 않으면 장시간 비행이 어렵다. 본 논문은 드론이 배터리 충전을 위해 자율적으로 착륙해 충전 후 이륙하는 가로등을 활용한 자율 충전 스테이션'을 제안한다. 단순한 무선 충전이 아닌 드론이 자율 비행을 통해 스테이션에 착륙하고 스테이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착륙이 감지되면 스테이션의 송신부에서 전력을 공급해 드론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스테이션의 구조를 원뿔형으로 만들어 드론이 스테이션의 중앙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하였다. 자율 드론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배터리 용량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고, 업무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함으로서 드론 관제, 환경 모니터링 등 드론을 활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Battery Pack and Battery Replacement for long-range flight Drone (장거리 비행을 위한 드론 배터리 팩과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의 개발)

  • Park, JaeSeok;Lee, JaePhil;Lee, Jin-Gu;Jo, HanByeol;Kang, Woo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968-971
    • /
    • 2018
  • 본 논문에선 드론의 장거리 비행을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과 스테이션으로의 비행 유도와 균일화된 배터리 형태를 제공해줄 배터리 팩의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장거리 비행을 필요로 하는 드론은 제시된 배터리 팩을 사용하여 주변의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드론은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환받으므로 장거리 비행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 Study on the Ultra-wideband-based Positioning Algorithm for Drone Position Calculation (드론 위치 추정을 위한 초광대역 기반 측위 알고리즘 연구)

  • Shin, Dongho;Hong, Sungho;Kim, Sangho;Lee, Jaeyoul;Seo, Kapho;Seo, Jinho;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63-266
    • /
    • 2021
  • 근래의 드론 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규제 등 여러 가지 사회적 진입장벽으로 시장 진입에 애로사항이 도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 산업의 여러 제약 중 배터리의 제한적인 용량으로 장시간 비행이 어려운 문제를 개선하고자 승강식 드론스테이션을 개발하였다. 승강식 드론스테이션은 드론의 비행 중 배터리가 방전될 시 충전 및 정비를 할 수 있고, 드론 간의 통신 중계기 역할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이션에 드론이 접근 시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초광대역 통신을 이용한 거리 측정과 위치 인식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Development of wireless charging drone station prototype for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용 무선충전 드론스테이션 프로토타입 개발)

  • Han, Jae 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2.11a
    • /
    • pp.225-226
    • /
    • 2022
  • In order to secure the practicality of services using drones, improve on-site operability,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aircraft mainten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rone station that can be safely stored while ensuring charging performance. Therefore, a total seven points of improvement were derived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prototype, and an improved second prototype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preceding processes.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ils For Wireless Charging of Drones (드론 무선 충전을 위한 고효율 송, 수신 코일 개발에 관한 연구)

  • Lim, Jong-G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2
    • /
    • pp.213-218
    • /
    • 2022
  • In this paper, a technology for a high-efficienc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il that can wirelessly charge a drone is introduced. The drone station implements the ability to charge the battery wirelessly without the need to remove the battery to charge the drone's battery. In order to charge the drone's battery in the shortest tim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must be high. In order to increase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of the drone sta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efficiency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ils and a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are presented.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ils were manufactured considering the size and weight of the dron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ight of the drone. Efficiency of 88% or more was realized at a distance of 40mm or more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ils.

Efficient object tracking algorithm based on multi-drone collaboration (드론을 활용한 협업기반의 효율적인 대상물 추적 알고리즘)

  • Yun, Hyun Kyoung;Choi, Kwang Hoon;Kim, Ja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42-45
    • /
    • 2016
  • 본 논문은 기동성은 있지만 한정된 비행시간과 비행거리를 가진 드론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 보안 감시 시스템을 제안한다. 드론이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그리드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며 분할된 영역에서 다중 드론간 대상물의 효율적인 추적 및 감시 모니터링을 위해 연계 추적 방식을 이용한다. 먼저, 한정된 비행거리를 위해 각 드론스테이션 간의 최적 거리를 제안한다. 제안한 최적 거리를 통해 생성된 중첩 감시영역에서 효율적 연계 추적을 위해 드론의 전력상태와 대상물의 이동방향을 고려한 최적의 드론 선정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그 응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rone LiDAR Data for River Surveying (하천측량을 위한 드론라이다 데이터의 활용성 평가)

  • Park, Joon-Kyu;Um, Dae-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5
    • /
    • pp.592-597
    • /
    • 2020
  • Currently, river survey data is mainly performed by acquiring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data of rivers using total stations or the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here is not much research that addresses the use of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systems for surveying rivers. This study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using LiDAR data for surveying river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cently launched a drone-based river fluctuation survey. Pilot survey projects were conducted in major rivers nationwide. Studies related to river surveying were performed using the ground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system.Accuracy was ensured by extracting the linearity of the object and comparing it with the total station survey performance. Data on trees and other features were extracted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for the point-cloud data on the ground.Deviations were 0.008~0.048m.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surveying GNSS and the use of drone LiDAR data. Drone LiDAR provided accurate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on the entire target area. It was able to reduce the shaded area caused by the lack of surveying results of the target area. Analyses such as those of area and slope of the target sites are possible. Uses of drones may therefore be anticipated for terrain analyses in the future.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River Using 3D Geospatial Information (3차원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한 하천수리특성 분석)

  • Kim, Si-Chul;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33
    • /
    • 2021
  •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기후 변화로 인해 수자원 관리측면에서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국가적 주요 관심사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투입인력과 소요시간 절감, 장비와 인력진입 불가지역에 대한 정보획득, 높은 공간해상도, 항공측량 대비 높은 경제성 등 다양한 장점의 드론을 이용한 하천지형 특성별 수리특성 분석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성연천 하류부지역을 대상으로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측량 지형성과와 드론측량(Drone) 지형성과를 지상에 설치된 CHP(Check Point) 좌표 값을 확인하여 두 지형의 정확도를 비교하였으며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빈도별 수리특성을 비교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성연천 하류 480m구간을 선정하고 GNSS를 이용한 실측지형자료와 GCP(Ground Control Point)를 얻기 위해 정확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과 DRONE RGB측량의 CHP(Check Point) 오차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오차 값이 확인된 위성항법시스템(GNSS)을 이용하여 가상기준점을 선정하고 RTK 모바일스테이션을 설치하여 DRONE LIDAR측량을 통해 지형자료를 취득하였으며 얻어진 지형자료를 HEC-RAS를 통해 입력 후 성연천 하천기본계획에 제시되어진 조도계수와 빈도별 홍수위를 적용하여 연구구간 480m에 대해 100년 빈도의 결과 값을 비교 검토하였다. 100년 빈도 계획 홍수량 조건의 하상과 한계수위의 차에서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 지형자료를 기준으로 평균수위 측정오차는 드론 RGB 측량 지형자료 0.460m, 드론 LIDAR 측량 지형자료 0.260m의 결과를 얻었으며 동일 조건 흐름하의 평균유속에서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 지형자료를 기준으로 평균유속 측정오차는 드론 RGB 측량 지형자료 0.40m/s, 드론 LIDAR 측량 지형자료 0.36m/s의 결과를 얻었다. 통수 단면적의 비교 결과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 지형자료를 기준으로 드론 RGB 측량 지형자료 전체 단면의 평균오차는 20.20m2, 드론 LIDAR 측량 지형자료 전체 단면의 평균오차는 21.682의 결과를 얻었으며 이상에서와 같이 홍수위와 평균유속, 통수 단면적의 측정오차 비교 결과를 종합할 때 통수 단면적 측정결과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과 드론 RGB 측량의 차이가 적었으나 계획 홍수량 조건의 하상과 한계수위 차이와 동일조건 흐름하의 평균유속에서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과 드론 LIDAR 측량의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수용량(capacity)(m3) 비교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을 기준으로 드론 RGB 측량은 약 7644m3, 드론 LIDAR 측량은 약 7547m3의 차이를 보여 드론 LIDAR를 이용한 결과가 가장 정확한 측정방법으로 추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rone Deployment Using Coverage-and-Energy-Oriented Technique in Drone-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드론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커버리지와 에너지를 고려한 드론 배치)

  • Kim, Tae-Rim;Song, Jong-Gyu;Im, Hyun-Jae;Kim, Bum-S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8
    • /
    • pp.15-22
    • /
    • 2019
  • Awireless sensor network utilizes small sensors with a low cost and low power being deployed over a wide area. They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gather the associated information to transmit it to a base station via multi-hop transmission. Most of the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static sensors that are located in a fixed position. Unlike a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on static sensors, we can exploit drone-based technologies for more efficient wireless networks in terms of coverage and energy.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transmission power model and a video encoding power model to design the network environment. We also explain a priority mapping scheme, and deploy drones oriented for network coverage and energy consumption. Through our simulations, this research shows coverage and energy improvements in adrone-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fewer sensors, compared to astatic sensor-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Concretely, coverage increases by 30% for thedrone-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the same number of sensors. Moreover, we save an average of 25% with respect to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of the network while maintaining the coverage required.

Evaluation of Accuracy and Utilization of the Drone Photogrammetry for Open-pit Mine Monitoring (노천광산 모니터링을 위한 드론 사진측량의 정확도 및 활용성 평가)

  • Park, Joon-Kyu;Um, Dae-Y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2
    • /
    • pp.191-196
    • /
    • 2019
  • The development of open-pit mines leads to large-area topographical changes in highland forests and can lead to severe deterioration of forests, requiring continuous monitoring. The drone photogrammetry is performed at a lower altitude than the existing manned aerial photogrammetry, and thus has a relatively high accu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spatial information of large open pit mine using drone photogrammetry and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utilization of the results. The accuracy of the drone photogrammetric results was 0.018 ~ 0.063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0.027m ~ 0.088m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se results satisfy the permissible accuracy of 1: 1,000 digital topographic map and it can be used for open mine monitor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of the open pit mine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nd it can be used to monitor the quantitative change of a specific area for time series change through data management by periodic data acquisition. If drone photogrammetry is applied to open-pit mine monitoring in the future, work time and cost can b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NSS or total station method, and the work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because more visible data can be gen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