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두 우선순위

Search Result 30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riority- and Budget-Based Protocol Processing Using The Bottom-Half Mechanism for End-to-End QoS Support (종단간 QoS 지원을 위해 Bottom-half 메커니즘을 이용한 우선순위 및 예산 기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

  • Kim, Ji-Min;Ryu, Min-Soo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6A no.3
    • /
    • pp.189-198
    • /
    • 2009
  • The traditional interrupt-based protocol processing at end hosts has two priority-inversion problems. First, low-priority packets may interrupt and delay high-priority process executionssince interrupts have the highest priority in most operating systems. Second, low-priority packet may delay high priority packets when they arrive almost simultaneously since interrupt processing is performed in a FCFS (first come, first served) order.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by a priority-based protocol processing policy and implementation. However, general priority-based schemes commonly have the problem of starvation and cannot support the each network flow requiring the mutually exclusive QoS since the packets are processed in the FCFS order. Therefore, the priority-based schemes are not appropriate for different QoS-demanding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bottom-half-based approach that relies on priority- and budget-based processing. The proposed approach allows us to solve both the starvation and priority-inversion problems, and further enables effective QoS isolation between different network connections. This feature also enables bounding the protocol processing time at an end host. We finally show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proposed approach achieves QoS isolation and control.

Analysis of prioritizing area for runoff reduction using permeable pavement and green roof (청계천 유역의 유출 저감을 위한 투수성 포장재와 옥상녹화의 우선순위 지역 분석)

  • Kim, Il Hwan;Yang, Jeong Seok;Nam, Jae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9-449
    • /
    • 2015
  • 최근 비정상성을 띄는 강우 사상으로 인해 도심지에서는 유출량이 증가하여 많은 피해를 보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수성 포장재, 옥상 녹화, 침투 트렌치, 빗물 정원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유역에 속해 있는 전체 도심지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자원이 소비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청계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모형인 SWMM을 이용하여 소유역 별로 투수성 포장재와 옥상 녹화 사업을 적용하여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적용된 강우는 강우강도에 따라 각 시설들이 갖는 한계점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108) 지점을 기준으로 재현기간 80년, 지속기간 24시간에 대해 초과확률 50%에 해당하는 Huff 3분위를 채택하였고, 투수성 포장재와 옥상녹화는 서로 적용 위치가 달라 두 가지 사업의 조합을 통해 각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업 우선순위를 위해 소유역별 사회, 환경적인 자료를 취합하여 우선순위화 하였다. 이를 통해 한정된 자원 내에서 최적의 개발 지역을 선정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도모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Worst Case DMA Response Time in Fixed-Priority Bus Arbitration Protocol (고정우선순위 버스 프로토콜 환경에서 DMA I/O 요구의 최악 응답시간 분석)

  • Hahn, Joo-Sun;Ha, Rhan;Min, Sang-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1-23
    • /
    • 1999
  • CPU에게 최상위 우선순위가 할당된 고정 우선순위 버스 프로토콜에서는 CPU와 DMA 컨트롤러의 버스 요구가 충돌할 경우 DMA 전송이 지연된다. 본 논문에서는 CPU와 다수의 DMA 컨트롤러가 시스템 버스를 공유하는 환경에서 DAM I/O 요구의 최악 응답시간을 분석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최악 응답시간 분석 기법은 다음의 세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CPU 상에서 수행중인 각 CPU 태스크별로 최악 버스 요구 패턴을 구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이들 CPU 태스크의 최악 버스 요구 패턴을 모두 통합해 CPU 전체의 최악 버스 요구 패턴을 구한다. 최종 세 번째 단계에서는 CPU의 최악 버스 요구 패턴으로부터 DMA 컨트롤러의 버스 가용량을 구하고 DMA I/O 요구의 최악 응답시간을 산출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분석 기법일 일반적인 DMA전송량에 대해 20% 오차 범위 이내에서 안전한 응답시간을 산출함을 보였다.

  • PDF

Priority-based Reservation Code Multiple Access (P-RCMA) Protocol (우선순위 기반의 예약 코드 다중 접속 (P-RCMA) 프로토콜)

  • 정의훈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9 no.2A
    • /
    • pp.187-194
    • /
    • 2004
  • We propose priority-based reservation code multiple access (P-RCMA) which can enhance voice traffic quality of the previous RCMA. The proposed protocol maintains two power levels and consider traffic characteristics in contending shared available codes to transmit packets. P-RCMA gives priority to the voice request packets rather than data packets by capture effect at the receiver part of base station. We show numerical results from EPA (equilibrium point analysis) analysis and simulation study in terms of voice packet dropping probability and average data packet transmission delay.

Image Completion Using Hierarchical Priority Belief Propagation (Hierarchical Priority Belief Propagation 을 이용한 이미지 완성)

  • Kim, Moo-Sung;Kang, Hang-B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256-261
    • /
    • 2007
  • 본 논문은 이미지 완성(Image Completion)을 위한 근사적 에너지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미지 완성이란 이미지의 특정영역이 지워진 상태에서, 그 지워진 부분을 나머지 부분과 시각적으로 어울리도록 완성시키는 기법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 이미지 완성은 유사-확률적(pseudo-probabilistic) 시스템인 Markov Random Field로 모델링된다. MRF로 모델링된 이미지 완성 시스템에서 사후 확률(posterior probability)을 최대로 만드는 MAP(Maximum A Posterior) 문제는 결국 시스템의 전체 에너지를 낮추는 에너지 최적화 문제와 동일하다. 본 논문에서는 MRF의 최적화 알고리즘들 중에서 Belief Propag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BP 알고리즘이 이미지 완성 분야에 적용될 때 다음 두 가지가 계산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첫 번째는 완성시킬 영역이 넓어 MRF를 구성하는 정점의 수가 증가할 때이다. 두 번째는 비교할 후보 이미지 조각의 수가 증가할 때이다. 기존에 제안된 Priority-Belief Propagation 알고리즘은 우선순위가 높은 정점부터 메시지를 전파하고 불필요한 후보 이미지 조각의 수를 제거함으로써 이를 해결하였다. 하지만 우선순위를 정점에 할당하기 위한 최초 메시지 전파의 경우 Belief Propagation의 단점은 그대로 남아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완성을 위한 MRF 모델을 피라미드 구조와 같이 층위로 나누어 정점의 수를 줄이고, 계층적으로 메시지를 전파하여 시스템의 적합성(fitness)을 정교화 해나가는 Hierarchical Priority Belief Propagatio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Efficient Accesses of R-Trees for Distance Join Query Processing in Multi-Dimensional Space (다차원 공간에서 거리조인 질의처리를 위한 R-트리의 효율적 접근)

  • Sin, Hyo-Seop;Mun, Bong-Gi;Lee, Seok-Ho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9 no.1
    • /
    • pp.72-78
    • /
    • 2002
  • The distance join is a spatial join which finds data pairs in the order of distance between two spatial data sets using R-trees. The distance join stores node pairs in a priority queue, which are retrieved while traversing R-trees in a top-town manner, in the order of distance. This paper first shows that a priority strategy for the tied pairs in the priority queue during distance join processing has much effect on its performance, and then proposes an optimized secondary priority method.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lways better than the other methods in the performance perspectives.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Priority Mechanisms in ATM Multiplexer (ATM 멀티플렉서에서의 우선순위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 윤성호;박광채;이재호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8 no.6
    • /
    • pp.779-792
    • /
    • 1993
  • In a switching node or an ATM multiplexer of the ATM network, a good bandwidth utiliza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iority control using the 1-bit(Cell Loss priority) in ATM cell header. In this paper, the mixed mechanism is proposed to make up for shortcomings of existing space priority control mechanisms and to decrease the loss probability of high priority cell and its performance is analyzed about the cell loss probability.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ixed mechanism, its cell loss probability is compared with those of non-priority mechanism, push-out mechanism and partial buffer sharing mechanism. The cell loss probability is analyzed using a M/D/1/N modeling and a 2-state MMPP/D/1/N modeling and also comparison between two modelings is made. To verify this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the computer simulation is performed for each mechanism using the simulation language, SIMSRIPT II.5.

  • PDF

A Study on Priority Evaluation of the Rope-type Platform Safety Door(RPSD) Installation by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다기준 분석에 의한 로프형 승강장 안전도어의 설치 우선순위 산정에 관한 연구)

  • Jung, Byung D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3
    • /
    • pp.639-645
    • /
    • 2015
  • Recently, a study on the commercialization of Rope type Platform Safe Door (RPSD) technology has commenced. The study focuses on RPSD, in which a rope screen ascends to allow safe passage from the platform to the transit vehicle in aboveground stations. Currently, a pilot installation has taken in place with Daegu Metro Line 2 in MoonYang station starting from March of 2013. However, there is a need to select an appropriate pilot installation's object for the improvement in the future RPSD. An appropriate designation would correspond with the needs of the railroad corporation and as a historic railway platform with safe facilities. This study tried to usa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KTX stations to attain a list of appropriate designations for future RPSD installations by analyzing the followings: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operational risks, and intent of business projects. As a case study, it wa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the KTX stations. For the application, it used relative measurement to calculate the weight of upper level structuring, and absolute measurement for low level structuring instead of pairwise comparisons.

A Task Prioritizing Algorithm Optimized for Task Duplication Based Processor Allocation Method (태스크 복제 기반 프로세서 할당 방법에 최적화된 태스크 우선순위 결정 알고리즘)

  • Song, In-Seong;Yoon, Wan-Oh;Lee, Chang-Ho;Choi, Sang-Ba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2 no.6
    • /
    • pp.1-17
    • /
    • 2011
  • The performance of DHCS depends on the algorithm which schedules input DAG. However, as the task scheduling problem in DHCS is an NP-complete problem, heuristic approach has to be made. Task scheduling algorithm consists of task prioritizing phase and processor allocation phase, and most of studies are considering both phases together. In this paper, we focus on task prioritizing phase and propose a WPD algorithm which is optimized for task duplication based processor allocation method. For an evaluation of the proposed WPD algorithm, we combined WPD algorithm with processor allocation phase of HMPID, HCPFD, HCT algorithms, which are using task duplication based processor allocatio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WPD algorithm makes a better use of task duplication than conventional task prioritizing methods and provides 9.58% better performance than HCPFD algorithm, 1.31% than HCT algorithm.

Determination indexes for the priority of improveme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관망의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 결정인자)

  • Kwon, Hyuk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23-52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두 지역의 실제 상수관망에 대해서 부정류해석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상수관망에 필요한 부정류피해 최소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도시 상수관망인 광탄 GT1-1 소블럭 상수관망을 대상으로 부정류해석을 수행하였고 신뢰성해석을 통하여 구역별 파괴 확률을 산정하였다. 또한 상수관망의 운영인자로써 물 사용량지수와 급수전지수, 사용연수지수, 수압지수, 사고이력지수를 개발하여 광탄 GT1-1 소블럭 상수관망의 운영지수에 의한 구역별 위험도를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안전에 취약한 구역을 선정할 수 있었다. 광탄 GT1-1 소블럭 상수관망을 7개 구역으로 나누어서 신뢰성해석과 운영지수에 따른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고 상대적으로 수격압으로 인한 관로파괴에 취약한 구역을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광탄 GT1-1 소블럭 상수관망에서는 구역별 파괴확률과 운영지수에 따른 위험도 순위가 같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수 관망의 신뢰성해석모형과 운영지수를 운영관리에 적용한다면 향후 개량이나 교체가 필요한 상수 관로의 우선순위 선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