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 자세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7초

두부방사선규격사진 촬영 시 유도방법에 따른 자연두부자세의 차이 및 재현성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guiding methods for natural head posture in cephalometrics)

  • 송진명;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41-350
    • /
    • 2005
  • 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는 매 촬영 시마다 두부의 수직적 회전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두부자세의 재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도방법에 따른 자연두부자세의 수직적 두부회전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각 두부자세의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0대 성인 남녀 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head posture aligner를 이용한 방법(HPA법)과 self balance posture를 이용한 방법(SBP법)으로 자연두부자세를 유도하여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각각 한 달 간격으로 촬영한 후,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상에서 유도 방법에 따른 수직적 두부회전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는 한편,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 방법으로 유도하여 촬영한 두 사진 상의 동일 계측항목 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각 두부자세의 유도방법에 대한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SBP법으로 유도한 자연두부자세는 HPA법에 의해 유도된 자연두부자세보다 평균 $2.79^{\circ}$ 고개를 숙인 자세로 나타났다. 또한 HPA법 또는 SBP법을 이용하여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2회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상의 계측치는 모든 계측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HPA법과 SBP법으로 유도한 자연두부자세가 모두 재현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두부방사선규격사진 촬영 시 재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HPA법과 더불어 SBP법도 임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두부 자세,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구강안면통증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Orofacial Pain and Natural Head Position or Life Stress.)

  • 이유미;임현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2호
    • /
    • pp.147-154
    • /
    • 2006
  • 본 연구는 일정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며 작업하는 직업군을 대상으로 자연스런 두부자세(natural head position:NHP)와 두경부 통증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두경부 통증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27명의 대상자에게 임상 검사 및 설문지 작성과 면담을 통하여 생활변화로 인한 스트레스정도, 스트레스시 나타나는 안면에 증상 정도, 두경부 통증 경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부자세 평가를 위하여 후방에 5cm 간격의 눈금을 지닌 자세판을 바닥과 평행하게 설치한 후 사진 촬영을 하였다. 보다 정확한 두부자세 재현을 위하여 수일의 간격을 두고 재차 촬영하였다. 두경부 통증 빈도, 두경부 통증에 따른 두부 자세, 두경부 통증여부에 따른 생활변화,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 발현 정도, 통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연스런 두부 자세에서 평균적으로 $-0.70{\pm}2.74$로 약간 좌측으로 기울이고 있으며, acromion은 $-0.26{\pm}2.10$으로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수직선과 흉쇄유돌근이 이루는 각도, 수평선과 eye-tragus 을 이은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 pulm line에서 acrominon에 이르는 거리와 tragus에 이르는 거리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2. 구강안면 동통을 가진 군과 구강안면동통이 없다고 대답한 군에서 평균적인 NHP 측정치와 NHP양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3. 두경부 통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12개월 이내의 생활 변화량과 변화횟수에서 통증이 없는 군이 생활 변화량과 그 횟수가 더 많았다. 4. 스트레스 증상 발현정도는 두경부 통증이 있는 군이 두경부 통증이 없는 군에 비하여 더 많은 빈도를 보였다. 5. 취미생활이나 운동을 행하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사이에 두경부 통증에 대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며 작업하는 직업군에서의 구강안면통증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두부자세의 평가가 이루어져야하며, 두경부 통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각적 요인을 분석하여 두경부 통증 처치에 전문적인 처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Outer Canthus Indicator를 이용한 두부 자세 기록법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and reliability of head posture obtained by the outer canthus indicator)

  • 김영재;손병화;이기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7-86
    • /
    • 2010
  • 두부방사선 사진 채득 시 발생가능한 두부의 수직회전은 계측점 선정 및 계측치의 재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진단자료의 객관화 및 중첩의 용이성을 위해 두부 회전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조직 계측점인 외안각(outer canthus)을 지표로 두부 자세를 기록하고 재현하는 방법의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상 안모의 성인 남녀 21명에서 두부고정기에 부착한 Outer Canthus Indicator (OCI)를 이용하여 벽면응시를 통한 두부자세에서의 외안각의 위치를 계측하였다. 초진 시 두부자세에서 측모 광학 사진을 촬영하고 이틀 후 같은 계측치로 두부자세를 재현하여 얻은 두 장의 사진을 중첩하여 두부의 수직 회전과 외이도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두 명의 술자가 동일 과정을 반복했을 때 두부의 수직 회전은 각각 평균 $0.69\;{\pm}\;0.43^{\circ}$, $0.98\;{\pm}\;0.65^{\circ}$, 표준오차 0.09, 0.14로 나타났다. 외이도의 수평변위는 각각 평균 $0.90\;{\pm}\;0.72\;mm$, $0.72\;{\pm}\;0.55\;mm$, 표준오차 0.16, 0.12이고 외이도의 수직변위는 평균 $0.81\;{\pm}\;0.68\;mm$, $1.17\;{\pm}\;0.67\;mm$, 표준오차 0.15, 0.15이었다. 술자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paired t-test에서 변수들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Pearson 상관분석에서 외이도의 수평 변위와 수직 변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OCI가 두부의 수직 회전에 의한 오차를 줄임으로써 규격화되고 상호 중첩 가능한 방사선 사진 및 광학 사진 자료를 채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슬링 운동 프로그램이 머리전방자세의 근 활성도와 목뼈 배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ing Exercise Program on Muscle Activity and Cervical Spine Curvature of Forward Head Posture)

  • 김은주;김지원;박병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13-220
    • /
    • 2011
  • 두부 전방 자세(FHP)는 머리와 목의 비정상적 자세로부터 기인한다. 이 자세에서는 깊은목굴곡근과 날개뼈 당김근이 약화되고 목 신전근과 가슴근은 짧아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슬링운동이 두부전방자세의 근 활성도와 경추배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실험은 25명의 학생에게 적용되었고 슬링 운동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근 수행력과 목뼈 배열을 위해 주 2회 4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두부전방자세의 측정 요소로는 CVA, CRA, 근활성도, 경추 배열이 있다. 경추 배열에는 두개수직각도, 두 개경추각도, 경추수평각도, 상위경추각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SPSS 10.0을 이용해 통계를 분석하였다. 4주간 운동 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CVA의 양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에서 근활성도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경추 배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우리는 슬링 운동과 근활성도, CVA, CRA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부정교합의 유형과 성별에 따른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producibility of the natural head position according to the skeletal malocclusion types and sex)

  • 김하란;이동렬;김광원;윤영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7-315
    • /
    • 2000
  •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계획의 수립시 이용되는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격성 부정교합의 형태와 성별에 따른 두부위치의 재현성을 파악하고자 성인남녀 90명을 대상으로 자세변수 6항목을 설정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있어서 남,녀 각각의 자세변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P>0.05). 2.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있어서 각 부정교합군과 전체 표본 각각의 자세변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method error를 이용한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은 모든군에서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은 골격성 부정교합의 양상과 성별에 관계없이 우수하였는데, 이는 자연두부위치를 이용한 많은 연구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교정적 문제와 관련된 기능과 형태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할 때 그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SAR 저감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안테나 연구 (Study of Mobile Phone Antenna for SAR Reduction)

  • 정민석;이범선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1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1 No.1
    • /
    • pp.123-12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균질, 비균질 두부 모델에 대한 SAR 평가 방법들을 비교 분석한 후, 균질 두부모델에 대한 SAR 데이터가 비균질 두부 모델의 그것과 유사함을 확인한다. 이러한 결과는 근거로 두부 모델을 가정하여, 설계된 λ/8 Back-mounted PIFA 사용시의 SAR 데이터와 기존의 안테나 사용시의 SAR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비교 분석 결과 기존의 폴더형 안테나가 구조 특성상 전형적인 통화자세에서 방사부가 두부에서 멀어 1g-SAR와 10g-SAR가 λ/8 Back-mounted PIFA 보다 약 50% 작으나 전체 두부 흡수율은 오히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교합장치물이 두경부 자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 Interocclusal Appliance on Head and Neck Posture)

  • Eun-Ha Kim;Keum-Back Shin;Ik-Jun L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9권2호
    • /
    • pp.81-97
    • /
    • 1994
  • 두개하악장애는 환자의 신체적 소인, 관련조직의 구조적 변화, 정신적 스트레스 등의 복합적 요인에 의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으로 최근 대두되는 원인중의 하나가 신체, 특히 두경부의 자세이상이다. 비정상적인 두경부자세는 하악의 위치변화를 수반하여 종종 두개하악장애를 야기시키게 되나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는 두경부 자세가 교합장치물에 의해 변화되는지를 저작근의 근전도학적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21세에서 26세의 치과대학생으로 치아상실 및 교합간섭이 없고 두 개하악장애의 증후 및 경부운동제한을 가지지 않은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각도계를 사용하여 시상면상에서 인위적으로 유도한 세 가지의 두경부자세변화 (0$^{\circ}$, 30$^{\circ}$ 굴절, 45$^{\circ}$ 신전)에 따른 교합안정장치의 장착(1시 간) 전후 및 안정위와 근접촉위(초기치아접촉위)에서의 두경부 근육(측두근, 교근, 악이복근)의 근전도를 Bioelectric Microprocessor EM2ⓡ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안정장치 장착전 하악 안정위 및 근접촉위에서 두부의 30$^{\circ}$굴절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45$^{\circ}$신전은 교근 및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다.(p<0.05) 2. 교합안정장치 장착후 하악 안정위에서 두부의 30$^{\circ}$굴절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45$^{\circ}$신전은 교근 및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으며, 하악 근접촉위에서 두부의 45$^{\circ}$신전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다(p<0.05). 3. 교합안정장치 장착 전후 및 두부의 30$^{\circ}$굴절, 45$^{\circ}$신전에 따른 측두군 및 교근의 하악 근접촉위에서의 근활성도가 안정위에서의 근활성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5).

  • PDF

슬링 뉴렉 기법을 적용한 복합운동이 전방머리자세 가진 20~30대 성인의 통증 및 목뼈정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Applying Sling Neurac Method on Pain and Cervical Alignment in 20s and 30s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이진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173-175
    • /
    • 2023
  • 최근 좌식생활과 컴퓨터사용의 증가로 전방머리자세 가진 젊은 성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슬링 뉴렉기법을 적용한 복합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운동군에서 통증, 목뼈 앞굽은각, 중력중심선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는 슬링뉴렉을 적용한 복합운동이 억제된 근육에 신경근 활성화와 근육의 재교육을 통해 통증 및 목뼈정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되며 전방두부자세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중재 방법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장시간 컴퓨터 사용자의 경부압력통증역치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Change of the Neck Pressure Pain Threshold in Long Term Computer Users)

  • 황보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51-158
    • /
    • 2008
  • 비정상적인 자세로 인하여 근골격 관련 문제들이 호발하고 있다. 잘못된 자세습관, 특히 장기간 컴퓨터 사용으로 인하여 두부와 경부근육에 불균형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하고 있다. 컴퓨터의 사용은 짧게는 수분에서 길게는 몇시간 이상 사용하는 다양한 시간적 요소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이 경부 근육의 압력 통증 역치의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정상적인 신체를 지닌 남.녀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승모근과 흉쇄유돌근, 후두하근, 측두근을 선정하여, 3시간 6시간 9시간 12시간 15시간에 따른 근육들의 압력 통증 역치를 측정하고 비교 평가한 결과, 성별 및 시간, 좌측과 우측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의 경우 장기간 컴퓨터 사용자에 있어서 경부와 두부의 근육들 사이 압력통증역치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