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Orofacial Pain and Natural Head Position or Life Stress.

두부 자세,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구강안면통증

  • Lee, You-Me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School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Lim, Hyun-Da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School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이유미 (원광대학교 치과 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 임현대 (원광대학교 치과 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is paper studies natural head position and orofacial pain. For this study. 27 persons with dental service were selected, we examine head & neck pain, factor affecting pain severity, stress, stressful facial symptom with questionarre and interview. We have photograph for natural head position in front of 5cm posture scale pate. Data obtained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 Window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plum line to acromion line, from plum line to tragus line, eye- tragus angle, SCM angle. 2. Between group with head and neck pain and group without head and neck pain, the study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average NHP measurement and NHP amount. 3. Between group with head and neck pain and group without head and neck pain, the study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RRS. 4. In this paper we indicate more stressful symptom in group with head and neck pain than group without head and neck pain. 5. There have no difference in head and neck pain level according to hobby.

본 연구는 일정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며 작업하는 직업군을 대상으로 자연스런 두부자세(natural head position:NHP)와 두경부 통증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두경부 통증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27명의 대상자에게 임상 검사 및 설문지 작성과 면담을 통하여 생활변화로 인한 스트레스정도, 스트레스시 나타나는 안면에 증상 정도, 두경부 통증 경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부자세 평가를 위하여 후방에 5cm 간격의 눈금을 지닌 자세판을 바닥과 평행하게 설치한 후 사진 촬영을 하였다. 보다 정확한 두부자세 재현을 위하여 수일의 간격을 두고 재차 촬영하였다. 두경부 통증 빈도, 두경부 통증에 따른 두부 자세, 두경부 통증여부에 따른 생활변화,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 발현 정도, 통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연스런 두부 자세에서 평균적으로 $-0.70{\pm}2.74$로 약간 좌측으로 기울이고 있으며, acromion은 $-0.26{\pm}2.10$으로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수직선과 흉쇄유돌근이 이루는 각도, 수평선과 eye-tragus 을 이은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 pulm line에서 acrominon에 이르는 거리와 tragus에 이르는 거리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2. 구강안면 동통을 가진 군과 구강안면동통이 없다고 대답한 군에서 평균적인 NHP 측정치와 NHP양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3. 두경부 통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12개월 이내의 생활 변화량과 변화횟수에서 통증이 없는 군이 생활 변화량과 그 횟수가 더 많았다. 4. 스트레스 증상 발현정도는 두경부 통증이 있는 군이 두경부 통증이 없는 군에 비하여 더 많은 빈도를 보였다. 5. 취미생활이나 운동을 행하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사이에 두경부 통증에 대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며 작업하는 직업군에서의 구강안면통증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두부자세의 평가가 이루어져야하며, 두경부 통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각적 요인을 분석하여 두경부 통증 처치에 전문적인 처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Rocabado M. Biomechanical relationship of the cranial, cervical and hyoid regions. J Craniomandib Pract 1983;1:61-66 https://doi.org/10.1080/07345410.1983.11677834
  2. Darnell MW. A proposed chronology of events for forward head posture. J Craniomandib Pract 1983;1:50-54
  3. Ayub E, Glasheen-Wray M, Kraus S. Head posture: a case study of the effects on the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J Orthop Sporte Phys Ther 1984; 5:179-183 https://doi.org/10.2519/jospt.1984.5.4.179
  4. Huggare J, Raustia A. Head posture and cervicovertebral and craniofacial morphology in patients with craniomandibular dysfunction. J Craniomand Pract 1992;10:73
  5. Nicolakis P, Nicolakis M, Piehslinger E et al. Relationship Between Craniomandibular Disorders and Poor Posture. J Craniomandib Pract 2000;18(2): 106-112
  6. 한경수 역. 머리, 목, 어깨의 통증과 치료. 서울, 1998, 지성출판사, pp.47-81
  7. Zuniga C, Miralles R, Mena B et al. Influence of variation in jaw posture on sternocleidomastoid and trapezius electromyographic activity. J Craniomandib Pract 1995;13:157-162
  8. Milani RS, De Peri'ere DD, Lapeyre L, Pourreyron L. Relationship between dental occlusion and posture. J Craniomandib Pract 2000;18:127-134
  9. Moorrees CFA, Kean MR. Natural head position, a basic consider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cephalometric radiographs. Am J Phys Anthropol 1958; 16:213-234 https://doi.org/10.1002/ajpa.1330160206
  10. Cooke MS. Five-year reproducibility of natural head posture: A longitudinal study.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0;97:489-494 https://doi.org/10.1016/S0889-5406(05)80029-0
  11. Cooke MS, Wei SHY. The reproducibility of natural head posture. A methodological study.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88;93:280-288 https://doi.org/10.1016/0889-5406(88)90157-6
  12. Peng L, Cooke MS. Fifteen-year reproducibility of natural head posture. A longitudinal study.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9;116:82-85 https://doi.org/10.1016/S0889-5406(99)70306-9
  13. Fricton JR, Schiffman EL. Epidemiolog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Fricton JR, Dubner R(Ed). Orofacial pai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New York, 1995, Raven Press
  14. Mannheimer JS, Rosental RM. Acute and chronic postural abnormalities as related to craniofacial pai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ent Clin North Am 1991;35(1):185-201
  15. 최경숙, 심금백, 임익준. 두개하악장애의 증후발현과 두경부자세 사이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3;18(2):131-147
  16. 김병욱, 한경수. 두부자세에 따른 근활성과 측모두부방사선계측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9;24(2):189-206
  17. Hanten WP, Olson SL, Russell JL, Lucio RM, Campbell AH Total head excursion and resting head posture: normal and patient comparison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62-66 https://doi.org/10.1016/S0003-9993(00)90223-5
  18. 기우천, 홍석진, 최원호, 김병국. 두부의 자세 변화가 초기 교합접촉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5;20(1):195-204
  19. 김현, 황현식. 안면비대칭 환자의 natural head position에 대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연구. 대치교정지 2000;30(5):535-542
  20. MAkofsky HW. The influence of forward head posture on dental occlusion. J Craniomandib Pract 2000;18(1):30-39
  21. 김은희, 황현식.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 촬영시 Head Posture Aligne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2000;30(5):543-552
  22. American Academy of Orofacial Pain. McNeill(E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Guideline for Class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Chicago, 1993, Quintessence, pp.27-38
  23. 홍정표, 전양현 역. 구강안면통증의 이해. 서울, 2002, 상아출판사, pp.125-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