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자세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4초

Globus 증후군 : 임상적 고찰 및 비데오-식도 조형술 (GLOBUS HYSTERICUS : CLINICAL ASPECT AND VIDEO-ESOPHAGOGRAM)

  • 장태영;이승철;장훈상;박인용;김기령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2.1-22
    • /
    • 1987
  • 인후부, 하인두부 및 경부 등에 종양감각(lump sensation)등의 이상감각을 호소하는 globus 증후군은 Hippocrates가 처음 기술한 이래 많은 저자들에 의해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들이 기술되어 왔지만 아직 뚜렷한 병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기질적 원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에 저자들은 1986년 7월부터 1987년 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 교실을 방문한 85명의 globus 증후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증상은 무언가 걸린듯한 느낌이 가장 많았고(40.8%), 기타 점액객출 및 종양감각이 있었으며, 증상부위는 하인두부(26.8%) 및 윤상연골부(28.0%)가 많았고. 증상 유발인자로는 피로 및 신경과민증이 동반된 기질적 병변으로는 비후성 설편도염 및 인두염이 가장 많았다. 2) 비데오-식도조영술 검사상 27명(31.8%)에서 윤상인두근 이상수축이 있었으며 기타 식도복(3명), 식도점막이상(1명)등이 있었고 윤상인두근 이상수축이 있었던 환자군과 없었던 환자군 사이에 주증상, 증상부위, 동반증상, 기질적 병변 및 치료경과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50% 이상의 수축을 보인 3명의 환자에서 내시경 검사상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치료는 특별한 기질적 병변이 없는 한 자세한 설명을 통한 치유의 확신감을 주고 필요에 따라 진정제, 제산제 및 cimetidine을 투여한 결과 65.3%에서 증상의 완전소실 및 현저한 호전이 있었고, 24.5%에서는 어느 전도의 호전이 있었으며, 10.2%에서는 증상의 호전이 없었다.

  • PDF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골 우각부 영상확대 및 이의 보정에 관한 3차원 CT영상 연구 (Three-dimensional CT image study on the correction of gonial angle width enlarged on frontal cephalogram)

  • 황현식;은춘선;황정현;임회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1-261
    • /
    • 2005
  •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은 작은 크기의 방사선원에서 방사상으로 방사선이 퍼져나감으로써 피사체의 확대와 왜곡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두 장의 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방사선의 기하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좌우 우각부간 폭경을 계산할 경우 실제 폭경의 산출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성인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측모사진과 정모사진에서의 확대율을 이용하여 실제 우각부 폭경을 산출한 다음 계측치 및 산출치를 3차원 CT영상에서의 계측치와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우각부 폭경은 작게는 7.92mm 크게는 11.31mm까지. 평균 9.10mm의 확대를 보였다.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얻은 우각부 폭경 보정치를 3차원 CT영상에서 얻은 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평균 0.14mm의 작은 오차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 시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서로 직각으로 촬영할 경우 실제 우각부 폭경을 계산을 통해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부편위량과 보정오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아 안면비대칭이 심한 경우에도 본 보정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서 있는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두부자세의 변화 (Changes of Head Posture in Standing and Sitting Posture)

  • Sang-Chan Lee;Kyung-Soo Han;Myung-Seok Se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2호
    • /
    • pp.305-315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head posture according to natural standing or sitting posture. Twenty seven healthy dental students without any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ervical resting posture (CRP) of the head in sagittal plane was measured by Cervical-Range-of-Motion $^\textregistered$(CROM, U.S.A.) and lateral cephalograph was taken in natural posture. The items related to angle in cephalograph were the angles of cranial and cervical inclination to true vertical line(VER/NSL, VER/AML), the angles of cervical inclination to nasion-sella line(CVT/NSL, OPT/NSL), the angles of comical inclination to horizontal line(CVT/HOR, OPT/HOR), the angle of cervical lordosis(CVT/OPT). The items related to line measurement were the distance from subocciput to Cl(Dl), Cl to C2(D2), C2 to C3(D3), C3 to C4(D4), the upper(PNS to posterior pharyngeal wall) and the lower(tongue base to posterior pharyngeal wall) pharyngeal space, the distance from nation to mention(Na-Me), and the radius of comical curvature from the first comical vertebra(Cl ) to the fifth cervical vertebra(C5).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AS/STAT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Most items related to angular measur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 standing and sitting posture. The angles of CRP, CVT/NSL, OPT/NSL, CVT/HOR, OPT/HOR, and CVT/OPT were high in sitting posture, but the angles of VER/NSL, VER/NSL were low in sitting posture. 2. In vertebral distance, only the distance between C3 and C4 was differed by the posture, which decreased in sitting posture. In sitting posture, the distance from nasion to menton(Na-Me) was longer, but the radius was shorter than in standing posture. 3. Correlationship in angular measurements was almost same in both postures. Ceervical resting posture(CRP) was correlated with VER/NSL, VER\ulcornerNSL was correlated with CRP, CVT/NSL, and OPT/NSL, VER/AML was correlated with CVT/HOR, OPT/HOR, CVT/OPT, and the angle of cervical lordosis(CVT/OPT) was correlated with the radius. 4. Correlationship in linear measurement was observed only in among D3, D4, and radius. And the Na-Me was not correlated with any other items. From this results, The author concluded that the head posture in sitting was mote backward extended than in standing.

  • PDF

3차원 CT자료에서 선정된 계측점을 정중시상면으로 투사한 영상과 두부계측방사선사진상의 계측정의 위치 비교 (Comparison of landmark position between convention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CT scans projected to midsagittal plane)

  • 박재우;김남국;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27-436
    • /
    • 2008
  • 본 연구는 두부계측방사선사진에서 선정한 계측점과, 3차원 CT영상에서 계측점을 선정하고 이를 정중시상면으로 투영하였을때 두 계측점 사이의 위치적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술 전에 CT와 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CT자료에서 계측점을 선정하고, 정중시상면을 기준으로 투사영상을 얻은 후에 이것을 110%로 확대하였다. 전두면과 후두골의 외연을 기준으로 두부방사선사진 투사도와 CT자료의 정중시상면 투사영상을 중첩하고, FH평면을 기준으로 공통 좌표계를 설정하였다. 이 좌표계를 기준으로 얻은 계측점 좌표값 차이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paired t test를 시행하였다. X축은 $-0.14{\pm}0.65$에서 $-2.12{\pm}2.89\;mm$, Y축은 $0.34{\pm}0.78$에서 $-2.36{\pm}2.55\;mm$ ($6.79{\pm}3.04\;mm$)의 범위를 보였으며, 20개의 계측점 중 X축은 9개에서, Y축은 7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차는 촬영자세에 따라 악골의 위치가 변화한 경우, 골단부에 위치함으로써 주변구조물에 가려진 경우, 해부학적 구조물의 중첩에 따른 식별오차, 계측점의 정의가 다른 경우 발생할 수 있다.

경미한 경부 통증과 고유수용성 감각 (Proprioception associated with sub-clinical neck pain)

  • 이해정;;;배성수
    • PNF and Movement
    • /
    • 제3권1호
    • /
    • pp.55-66
    • /
    • 2005
  • 목적 : 본 연구는 경미한 경부 통증을 가진 대상자의 경부 운동감각과 경부 통증과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81명의 (나이 18-30세, 평균 23.2) 건강한 대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측정은 경부운동감각과 통증 및 기능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경부운동감각은 편안히 앉은 자세에서, 경부 후인과 좌우 회전의 중간 관절 범위에서 대상자의 두부에 착용하지 않는 기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경부 통증과 기능은 가장 흔히 쓰이는 4가지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문화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을 거쳐 사용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을 경부 통증 빈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통증 없음, 월별, 주별) 구분하였다. 각 집단간에는 4가지 설문지로 조사한 경부통증과 기능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경부운동감각은 통증 빈도가 높을수록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결론 : 경부 운동감각은 편안히 앉은 자세에서 경부 후인과 좌 우회전의 중간 관절범위에서 측정하였으며, 경미한 경부 통증 빈도가 높을수록 경부 운동감각은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 PDF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두경부 위치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n head postur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 황충주;김석현;길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1-230
    • /
    • 1997
  • 두경부 자세는 생리적 활동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두개 안면 골격의 형태학적 발육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안모형태와 설골의 위치,두경부 자세는 서로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며, 특히 하악골의 전후방 위치가 두경부 자세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구대상을 Natural Head Position(NHP)으로 유도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NHP의 재현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있으나, 교정환자를 위해 통법의 두부방사선 사진을 찍은 경우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선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안모 유형의 성인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수직기 준선을 나타내는 수직선 추를 이용하여 통법에 따라 채득한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Wits와 ANB을 기준으로 골격성 부정교합군을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별 20명씩 선택하여 두경부 위치와 설골 위치의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관성 여부를 알아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 비교시 Cl II에 비해 C1 III 에서 설골이 더 하방 위치하였다 2. 경추에 대한 설골의 전후방 위치 비교시 Cl II 에 비해 Cl III 에서 설골이 더 전방 위치 하였다. 3. 하악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Cl I, II, III 간에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4.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A N B, Wits 와 설골의 위치 사이에는 통계학적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Cl II 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인 두부 신전 (extension)은 Bjork Sum, ANB와 역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Cl II 와 Cl III 에서 Post to Ant Facial Height 과 NSL/VER은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경부근육에 있어 두부전방자세와 압력 통증 역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measurement of forward head posture and pressure pain threshold in neck muscle)

  • 채윤원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1호
    • /
    • pp.117-124
    • /
    • 2002
  • Poor posture of the neck and head long been recognized as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onset and perpetuation of pain in the head and neck region.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valuate the changes in forward head posture and pressure pain threshold in tension type headache group and control group. Forward head posture were measured to craniovertebral angle and cranial rotation angle. Craniovertebral angle was smaller in tension type headache group(p<0.05), and cranial rotation angle was larger in tension type headache group(p<0.05). Pressure pain threshold was similar between tension type headache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the exception of right suboccipitalis and left temporalis(p<0.05).

  • PDF

두부전방자세에 의한 불수의적 근수축이 두개주위근의 압력 통증 역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voluntary muscle contraction due to forward head position in pressure pain threshold of pericranial muscle)

  • 채윤원;김진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3호
    • /
    • pp.339-347
    • /
    • 2000
  • To elucidate pressure pain threshold of pericranial muscle due to involuntary. the effect of 30 min or forward head position(FHP) was studied in 20 patients with episodic tension-type headache and in 20 control without headache. Pressure pain thresholds were recorded before and after the FHP. and evaluated by pressure algometry. Thresholds increased in the patients and control after FHP. Relation between thresholds in patients anf control before FHP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resholds increased in patients after FHP. So, involutary muscle contraction due to FHP may be effect pressure pain threshold or pericranial muscle.

  • PDF

두부자세 및 교합장치에 따른 연하운동의 변화 (Effects of Head Posture and Occlusal Splint on Swallowing Movement)

  • Sung-Jin Moon;Kyung-Soo Ha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1호
    • /
    • pp.55-65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d posture and occlusal splint on the vertical dimension in mandibular rest position and swallowing. Thirty health dental students ware selected lot this study and BioEGNⓡ(Bioresearch Inc., USA) was used for measuring interocclusal distance during rest - swallowing - rest - tapping movement. This swallowing movements were observed in both normal head posture(NHP) and forward head posture (FHP). Thickness of occlusal splint was about 2mm at posterior molar area and even tooth contact were achieved on light biting. The four mandibular positions at which interocclusal distance measured were swallowing position, after swallowing position in which interocclusal distance was maximum, rest position follows swallowing, and tapping position after rest. Changes of distance in each position were measured for three mandibular planes, that is, sagittal, frontal, and horizontal plane,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In normal head posture, the mandible was raised 1.03mm without splint, and 0.77mm with splint on swallow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horizontal plane, however, mandible was displaced more anteriorly in both swallowing position and tapping position with splint. 2. In forward head posture, the mandible was less raised with splint on swallowing, but features in horizontal plane were almost same as those in normal head posture. 3. In natural dentitio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HP and FHP were observed in horizontal plane trajectory for swallowing and tapping position. But the difference for same positions were observed in frontal trajectory with splint. 4. Total amount of mandibular movement of two groups classified with sagittal interocclusal distance of swallowing position general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and the lower height group in head posture without splint. 5. Correlationship among total amount of mandibular movement for three mandibular planes were observed between sagittal plane and horizontal plane, and between sagittal plane and frontal plane in head posture without splint.

  • PDF

측두하악 장애환자에서 두부자세 변화가 초기 교합접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d Posture Change on Initial Occlusal Contact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

  • Weon-Ho Choi;Woo-Cheon K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2호
    • /
    • pp.489-49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 effect of change on head posture initial occlusal contacts with measuring the distances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s and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at different head posture in TMDs patient. For this study, 24 patients from age 13 to 36 were selected, they were examined health history taken, patients who have sign and symptoms of TMDs were examine before the study. For the normal group, 21 adults from age 23 to 25 were selected. They have normal or class I molar relationship, and have no other prosthetic restorations. Difference on distance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 and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with mandibular kinesiograph$(MKG^R)$(K6 diagnostic system, Myo-tronic Inc, USA) in upright, supine, 45$^{\circ}$ extension, 30$^{\circ}$ flexion position of the head were measured. The Frankfort horizontal plane was used as a reference pla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s of the normal and patient group on upright position and 30$^{\circ}$ flexion of the head(p<0.05, p<0.01) 2. The position of the initial occlusal contacts have a tendency to place anterior and inferior to maximal intercuspal position in upright position and 30( flexion of the head as well as posterior and inferior in supine position and 45$^{\circ}$ extension of the head in the normal and patient group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initial occlusal contacts between uptight and supine position; upright and 45$^{\circ}$ extension of the head(p<0.05); supine position and 30$^{\circ}$ flexion of the head, .and 30(flexion and 45$^{\circ}$ extension of the head in the patient group(p<0.01) The result have shown that after treatment on the supine position, it may be necessary to check occlusal contact on the upright position as well ass flexion of the head. It may need careful adjustment in occlusal condition on upright position of TMDs pati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