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두만강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Reinvestigation on Key Issues Associated with the Yimjin(1712)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 Location of 'Yipjiamlyu' and the Confluence of 'Tomungangweon' into the Sungari River (임진정계시 '입지암류(入地暗流)'의 위치와 '토문강원(土門江源)'의 송화강 유입 여부)

  • Lee, K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6
    • /
    • pp.571-605
    • /
    • 2015
  • This research revealed that 'Yipjiamlyu' in the Mukedeng's map is geographically 'a beginning point of underf low,' whose location is on the Heishigou's riverbed(E.L. 1,840m) in the NNE side of Daegakbong peak, and that 'Tomungangweon'(Heishigou) is one of the upstream reach of the Sungari River, which,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s and my fieldwork, Mukedeng also knew at the time of Yimjin(1712)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YBMD).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reinterpret the processes of YBMD. Mukedeng set up the Baekdusanjeonggyeobi on the mistaken assumptions on the linkage of 'Yipjiamlyu' and Tumen River. It should have been set up on the Daeyeonjibong peak. Mukedeng found the 'Yipjiamlyu' on the riverbed of 'Tomungangweon'(Heishigou), went downstream, and realized that this river did not flow into the Tumen River. During the search for the source of Tumen River, he found a water stream, and regarded it as the source of Tumen River. He speculated that the water at the 'Yipjiamlyu' flows through the underground to reappear at the his 'identified' source of Tumen River. Consequently, he adjured the construction of demarcation from Baekdusanjeonggyeobi through 'Yipjiamlyu' to the his 'identified' source of Tumen River. The water stream pointed as the source of Tumen River, however, was not part of the upstream reach of Tumen River. Actually, Korean officials, who were in charge of establishing boundary features, set up the demarcation from Baekdusanjeonggyeobi through Huanghuasongdianzi to the true source of Tumen River identified by themselves, which Mukedeng had not intended. The ambiguity of the location of 'Yipjiamlyu' caused a difference between Mukedeng's original request and Korean officials' implementation in the boundary demarcation. Throughout the whole processes of YBMD, Korea(Joseon) and China(Qing) both mistook the real geography of the river system. Their understanding on Yalu River system was correct. But the identification of the spring source of the Tumen River by Korean participants was the only geographically correct result related on this river system in YBMD.

  • PDF

East Asia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rough the Greater Tumen Initiative (GTI) (광역두만강개발계획을 통한 동아시아 지역개발협력)

  • Lee, Seungho;Chung, J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4-84
    • /
    • 2018
  • 본 연구는 두만강 유역국가(북한, 중국, 러시아) 및 인접국가(한국, 몽골, 일본) 간의 협력과정과 현안을 1991년부터 현재까지 광역두만강개발계획(Greater Tumen Initiative: GTI)을 통해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지역개발계획을 통한 공동의 이익창출과 공유가능성을 짚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분석이론으로 이익공유(Benefit Sharing)이론을 적용하여 국제하천에서 한 유역국가가 독단적인 계획과 사업을 통하여 얻는 이익보다 모든 유역국가의 참여를 바탕으로 추진하는 지역개발을 통한 이익이 더 크다는 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두만강 유역은 1991년 UNDP 주도 하에 두만강지역개발프로그램(Tumen River Area Development Program: TRADP)을 시작으로 지역개발협력이 진행되어 2005년 광역두만강개발계획으로 발전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GTI 탈퇴, 리더쉽 부재, 재원부족 등으로 현재 답보 상태에 빠져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진행 과정 속에서 회원국 간의 공통 관심사항을 도출하고 직간접적으로 동아시아 평화안보 구축에 도움을 주었으며 교통, 물류, 에너지, 관광 및 환경 관련 사업을 추진하여 동아시아 공동 지역개발의 단초를 마련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아직 풀어가야 할 숙제가 많지만 GTI는 2014년 이후 본격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제기구로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GTI는 북한 핵무기 개발과 미사일 발사 등으로 경직되어있는 동북아 상황을 완화하고 현 정부의 신북방정책의 발전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역내 국가 간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Location and Scope of Nokdundo located in the Dumangang Estuary (두만강 하구에 자리한 녹둔도의 위치와 범위)

  • Son,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5
    • /
    • pp.651-665
    • /
    • 2016
  • This paper tried to delimitate the location and scope of Nokdundo located in the Dumangang estuary. In 18th century, Nokdundo was an alluvial island formed by several tributaries divided from the mainstream of Dumangang. In the mid-19th century, Nokdundo was connected to the Russian territory because some tributaries were blocked by sediment flows. In many maps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the location and size of Nokdundo had not been depicted consistently with each other nor been described correctly. Because of the recurrent extinction-generating phenomena of waterways of the Dumangang due to sedimentation process, the location and scope of Nokdundo can be delimit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ra.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records publish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 scope of Nokdundo can be extended widely to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So, the author have set the Sodumangang(Karasik River) as the northern boundary of Nokdundo. The Karasik River is called Sodumangang by the Koreans living in the Maritime Province. As a tributary of the Dumangang, Sodumangang flows into the Posyet Bay. Nokdundo was an island sepa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aritime Province by the Dumangang and the Sodumangang respectively. Tributaries of the Dumangang have formed many alluvial islands at the mouth of Dumangang where the Dumangang meets with the East Sea. So, the possibility that Nokdundo was consisted of several islands can not be excluded.

  • PDF

중국 국경 개발시 훈춘의 개발 전망 UNDP의 두만강 상류 개발과 관련하여

  • 김추윤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0 no.31
    • /
    • pp.89-97
    • /
    • 1992
  • 훈춘시는 중국 국경 개방시로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동남부의 두만강 하류 지역인 중국, 러시아, 북한의 3국경이 접경하는 금삼각 지구에 위치하고 있다. 동으로는 훈춘령이 러시아 하산구와 접하고 중,러 국경 길이는 232.7km 이다. 서,남에는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의 온성, 새별, 선봉, 은덕의 4개군이 바라 보이고 중,북한간의 국경 길이 164.7km 이다. 훈춘은 동, 서, 북쪽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최고 해발 1,147m 몰 이르며 최저는 방천촌으로 해발 5m이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geomorphic process of sand dunes at the lower reach of the Duman river, Korea and China (두만강 하류 사구지형의 특징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Zhu, Zhe;Lee, Min-Bo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1
    • /
    • pp.29-40
    • /
    • 2012
  • The sand dunes at the lower reach of the Duman river indicate that their distribution patterns and directions conform to the dominant northwestern winter wind. On the riverbed of the Duman river at the surroundings of sand dunes form sandy point bars and mid-stream islands. The geomorphic processes of sand dun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depositional environments via analyses of the sand grain size and stratigraphic profiles. First, the sand dunes of Hoelyongbong, Kyeongshin-Wonjeong, and the riverside areas of the Duman river, have formed by alluvium of the Duman river which deposits and accumulates on the riverbed, then being wind blown to the nearby sand bars, terraces and higher eroded hills. The second type is the active sand dune of the Bangcheon-Nodongja District which develops similarly as to the formation of the first type, but the fixed sand dunes of the district seem to have formed in the underwater condition.

On the suggestion of development plan to Dumangang-River and yung jong-Do (두만강 및 영종도 개발 계획에 관한 소고)

  • 박중현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2 no.4
    • /
    • pp.83-85
    • /
    • 1994
  • 근년의 북방외교 이후 눈에 띄게 동해 경게권이 대두되면서 급기야는 두만강 지역에 UN시를 건설하여 그 지역을 개발하자고 하는 매우 고무적인 계획까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런 일련의 변화 속에서 우리가 너무나 역사의식을 결여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정부의 공식입장에 나타나지 않는 또 다른 부분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고자 한다.

  • PDF

Geographical Study on the Location of Nokdun-do in lower Tuman river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 이옥희;최한성;안재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96-96
    • /
    • 2004
  • 본 연구는 과거 우리 조상들의 거주지였으나 현재는 러시아의 실효적 지배 하에 있는 두만강 하구 지역의 녹둔도에 대한 실체를 확인하는 지리적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현장답사와 위성영상 자료 분석, 현지에서 관련 인사들과의 면담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중략)

  • PDF

경험적 방법에 의한 두만강 유사량 추정

  • Lee, Kwang-Man;Jang, Chang-Lae;Kim, Jo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60-1664
    • /
    • 2007
  • 두만강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의 환경보호를 위한 우선순위에서 토양보호가 높은 순위로 분류된 적은 거의 없었다. 토양손실에 의한 부정적 효과가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특히 농촌에서 토양 보전의 가치를 이해하거나 토양에서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 동북아시아에서 토양보호와 관련하여 일관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국가 정책에 반영되고 그 결과 토양유실보호법이나 환경보호법 내에서 우선순위의 국가정책으로 도입된 것은 불과 지난 10-20년 사이의 일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의 토사 유실은 매우 심각하며 이로 인해 많은 분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수자원과 토지 자원을 잘 보전하고, 물과 토양의 침식을 제어하면서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은 두만강 유역에 있는 연안 국가의 현대화를 위한 기초이자 장기 전략과제이다. 대상 지역에서, 토양의 침식형태는 주로 수리적 침식, 바람에 의한 침식, 결빙과 해동에 의한 침식, 산사태, 토석류, 밀도류 및 구릉의 함몰 등이 포함되며 이중 수리적 침식과 산사태에 의한 유실이 가장 일반적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자원의 이용 압력이 땅과 물의 퇴화를 유발한다는 증거가 많아지면서, 자연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나 퇴사량에 대한 근본적 이해 없이는 불가능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 이용관리와 토사를 보호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토양의 침식에 대한 현재 상태를 상세하게 확인하였으며, 토양의 중요한 기능이 심각한 퇴화 과정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는 인식에 토대를 두고 토양 보호 프로그램을 유도하기 위해 두만강의 유사량을 경험적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포 분석방법으로는 BW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국내 외적으로 하천 유사량 산정과 관련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충적하천에 기초하여 개발되어진 유사량 공식들을 우리나라 하천에 무분별하게 적용하는 것은 위험스러우며, 유사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이 유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한 유사량 값을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여우리나라 하천에 맞는 유사특성을 알아보고, 기타 총유사량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실측한 유사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