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 하구에 자리한 녹둔도의 위치와 범위

Location and Scope of Nokdundo located in the Dumangang Estuary

  • 손승호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 Son, Seung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University)
  • 투고 : 2016.10.20
  • 발행 : 2016.10.31

초록

본 연구는 두만강 하구에 자리한 녹둔도의 위치와 범위가 어떻게 획정될 수 있을지를 고찰한 것이다. 녹둔도는 두만강의 본류에서 분기한 여러 지류들에 의해 형성된 충적지로서 18세기에는 섬으로 존재하였다. 그러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온 토사가 지류의 물길을 막으면서 19세기 중반에는 이미 러시아의 영토에 연륙되었고 러시아의 영토로 귀속되었다. 조선시대에 작성된 지도에서는 녹둔도의 위치와 크기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묘사되었고 정확하게 그려지지도 않았다. 두만강 하구에서 발생한 하천의 퇴적작용으로 인해 두만강의 유로가 사라지고 생겨나는 과정이 반복되었기 때문에, 녹둔도의 위치와 범위는 시대에 따라 서로 다르게 획정될 수 있을 것이다. 19세기와 20세기에 간행된 기록의 거리정보에 따르면 녹둔도의 범위는 러시아의 연해주 방향으로 광범위하게 펼쳐져 있었다. 따라서 필자는 녹둔도의 북쪽 경계를 소두만강(카라식 강)으로 설정하였다. 소두만강은 두만강에서 분기한 지류로서 동쪽으로 흘러 포시에트 만으로 유입하는 물줄기이다. 녹둔도는 두만강과 소두만강에 의해 각각 한반도 및 연해주와 분리되어 있던 곳이다. 지금은 소두만강이 두만강과 분리되어 있지만, 과거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두만강 하구에는 두만강의 지류들이 크고 작은 여러 하중도를 형성하였는데, 당시에 존재하던 여러 섬들의 집합을 녹둔도로 총칭하여 불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This paper tried to delimitate the location and scope of Nokdundo located in the Dumangang estuary. In 18th century, Nokdundo was an alluvial island formed by several tributaries divided from the mainstream of Dumangang. In the mid-19th century, Nokdundo was connected to the Russian territory because some tributaries were blocked by sediment flows. In many maps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the location and size of Nokdundo had not been depicted consistently with each other nor been described correctly. Because of the recurrent extinction-generating phenomena of waterways of the Dumangang due to sedimentation process, the location and scope of Nokdundo can be delimit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ra.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records publish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 scope of Nokdundo can be extended widely to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So, the author have set the Sodumangang(Karasik River) as the northern boundary of Nokdundo. The Karasik River is called Sodumangang by the Koreans living in the Maritime Province. As a tributary of the Dumangang, Sodumangang flows into the Posyet Bay. Nokdundo was an island sepa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aritime Province by the Dumangang and the Sodumangang respectively. Tributaries of the Dumangang have formed many alluvial islands at the mouth of Dumangang where the Dumangang meets with the East Sea. So, the possibility that Nokdundo was consisted of several islands can not be exclu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춘, 1985, "두만강 하류의 Korea Irredenta에 관한 일고," 백산학보, 30.31 합호, 167-214.
  2. 김덕진, 2003, "조선후기 관둔전의 경영과 지방재정," 조선시대사학보, 25, 83-115.
  3. 노계현, 2001, 조선의 영토, 지식의 날개, 한국방송통신 대학교출판부.
  4. 노영돈, 2005, "녹둔도의 노령화 과정과 그 현재적 음미," 백산학보, 73, 281-329.
  5. 박명용, 2005, "연해주를 둘러싼 한국과 러시아의 영토문제," 북방사논총, 4, 37-86.
  6. 박종효, 2015, 격변기의 한러 관계사, 도서출판 선인.
  7. 반병률, 2010, "러시아 연해주 두만강 하구의 한인마을 크라스노예 셀로(녹둔도)의 형성과 변화," 한국근현대사연구, 54, 7-38.
  8. 안재섭, 2004, "두만강 하류지역의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러시아 핫산지역과 녹둔도를 중심으로," 지리학연구, 38(2), 155-165.
  9. 안주섭.이부오.이영화, 2011, 영토한국사, 소나무.
  10. 양태진, 1993, "韓國國境線上의 鹿屯島," 한국학보, 19, 157-174.
  11. 양태진, 1997, "연해주 지역의 한인이민과 녹둔도의 영속 문제," 한국북방학회논집, 3, 219-248.
  12. 이기석.이옥희.최한성.안재섭.남 영, 2004, 두만강 하구 녹둔도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3. 이옥희, 2004,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9(3), 344-359.
  14. 이왕무, 2011, "조선시대 녹둔도의 역사와 영역 변화," 정신문화연구, 34(1), 119-150.
  15. 이원명, 2009, "조선 중기 鹿屯島 확보와 北兵使 李鎰에 관한 일고찰," 백산학보, 83, 491-520.
  16. 이희수 역, 2010, 러시아인이 바라본 1898년의 한국, 만주, 랴오둥반도: 가린-미하일롭스키의 여행기(no kopee mahbykypnn n nroayhckom y nonyoctpoby hnkonan reoprneb ny rapnh-mnxannobcknn), 동북아역사재단.
  17.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아국여지도.
  18. 日本外務省, 鹿屯島關係雜綴(自明治19年11月 至明治23 年9月).
  19. 恒屋盛服, 1904, 朝鮮開化史, 博文館, 東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