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류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초

조선 중기 외래식품의 도입과 그 영향 - 서류.두류.채소류를 중심으로 -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Foreign Food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 Potato & sweet potato.bean pulse.vegetables -)

  • 차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7-497
    • /
    • 2005
  • War against Japanese(1592-1599) and war against Manchurian(1636-1637), which had been occurred in Korean Peninsula throughout the history, and frequent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since $18^{th}$ century have led to a distribution of foreign food into Korea. Several examples for this include tomato, apple, watermelon, maize, pea, cowpea, peanut, potato from China and red pepper, pumpkin, and sweet potato from Japan. Since these foods had been brought into Korea, they have been cultivated suitable for Korea's climate and land. Foreign foods with a few exceptions tend to have high calories. For instance, along with potato and sweet potato, pumpkin is considered a high-calorie food containing lots of starches as it becomes ripening. This helped a wide spread of the foreign foods across the nation where intake of high-calorie foods was critical for Korean people's nutrition at that time. Among those foods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red pepper had a greatest impact on the dietary life-style of Chosun Dynasty. The use of red pepper has been greatly expanded from main ingredient to seasoning and garnishing in various forms of red pepper such as red pepper paste, red pepper powder, and thick soy paste mixed with red pepper. Red pepper was made eating habits is hot besides dye red colored to traditional food, because steaming and boiling is frequently cook method, fermentation food also food color is achromatic therefore food color is and mixture with red pepper, picked fish and chinese cabbage new kimchi culture came into being.

두류와 콩나물에서의 BENOMYL의 검색과 그 분리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COMPARISION OF RESIDUE ANALYSIS FOR BENOMYL IN BEAN AND BEAN SPROUTS)

  • 한일근;채정영;이자영;여익현
    • 분석과학
    • /
    • 제7권3호
    • /
    • pp.395-402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기존 HPLC 베노밀 분석법 및 한 종류의 새로이 설정한 GC PFB 유도체화 베노밀 분석법을 도입하여 시중에 유통되는 국산 및 수입작물을 수거한 후 그 잔류도를 검색함과 동시에 각 분석법의 정확성, 정밀도, 회수율, 그리고 감도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GC PFB 유도체화분석법의 경우 회수율 및 검출 한계가 각각 95% 이상, $0.001{\mu}g/g$이었다. 그리고 각종 작물의 분석시 기존의 HPLC법의 경우 베노밀의 peak가 나타나는 retention time 시간대에 시료의 성분에 의한 peak도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 확률이 높아 오검출되는 사례가 많았으나 GC PFB 유도체화분석법은 베노밀을 유도체화한 후 GC에서 분석함으로써 오검출 판정결과를 보이는 시료는 없었다.

  • PDF

두류의 첨가가 당뇨병 쥐의 내당능과 지질대사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gume Supplementation on the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and Lipid Peroxid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수현;이혜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5호
    • /
    • pp.425-436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mon Korean legumes as a high-fiber supplement in therapeutic diets for diabetic patients.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ere used as animal models and four kinds of legumes, black soybean (BS), yellow soybean (YS), green pea (GP) and soybean curd residue (SCR) were tested as high-fiber supplements. Seven groups of normal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ere fed isocaloric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8% dietary fiber from one of four legumes or purified cellulose and pectin for 6 weeks. The effects of the legumes on the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of diabetic rats was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cellulose and pectin. The legume supplementation did not show any beneficial effect on glucose tolerance, however, it exhibited a plasma cholesterol-lowering effect in diabetic rats. The cholesterol-lowering action was especially strong in BS and the degree of the effect was comparable to that of pectin. The levels of total lipids,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hepatic tissues of rats fed legume diet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ectin group. All legume supplements induced an increase in fecal steroid excretion. The fecal cholester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 following the supplementations of YS and SCR (p < 0.05). The excretion of fecal bile acids in the BS and YS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t was in the pectin group (p < 0.05). Concentration of lipid peroxidation products in the blood and urine of diabetic animals was lower in the legume groups than in the cellulose group. The levels of hepatic lipid peroxidation produc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BS and YS groups than in the pectin group (p < 0.05).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lasma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BS is possibly due to the significant (p < 0.05) in-crease in fecal steroid excretion, which suggests that BS could be beneficial in improving abnormal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Korean J Nutrition 36(5): 425∼436, 2003)

두류 전분의 노화 및 저장 중 겔 특성 (Retrogradation of Legume Starches and Their Gel Properties during Storage)

  • 권미라;신말식;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42-746
    • /
    • 1993
  • DSC에 의한 노화양상에서 호화시킨 다음 냉각하여 3시간 후에 다시 가열하였을 때의 enthalpy를 서로 비교한 결과 강남콩의 enthalpy가 가장 크게 나타나 노화가 빨리 일어났다. 반면 동부나 녹두는 노화가 느리게 일어났다. Avrami 방정식을 이용하여 $4^{\circ}C$에서 저장한 1% 전분현탁액의 노화속도를 시험한 결과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저장중 8% 전분겔의 수축현상으로부터 강남콩이 가장 빨리 수축되어 이장현상이 컸으며, 팥도 상당히 수축되었고, 비교적 동부와 녹두는 적게 수축되어 이장현상이 적었다. 또한 저장중 8% 전분겔의 water mobility behavior에서의 변화는 동부와 녹두의 경우 1일까지 거의 변화가 없다가 그 이후 서서히 감소되었으나 팥과 강남콩의 경우 처음에는 water mobility가 적어 겔이 빨리 형성되고 물의 결합정도가 크나 1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 water mobility가 상당히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단시간내의 겔의 결합력이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열온도가 두류전분의 가용성 탄수화물의 용출양상과 전분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on Elution Patterns of Soluble Carbohydrate of Legume Starches and the Properties of Starch Gel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98-702
    • /
    • 1993
  • 온도 증가에 따라 용출되는 soluble carbohydrate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더 큰 분자들이 많이 용출되었고 동부나 녹두는 아주 유사한 용출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팥은 동부나 녹두보다는 분자량이 작지만 강낭콩보다는 큰 분자들이 용출되었고 $95^{\circ}C$에서의 용출양상이 동부나 녹두의 $85^{\circ}C$에서의 용출양상과 비슷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강낭콩은 온도가 증가되어도 아주 작은 분자들이 계속 많이 용출되어 강낭콩 아밀로오스가 작은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텍스쳐실험결과 전분겔의 특성은 녹두가 가장 견고성이 크고 동부는 응집성이 가장 컸다. 팥이나 강낭콩은 견고성과 응집성 모두 동부나 녹두에 비해 낮았다. 15분간 가열하여 제조한 전분겔의 경우 가열온도가 증가할수록 견고성과 응집성이 증가하였다. 1시간 가열하여 제조한 전분겔의 경우 동부와 녹두는 $85^{\circ}C$에서보다 $95^{\circ}C$에서 견고성이 감소하였으나 팥이나 강낭콩은 가열온도 증가에 따라 견고성이 증가하였고 시료 전분겔 모두 응집성은 증가 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위성 자료를 이용한 대구광역시의 상대적 증발산 효율 분포 (Distribution of Relative Evapotranspiration Availability using Satellite Data in Daegu Metropolitan)

  • 김해동;임진욱;이순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7-686
    • /
    • 2006
  • 잠열과 관련된 지표면 증발산량은 지표 온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를 정확히 산정하는 것은 중규모 순환장 예보의 정확도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인 LANDSAT 5 TM 자료를 이용하여 대구광역시의 상대 증발산 효율을 추정하였다. 증발산 효율 추정은 복사 온도/식생 지수의 관계식을 이용하였다. 식생 지수는 대구광역시의 실제 토지 이용도와 일치하였다. 도시 지역내의 공원 지역의 경우 낮은 복사 온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두류공원과 같은 도심내 공원 지역의 고증발산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전체적인 도심지는 저증발산이 두드러졌다. 그리고 지표면 구성특징에 의하여 도심지 내 공단 지역과 주거 지역은 상대적인 증발산 분포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두류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4-339
    • /
    • 1993
  • 전분입자의 크기는 동부와 녹두가 좀 작았으며, 강남콩과 팥은 약간 더 컸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녹두와 강남콩이 시료 중 약간 더 많았으나 모두 $25{\sim}29%$의 범주였다. 강남콩전분의 팽윤력은 전 온도범위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아주 낮았다. Brabender Visco/amylo/Graph 결과는 동부, 녹두, 팥은 호화 점도도 크고, 노화시점도의 증가도 크지만, 강남콩은 점도의 증가가 아주 낮았다. 아밀로그램에서 점도의 변화양상은 아밀로오스 함량과는 관계가 없고, 아밀로오스의 크기나 전분립의 형태, 결정화 정도 등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DSC에 의해 조사한 호화 양상에서 강남콩이 호화 개시온도가 다른 시료보다 더 높았으며 동부와 녹두는 대체로 낮은 편이었으나 이들의 호화엔탈피는 거의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부와 녹두전분의 특성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강남콩은 이들과 많은 차이를 보였고, 팥은 중간적 특성을 나타냈다.

  • PDF

두류식품의 지역 이름 브랜드화의 효과: 한국 소비자의 종적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gional Branding on Soybean Products: Evidence from Consumer Longitudinal Data in Korea)

  • 김태경;정구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09-116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urchase pattern relating to soybean products in Korea. Specifically, the effect of branding based on a regional name was analyzed in terms of consumer purchase frequenci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y family characteristics affect product selection for a regional brand in the soybean food catego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used data collec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of Korea. The RDA has monitored agricultural food consumers for years in order to obtain purchase records. Panel participants live in regions near the capital city of Seoul, Korea. Examining data from January 2010 to May 2016, 667 famil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final data set was 1,335,402. Each purchase item by each individual family was aggregated to a countable weekly observation. To analyze the data set quantitatively, zero-inflation regression was adopted, which was appropriate to avoid biases from overly dispersed observations. Results - We hypothesized the effects of regional brand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family characteristics. The first hypothesis was that the number of children w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urchase of a regional brand of soybean products. The result strongly supported this hypothesis. The second hypothesis was that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would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urchase of the soybean products of a regional brand. Based on empirical analysis, we concluded that this hypothesis was partially supported. The third hypothesis was the presence of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family size, which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As a supplementary analysis, we also tested mean-variance differences in terms of categories and regional branding with corporate branding.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for regional branding strategies in agricultural food management. This study appears to be one of the seminal studies trying to analyze purchase patterns from longitudinal observ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variables characterizing family lifestyle. This study confirmed that children and family size should be considered when soybean product brands are introduced.

한국인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의 식이섭취량 추정 (Estimation of the Dietary Intake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by the Korean Population in 1986-1990)

  • 이서래;이미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5
    • /
    • 1994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요 유기인계농약 11종에 대한 한국인의 식이섭취량을 농산물중 잔류량과 식품계수로 부터 산정한 결과 1인당 1일 $31\;{\mu}g$ 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 비율은 곡류 56%, 채소 23%, 과일 14%, 두류 기타 7%이었다. ADI 값에 대한 식이섭취량 비율을 보면 diazinon 6.1%, fenthion 5.8%, fenitrothion 3.3%, EPN 1.5%로 나타났고 11종 농약의 성분별 평균은 1.7%에 불과하였으나 모든 성분에 대한 합계치는 18.7%에 이르렀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유기인계의 농약의 사용실태 하에서는 농산물중의 농약잔류가 한국인의 국민건강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체계적인 섭취량 평가에 착수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식품에서 땅콩 성분의 신속검출을 위한 PCR 방법 (A PCR Method for Rapid Detection of Peanut Ingredients in Food)

  • 이수진;윤장호;홍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50-353
    • /
    • 2009
  • 땅콩(Arachis hypogaea)은 예민한 사람들에게 심한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Agglutinin은 땅콩에서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식품중의 땅콩성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agglutinin 유전자에 특이적인 primer pair를 이용하는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방법을 개발하였다. PCR 반응은 땅콩에서 agglutinin DNA의 특정부분을 증폭시켰으나 11종의 다른 견과류, 두류 및 곡류(피스타치오, 아몬드, 해바라기씨, 잣, 호두, 대두, 검은콩, 강낭콩, 팥, 백미, 흑미)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았다. 이 PCR 방법으로 땅콩성분이 함유된 6종의 가공식품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으며 땅콩이 구성성분으로 표시되지 않은 13종의 다른 가공식품에 대해서는 모두 음성반응을 나타냈다. 본 방법은 정제된 땅콩 DNA를 100 pg까지 검출할 수 있었으며 대두 DNA에 땅콩 DNA가 0.1%까지 혼합된 경우도 검출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