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두루마리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lastic Substrates Having High Thermal Resistance for Flexible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고내열 플라스틱 기판)

  • Kim, G.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3
    • /
    • pp.122-130
    • /
    • 2016
  • 빠르게 발전해 가는 IT기술 덕분에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한 지금, 더 얇고 더 가벼우면서 휴대하기 쉬운 경박단소한 디스플레이가 휴대용 기기의 기본 요구사항이 되고 있다. 더 나아가 형태변형이 가능하고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는 유연하면서도 질긴 특성을 바탕으로 종이처럼 접거나 휘어지고, 두루마리처럼 말 수 있는 이른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어 국가별, 기업별로 관련 연구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자료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최근의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관련기술의 전개방향을 살펴본다.

  • PDF

Flexibl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Lee, J.H.;Chu, H.Y.;Suh, K.S.;Kang, K.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6 s.96
    • /
    • pp.48-61
    • /
    • 2005
  • Flexible display는 플라스틱 등 휠 수 있는 기판에 만들어진 평판 디스플레이로, 우수한 표시특성을 그대로 가지면서 접거나 구부리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의 평판 디스플레이 시장의 차세대 기술로 평가되어 전세계적으로 급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Flexible display는 원리적으로 종이와 같은 수 센티미터 이내로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기판을 사용하게 되며, 기존의 딱딱한 유리기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가볍고, 얇고, 내충격성이 강하며, 구부림이 자유롭다. 본 고에서는 flexible display의 핵심 기술, 주요기관의 최근 flexibledisplay 연구 개발동향 및 발전전망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디지털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의 작품 분석과 가상현실 청명상하도 제작에 따른 제언

  • Park, Jin-Ho;Choe, Mi-Hwa;Gang, Mi;Choe, Hui-Su
    • It's Smart Media
    • /
    • v.5 no.1
    • /
    • pp.1-6
    • /
    • 2016
  • 지난 2010년 상하이 세계박람회 중국관(中國館)에서는 1000년 전 중국 북송(北宋)시대의 회화인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원작(5m)을 20배(110m)로 확대한 <디지털 청명상하도>를 선보였다. 이 그림은 중국 북송(北宋)시대 한림학사(翰林學士) 장택단(張擇端)이 북송의 도성인 변경(卞京 : 현재의 개봉)의 청명절 풍경을 세밀하게 묘사한 풍속화로 중국인들이 '국보1호'로 여기는 고서화(古書畵)다. 가로 528.7cm, 세로 24.8cm짜리 두루마리 그림에 수도에 드나드는 사람들의 일상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작품이다. 이를 디지털 복원한 것이 <디지털 청명상하도>다. 이 콘텐츠에는 다양한 전시 기술이 쓰였고 압도적인 스케일을 자랑한다. 지난 6년동안 중국 대도시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 형태로 순회 전시중이다. 2010년 제작당시 어떠한 기술로 <디지털 청명상하도>가 만들어졌으며, 미래 그 어떤 시점에 등장 할 가능성이 있는 "가상현실(VR)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는 어떤 기술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을지 예측해 보고자 한다.

  • PDF

Organic Devices;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 Applications

  • Gu, Bo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6-36
    • /
    • 2010
  • 유기 반도체는 합성 방법의 다양함, 섬유나 필름 형태로 성형이 용이함, 경량성, 유연성, 전도성, 저렴한 생산비, 높은 생산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무기물과 같이 벌크 성질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자 자체가 기능성을 가지므로 초박막의 형태에서도 기능성이 유지되어 새로운 초박막 기능성 전자소자 및 광소자의 개발이 가능하다. 특히 플라스틱과 같이 유연한 기판에 박막을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고체 반도체로써 실현할 수 없는 두루마리 TV와 같은 flexible application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유기반도체를 사용하는 유기소자 중 유기박막트랜지스터(Organic Thin Film Transistor; OTFT)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동향과 동작원리 및 소자구조와 성능과의 관련성, 그리고 성능 개선을 위하여 시도되고 있는 여러 가지 공정 및 표면처리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연구실에서 수행하고 있는 OTFT 관련 연구현황을 소개하고 OTFT의 발전방향을 예측해 본다.

  • PDF

Kirchhoff Prestack Depth Migration for the Complex Structure Using One-Way Wave Equation (일방향 파동방정식을 이용한 복잡한 구조의 키리히호프 중합전 심도구조보정)

  • Ko, Seung-Won;Yang, Seung-Ji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5 no.1
    • /
    • pp.18-22
    • /
    • 2002
  • As a single arrival traveltime, maximum energy arrival traveltime has been known as the most proper operator for Kirchhoff migration. In case of the model having the simple structure, both the first arrival traveltime and the maximum energy arrival traveltime can be used as the correct operators for Kirchhoff migration. However for some model having the complex and high velocity contrast structure, the migration using the first arrival traveltime can't give the correct depth section. That is, traveltime to be required in Kirchhoff migration is the maximum energy traveltime, but, needs considerably more calculation time than that of first arrival.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traveltime approximated to the maximum energy arrival using one-way wave equation. After defining the WAS(Wrap Around Suppression) factor to be used for calculating the first arrival traveltime using one-way wave equation as the function of lateral grid interval and depth and considering the delay time of source wavelet. we calculate the traveltime approximated to the maximum energy arrival.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traveltime, we applied this to the migraion for simple structure and complex structure and compared the depth section with that obtained by using the first arrival traveltime.

Research on the Similarity of Furniture Design of Table Furniture in the Later Joseon Dynasty and Ming-style Furniture (조선시대 후기 가구와 명식(明式)가구 탁자(卓子)류 가구 조형 디자인의 유사성 연구)

  • Xiao, Yang;Kim, KieSu;Li, Y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522-537
    • /
    • 2020
  • The Joseon dynasty had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Ming and Qing dynasties on multiple level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furniture modeling design, the same cultural source and mutual communication, and the same factor was reflected in each other's furniture modeling. In this paper, "Furniture in the later Joseon Period" and "Ming style furniture" are taken as the research noumenon, table furniture as the specific research object, and from the perspective of "similarity" in the history of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overall modeling design and the local modeling design are selected to discuss the modeling design of traditional furniture in the two countries. In the analysis of specific research cases, there are similar genes in the overall modeling design of table furniture such as soban, warp bed and inkstone bed in the later Joseon Dynasty and table furniture such as kang, square table, wine table and incense tabl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terms of local modeling, the appearance of similar desktop, cloud horn, leg, foot and other modeling designs better confirms the similarity in modeling desig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is paper for "type of air hole" formative source speculated that traditional furniture is for Korean peninsula a tentative study of cultural studi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are expanding in many aspects, exploring the similarities in the traditional furniture will help to analyze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promote the exchanges.

상온에서 제작된 다결정 인듐갈륨 산화물(IGO) 투명 박막트랜지스터 제조 및 특성 연구

  • Jo, Gwang-Min;Jeong, Yeon-Hu;Lee, Jun-Hyeong;Kim, Jeong-Ju;Heo, 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45-345
    • /
    • 2014
  •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해 가고 있다. 정보화 기술의 발전으로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로 접근하고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성을 가진 휴대용 기기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따라 더 얇고 더 가벼우며 휴대하기 쉬운 디스플레이가 요구 되고 있고, 더 나아가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고 유연하며, 디자인 변형이 자유로우며, 때론 종이처럼 접거나 휘어지거나 두루마리처럼 말을 수 있는 이른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첨단 디스플레이의 핵심 소자 중 하나는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이다. 산화물 반도체는 넓은 밴드갭을 가지고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하며, 높은 이동도를 가지고 있어 차세대 평판디스플레이, 투명디스플레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박막트랜지스터(TFT)를 위한 채널층으로써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은 고온에서의 열처리를 필요로 한다. 고온에서의 열처리 공정은 산화물 박막의 제조 공정 단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산화물 박막이 형성되는 기판의 녹는점이 낮은 경우에는 상기 기판의 변형을 가져오므로(예를 들면, 플라스틱 기판, 섬유 기재 등), 상기 산화물 박막이 적용되는 기판의 종류에 제한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을 위해서는 저온공정이 필수로 선행 되어야 한다. 산화물 TFT는 당초, ZnO계의 재료가 연구되었지만 2004년 말에 Hosono 그룹이 Nature지에 "IGZO (In, Ga, Zn, O)"을 사용한 TFT를 보고한 이후 IGZO, IZO, ISZO, IYZO, HIZO와 같은 투명 산화물반도체가 TFT의 채널물질로써 많이 거론되고 있다. 그 중에서 인듐갈륨 산화물(IGO)는 삼성분계 n-형 산화물 반도체이고, 채널 이동성이 좋고 광투과도가 우수해 투명 TFT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실험에서 우리는 인듐갈륨 산화물 박막 및 트랜지스터 특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듐갈륨 산화물 박막은 상온에서 rf-magnetron sputtering법을 사용하여 산소분압 1~10%에서 증착 되었다. 증착된 인듐갈륨 산화물 박막은 cubic $In_2O_3$ 다결정으로 나타났으며, 2차상은 관찰 되지 않았다. 산소분압이 10%에서 1%로 변함에 따라 박막의 전도도는 $2.65{\times}10^{-6}S/cm$에서 5.38S/cm 범위에서 조절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듐갈륨 박막을 active층으로 사용하는 bottom gate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작 하였다. 인듐갈륨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는 산소분압 10%에서 on/off 비 ${\sim}10^8$, field-effect mobility $24cm^2/V{\cdot}S$를 나타내며 상온에서 플렉서블용 고 이동도 소자 제작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그래핀-탄소나노튜브 복합체로 제작한 유연성 투명 전도막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 향상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02-202
    • /
    • 2012
  • 유연성 투명 전도막은 현대 전자산업의 발전에 있어 필수적인 부품소재로서,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80% 이상이고 면저항이 $100{\Omega}/sq.$ 전후이며 휘거나 접히고 나아가 두루마리의 형태로도 응용이 가능한 소재를 일컫는다. 이러한 유연성 투명 전도막은 차세대 정보디스플레이 산업 및 유비쿼터스 사회의 중심이 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터치패널, 발광다이오드, 태양전지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기대된다. 이러한 이유로 고 신뢰성 유연성 투명 전도막 개발기술은 차세대 산업에 있어서의 핵심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및 전도성 유기고분자를 사용하여 투명 전도막을 제조하고 있으나, ITO 박막의 경우 인듐 자원의 고갈로 인한 가격상승 및 기판과의 낮은 접착력,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공정상의 문제, 산화물 특유의 취성으로 인한 유연소자로서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전도성 유기고분자의 경우는 낮은 전기전도도와 기계적강도, 유기용매 처리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높은 전기전도도와 투광도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지니는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러한 재료로서 그래핀(graphene)과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중심으로 하는 탄소나노재료가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화학기상증착법(thermal vapor deposition; TCVD)으로 합성된 그래핀 및 CNT를 이용하여 탄소나노재료 복합체 기반의 유연성 투명 전도막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래핀과 CNT합성을 위한 기판으로는 각각 300 nm 두께의 니켈과 1 nm 철이 증착된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였으며, 원료가스로는 메탄(CH4)과 아세틸렌(C2H2)등의 탄화수소가스를 이용하였다. 그래핀의 경우 원료가스의 유량, 합성온도, 냉각속도를 변경하여 대면적으로 두께균일도가 높은 그래핀을 합성하였으며, CNT의 경우 합성시간을 변수로 길이 제어합성을 도모하였다. 합성된 그래핀은 식각공정을, CNT는 스프레이 증착공정을 통해 고분자 기판(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위에 순차적으로 전사 및 증착하여 탄소나노재료 복합체 기반의 유연성 투명 전도막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탄소나노재료 복합체 기반의 유연성 투명 전도막은 물리적 과부하를 받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유연성 투명 전도막의 구조적결함에 기인하는 전도성 저하를 보상하는 특징이 있어,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 각각으로 제조된 유연성 투명 전도막보다 물리적인 하중이 반복적으로 인가되었을 때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40% 스트레인을 반복적으로 인가하였을 때 그래핀 투명 전도막은 20 사이클 이후에 면저항이 $1-2{\Omega}/sq.$에서 $15{\Omega}/sq.$ 이상으로 급증한 반면 그래핀-CNT 복합체 투명 전도막은 30사이클까지 $1-2{\Omega}/sq.$ 정도의 면저항을 유지하였다.

  • PDF

Study of Wooden Chukmok and Chukdu Used for East Asian Mounting (동양 장황에 사용된 축목과 축두에 관한 연구)

  • Jang, Yeonhee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19
    • /
    • pp.53-68
    • /
    • 2018
  • Hanging scrolls and handscrolls are common mounting for East Asian painting and calligraphy in which wooden Chukmok with Chukdu of various materials are attached either at the top and bottom or at each side of a work. Hanging scroll paintings or calligraphy can be hung for appreciation and rolled up for preservation. The Chukmok and Chukdu of a hanging scroll were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nd were known by distinct names in Korea, China, and Japan. In Korea, the wooden Chukmok were called sanghachukhoengmok(上下軸橫木), which means horizontal wooden bars for the top and bottom axes. The wooden Chukdu were called Chukdu(軸頭), meaning the head of an axis. These Chukmok and Chukdu were made of Korean red pine, nut pine, or shiny xylosma. In China, the rod was called zhougan(軸杆) and zhoutou(軸頭), and they were made of Japanese cedar, sappan wood, or red sandalwood. In Japan, the top rod was called hassou(八双; 八裝) and the bottom jikugi(軸木), and they were made of Japanese cedar, red sandalwood, or crystal. In Korean hanging scrolls, the cross section of a Chukdu is either flat or round, and it can be either patterned or patternless. The designs include concentric circles, two circles, and three circles. Among the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analyzed in this study, three examples feature concentric circles on Chukdu with a flat cross section, which coincides with most of the king's instructions housed at the Jangseogak Archives. This suggests that flat Chukdu with a concentric circle pattern were used for binding most of the paintings of meritorious subjects commissioned by the royal court.

Analysis of Contents of Reorganization of Textbooks by Pre-Service Teachers' on 'Comparison of Distances from Solar System to Planets' in First Semester of Elementary Science 5th Grade (초등과학 5학년 1학기 '태양에서 행성까지 거리 비교'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재 재구성 내용 분석)

  • Kim, Hae-Ran;Lee, Yong-Se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4 no.3
    • /
    • pp.225-23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astronomical education method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or software. In connection with the 5th grade 1st semester elementary science 'Solar System and Stars' uni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given a reorganization task to compare the relative distances from the sun to the planets, and then this was analyzed. Pre-service teachers are 11 male and 19 female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university in B cit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ance comparison activity using a roll of tissue paper' is suitable for simply comparing the distances from the sun to the planet, but it has limitations in allowing students to experience the vastness of the solar system or inducing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clas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ftware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can simultaneously reflect the size of the planet and the distance to the planet that can be applied indoors, and also experience the vastness of the solar system, as well as a wide learning space. Third, textbook materials for student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lass design of pre-servic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