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된장찌개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mbedded System Reliability Measurement Use Markov Chain Model (마르코프 체인 모델을 이용한 임베디드 시스템 신뢰도 측정)

  • Kawk Dong-Gyu;Cho Yong-Yoon;Park Ho-Byung;Yoo Ch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433-435
    • /
    • 2005
  • 임베디드 시스템은 다수의 디바이스를 컨트롤하여 시스템의 목적을 수행한다. 최근 임베디드 시스템의 요구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하나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가 컨트롤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수의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신뢰도는 각 디바이스의 신뢰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은 임베디드 시스템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통계적 신뢰도 측정 방법 중 한 가지인 마르코프 체인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마르코프 체인은 여러 분야에서 복잡한 시스템을 단순화하여 모델링하고 과거의 변화를 토대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체 시스템의 확률을 행렬로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있어 특정 부분의 확률이 전체 시스템의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산술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마르코프 체인은 테스트 대상 소스를 분석하여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루틴과 에러를 핸들링하는 루틴, 일반적인 루틴으로 나누어 각각을 상태로 정의한다. 정의한 각 상태간의 전이는 통계적으로 측정한 디바이스 신뢰도를 확률로 표현한다. 마르코프 체인을 이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소스 분석기와 신뢰도 측정기로 나누어 설계한다. 소스 분석기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소스와 디바이스 드라이버 라이블러리 테이블을 입력으로 하고 소프트웨어의 마르코프 체인을 출력으로 한다 마르코프 체인은 행렬로 표현하고 연산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측정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신뢰도 측정 방법은 부분이 가지고 있는 신뢰도가 전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산술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시스템이 요구하는 신뢰도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과 근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이루고 있는 가족구성원들에게는 가족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휴식과 오락의 소비 트렌드를 창출시켰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Real-Time Load Balancing Using TMO Replica Of LTMOS In Distributed Environment (분산 환경에서 LTMOS의 TMO 리플리카를 이용한 실시간 로드 밸런싱의 설계 및 구현)

  • Joo Koonho;Lim Bosub;Heu Shin;Kim Ju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829-831
    • /
    • 2005
  • 실시간 시스템이란 시간적인 제한을 가지고 작업 수행 결과의 정확도가 보장되는 시스템으로 경성 실시간 시스템과 연성 실시간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최근 분산 실시간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폭넓게 활용되기 시작한 실시간 객체 모델인 TMO는 Kane Kim과 Kopetz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TMO 모델은 경성 또는 연성 실시간 응용과 병렬 컴퓨팅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 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기능적인 면과 시간 조건 수행 모두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다. TMO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실시간 분산 환경에서의 실행을 위해 몇 개의 TMO 실행 엔진이 개발 되었는데, 그 중에서 LTMOS라는 리눅스 기반의 연성 실시간 미들웨어 엔진이 한국외대 RTDCS lab.에서 개발되었다. 하지만 LTMOS의 실시간 시스템 수행 중 작업량의 과부하로 인한 deadline 위반이나, 시스템간의 분산 IPC 통신에 있어서 Channel Traffic이 빈번한 경우 실시간 시스템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조금 더 효율적인 실시간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 TMO 프로그램의 resource 정보를 담고 있는 ODS(Object Data Store)만을 다른 노드에 있는 자신의 TMO 프로그램 Replica로 이주해서 실시간 로드 밸런싱을 구현하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TMO 프로그램들의 deadline 위반 및 Channel Traffic 부하를 감지할 수 있는 Node Monitor와 최적의 노드를 선별할 수 있는 Migration Manager를 새롭게 추가하였고, 쓰레드들의 스케줄러인 WRMT에 이주 작업을 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하였다. 2D 이미지의 관측점을 줄여 계산량을 대폭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 PDF

Preference for Korean Food and Satisfaction of Dormitory Foodservice by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중국유학생의 한식 메뉴 선호도 및 기숙사 급식만족도 - 목포대 일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

  • Jung, Hyun-Young;Jeon, Eun-Ra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2
    • /
    • pp.283-289
    • /
    • 2011
  •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Korean food by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were surveyed. The students (n=167) were 53.9% males, 58.1% Korean residents for 6 months and 47.9% in healthy condition. The recognition of Korean food was highly light taste ($3.36{\pm}0.95$)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food materials was in the order of beef (46.7%), hairtail fish (28.7%), baechu (24.4%), tangerine (49.1%), milk (38.9%) in each food category. Eating habits were feeling of hunger on reason for eating (43.1%), moderate satiety degree for a diet (58.7%), no time for reason to skip diet (48.5%), family for impact factor of eating habits (55.1%) and irregular diet time for the problem of eating habits (40.1%). The recognition of Korean food menu was in the order of baechukimchi, bulgogi, ggakdugi, samgyupsal, ddeokbokki, galbitang, and gomtang; the preference order was bulgogi, doejigalbijjim, soegalbijjim, dakgalbijjim, samgyupsal, galbitang, and dakdoritang.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menu were significant in bibimbap, tteokguk, doenjang jjigae, kimchi jjigae, ddeokbokki, japchae, baechukimchi, and ggakdugi (p<0.001), as well as jeonbokjuk, bibimguksu, soegalbijjim, doejigalbijjim, dakgalbijjim, saengseonmaeuntang, gomtamg (p<0.01), hobakjuk, bulgogi, and dakdoritang (p<0.05). The actual dormitory foodservice was twice daily (47.3%), <10~20 min for diet time (65.3%). The reason for using university foodservice was compulsory diet (37.1%) whereas the reason of not using university foodservice was tastelessness (45.5%); kimchi was the most leftover (27.5%). According to foodservice quality attribut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the highest in hygienic part. Foodservice quality attribute was significant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all items except location of facilities foodservice (p<0.001).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고 나트륨 섭취 노인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품섭취패턴)

  • Jang, Ja-Young;Kim, Mi-Jeong;Han, Ji-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10
    • /
    • pp.1362-1372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broadly profile the dietary pattern of elderly who consumed a higher amount of sodium compared to lesser sodium consumers. Na index 14, an instan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FFQ) of 40 items characterizing a high amount of sodium and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of 63 food items that were used in nationwide surveys were adopted for the assessment of dietar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Na index 14 consisted of food items such as kimchi stew, bean paste stew, cooked spinach dish, seaweed soup, fish stew, roasted anchovy, and seasoned vegetables. Also, the survey constructs included nutritional knowledge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the subjects. Out a total of 135 participants, 58 elderly were determined as the high sodium intake group (HSIG) and the other 77 were the control group, via a formerly validated Na index and sodium-associated dietary habits scale (SDH). Dietary habits of "add salt or soy sauce to foods", "drink up the broth of soups and stews", and "brined fishes and vegetables daily" were among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SIG and control group in SDH assessment. In addition, the HSIG were less likely to have regular meals, adequate amount of meals, and nutritionally balanced meals than the control, with the differences manifesting more in females than males. Additional findings included that the HSIG possessed a poorer nutritional knowledge and obtained much higher scores on the IFFQ. Taken together, the study urges the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who habitually salt their foods and maintain a less desirable dietary style.

초등학생 아침 안 거르기를 위한 보건소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Lee, Hae-Yeon;Moon, Hyun-Gyung;Cho, Sung-Eok;Lee, In-Young;Choi, Hye-Ryun;Jang, Young-Ju;Park, Young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58-1059
    • /
    • 2003
  • 학동기(만 6-12세)에 좋은 영양 공급은 일생의 성장 발육의 기초를 조성하여 지적, 사회적, 정서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초등학생의 영양문제와 식습관을 해결하는 방안의 하나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아침결식률을 낮추기 위한 ‘아침 안 거르기’ 사업을 학교와 연계 개발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시 강북구 관내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26명(실험군 451명, 대조군 675명)을 대상으로 4∼9월까지 6개월간 5단계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해 사전(실험군-학생 428명, 부모 416명, 대조군-학생 656명, 부모 589명), 사후(실험군-학생 427명, 부모 368명, 대조군-학생 608명, 부모 558명) 설문조사를 2회 실시하여 행동과 인식률 변화를 측정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월 1회 담임교사가 진행하였고, 교육자료 및 홍보물은 아침먹기 캐릭터 가방걸이와 학부모의 참여를 높이고자 가정통신문과 교육내용을 함께 삽입하여 제작한 알림장, 아침먹기와 일찍자기를 실천할 실천스티커를 배포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후 아침 먹기 실천달력을 제공하였다. 또 아동들 자신의 식생활을 바르게 꾸려 나갈 수 있도록 가공식품의 ‘영양표시’에 관한 교육을 함께 교육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영양표시제에 관한 인식변화와 행동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학생들의 아침식사 실천율은 매일 먹는 그룹이 실험군은 62.9%에서 69.6%로 7% 상승하였고, 전혀 먹지 않는 그룹은 11.2%에서 6.4%로 4.8% 감소하였다(p<0.001) 대조군의 경우 매일 먹는 그룹은 70.4%에서 70.2%로, 전혀 먹지 않는 그룹은 6.9%에서 6.5%로 나타났다(p<0.001). 아침식사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률 변화는 큰 영향이 있다고 답한 그룹이 실험군은 60.1%에서 64.8% (p<0.001)로, 대조군은 64.8%에서 57.2% (p<0.001)로 각각 변화하였다. 일찍 자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률은 큰 영향이 있다고 답한 그룹이 실험군은 52.5%에서 70.7%(p<0.001), 대조군은 55.3%에서 60.2%로(p<0.001), 일찍 자기 실천에 대한 의지 변화는 11시 이전에 잘 계획이라는 그룹이 실험군은 31.9%에서 43.9%(p<0.001), 대조군은 35.5%에서 36.8%로 나타났다(p<0.001). 영양 표시에 관한 문항에서는 식품구매시 영양표시를 보고 구매한 경험이 없다는 군이 실험군에서는 58.2%에서 40.4%로 감소하였고(p<0.001), 대조군은 64%에서 53.6% (P<0.001)로 감소하였다. 영양소에 관한 지식 평가에서 짜지 않은 간식을 선택할 때 유의할 성분을 나트륨이라고 답한 그룹은 실험군은 31.7%에서 56.3%로, 대조군은 15.9%에서 23.0%로 나타나 그룹간 큰 차이를 보였다. 아침식사로 좋아하는 음식은 김치, 김치찌개, 밥, 피자, 고기, 빵, 된장찌개, 김, 햄, 계란후라이 순이었으며 싫어하는 아침음식은 피망, 고추, 양파, 김치, 시금치, 마늘, 콩, 파, 피자, 나물순으로 나타났다. 아침식사로 혼자서도 준비할 수 있는 음식은 밥, 라면, 계란후라이, 김치, 반찬, 볶음밥, 계란, 국, 햄, 씨리얼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인식률 변화는 가정내에 컴퓨터 설치장소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장소로 실험군의 경우 학생 방은 28.0%에서 21.6%로 6.4%감소하였고, 마루나 거실은 61.3%에서 66.0%로 5%증가하였다(p<0.001). 반면 대조군의 경우 학생 방은 28.8%에서 24.9%로 3.9% 감소, 마루나 거실은 63.4%에서 65.9%로 2.5%증가하여 실험군과 큰 차이를 보였다(p<0.001) 자녀의 늦은 취침시간과 아침식사에 관한 인식률 변화는 아침식사에 영향이 있다는 군은 실험군의 경우 78.1%에서 82.7%로 4.2% 증가하였고(p<0.05), 대조군의 경우 82.2%에서 80.5%로 감소하여 나타났다.(P<0.001) 연구결과 실험군의 경우 일주일 동안 아침을 전혀 먹지 않는 학생이 감소하고 매일 아침을 먹는 학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아동의 아침식사 행동변화와 인식률 변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urvey on the University Students′ Use of University Cafeteria and Perception for the Reduction of Food Wastes (대학생의 구내식당 이용실태 및 음식물쓰레기 감량에 대한 의식 조사 연구)

  • 한준표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9 no.2
    • /
    • pp.125-134
    • /
    • 1999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way of reduction on food waste in the university cafeteria.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502 students using Yeungnam University cafeteria, and illustrates the students' use and perception for the reduction of food waste. It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57.2 percent of the total users use the university cafeteria every day, also 77.1 percent of the students preferred Korean style dish. Female students left more food waste than male students, and the most leaving food was stews than the other types of foods. The most favorite stew and side dish turned out tc be Yukgaejang and Bulgogi respectively, also they preferred Kimchibokkumbab. But they disliked Baechuguk, Sungiguk, salted fish and fishes. The perception of female users on the reduction of food waste was lower than that of male users, but they were concerned about on the reduction and recycling of food waste. Also the best method of food waste treatment recognized by students were utilizing the waste food as fertilizer or fodder for animals.

  • PDF

A Study on the Intake and Satisfaction Levels of Busan Foods among Chinese Tourists (중국 관광객의 부산음식의 섭취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Lim, Yaung-Iee;Lee, Jong-Hyeon;Kim, Young-Joo;Jeong, Ji-Kang;Kim, Sin-Jeong;Park, K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9
    • /
    • pp.1492-149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take of food and degree of satisfaction of services among Chinese tourists in the restaurants in Busan. The choice of what these tourists would eat after touring Busan was also determined. We chose 100 independent Chinese tourists visiting Busan for this study. Students, housewives, highly educated people, and people who visited once or twice were predominant among our study subjects. The Chinese tourists chose the following Busan local foods during their visit: Saengseonhoe (19%), Haemultang (19%), Oribulgogi (17%), Dwaejigukbap (12%), and Dongrae Pajeon (11%). The tourists responded that they would like to eat Bulgogi, Samgyeopsal, Bibimbap, Doenjangjjigae, and Dwaejigalbi again if they revisit Busan, indicating that they prefer general Korean food rather than Busan local foo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hinese tourists with Busan food was low and their response showed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ices and the amount of food served. Services (kindness, cleanliness) in Busan restaurants ranked high in the opinion of Chinese tourists. Of all the courses included in their tour of Busan, shopping for items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satisfaction (44%), while food in Busan earned the lowest (10%). As regards intention to revisit Busan, 38% of the Chinese tourists answered yes, and 61% were unsure, and 1% was no. Our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restaurants in Busan city need to prepare food of choice for Chinese tourists and also make an effort to raise satisfaction on the cost and amounts of Busan foods.

Food Habit Patterns and Korean Food Utilization in Koreans Residing in New Zealand and Malaysia (재외 한국인의 한국음식 이용과 식생활 양상 -New Zealand 및 Malaysia 거주 한국인을 중심으로-)

  • 윤계순;우자원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4 no.5
    • /
    • pp.566-576
    • /
    • 1998
  • Food habits and Korean food utilization patterns were surveyed from 188 Koreans residing in New Zealand and Malaysia by using a questionnaire. Forty sev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Korean food should be succeeded as its traditional form. Most subjects had strong pride for Korean traditional food. Kimchi was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side dish followed by Chigaes (stew), broiled meat, Tubu (bean curd), broiled fish, Tangs (soup), and Noodles. While Kimchies were prepared by the respondents themselves, Doenjang and Kochujang were sent from the relatives in Korea or purchased from the market. The changes in food consumption pattern after emigration depended on the availability of food items in residing country. Korean style meal (cooked rice and side dishes) was eaten by 51% respondents for breakfast and by 78.2% for supper. Ramyon was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instant food. Eating out frequency was much higher in the residents in Malaysia than the ones in New Zealand.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s residing in foreign countries have the consciousness trying to succeed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their food consumption pattern partly depends on food availability and socio-cultural properties of the residing country.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Menus for Daily Intake of 25g Soybean Protein and Nutrition Analysis of Soybean Food (하루 콩단백질 25g 섭취를 위한 메뉴작성 및 영양성분 분석)

  • 한재숙;김정애;서봉순;이연정;서향순;조연숙;한경필;이신정;오옥희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2 no.2
    • /
    • pp.107-12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nus for daily intake of 25g soybean protein and to analyse nutrients of these foods. Analytical values were compared to the theoretical one using the flood composition table and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oybean curd residue stew, Soybean curd, Kimchi saute, and hard boiled soybean and lotus root were selected for the menu for January, of which the content of soy bean protein(SBP) was 33.1g, soybean stew, soybean curd and soybean sprout saute, and Italian deep fried soybean curd were fur February, of which the content of SBP was 35.0g. The content of SBP in soybean paste soup with soybean curd, fried soybean curd and fried soybean curd roll, the menu for March, was 24.9g. That of April were soybean curd gratin with soymilk, soybean curd and ham with garlic dressing and the content of SBP was 26.3g. That of May were soybean porridge, soybean flour cake with honey (Dasik), soybean sprout soup and the content of SBP was 26.7g. That of June were soymilk, pan-fried soybean curd, steamed soybean curd with chicken and the content of SBP was 28.4g. That of July were noodle with soymilk, mapatofu, soybean curd salad and the content of SBP was 24.7g. That of August were soybean sprout with mustard dressing, Tossed green pepper with raw soybean flour, Tofu and Kimchi stew, soybean curd steak and the content of SBP was 26.2g. That of September were Chinese cabbage soup with raw soybean flour, sweet and sour tofu and the content of SBP was 23.2g. That of Oct. were Fermented soybean stew, soybean pan cake and the content of SBP was 24.3g. That of November were not-pressed soybean curd casserole, pan-fried mashed soybean curd with egg, stir frying deep-fried soybean curd with vegetables and the content of SBP was 22.4g. That of December were soybean curd and mushroom casserole, fried soybean curd and vegetables, hard boiled soybean curd and the content of SBP was 28.9g. 2. The ratio of the analytical value over theoretical value (A/B%) of one serving in kcal, carbohydrate, protein, fat ash and dietary fiber were 57.7~107.7% 42.9~131.9%, 79.2~118.3%, 54.5~ 100%, 40.7~80.8% and 42.1~113.2%, respectively.

  • PDF

Study on free amino acids(glutamic acid) and nucleotide relating substances of various foods (각종 음식의 일부유리아미노산과 핵산 관련 물질에 관한 연구)

  • 변진원;황인경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4 no.1
    • /
    • pp.33-40
    • /
    • 198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flavor components of foods, that is, total free amino acids, free glutamic acid(constituent of MSG) and nucleotide relating substances. Twenty-five foods popular to Korean were selected and prepared according to recipes of several cooking 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free glutamic acid and total nucleotide relating substances, similar Patterns were shown. The foods which their major food stuffs were meat, fish and marine products and which a large amount of soy sauce were added to, tended to show high contents. of those On the other hand, although major foodstuffs had relatively high contents of those, foods added other many sub-foodstuffs had shown intermediate contents of those. Soups and watery noodles had low contents of those because of their large water amount. Especially, foods made of vegetables without addition of soy sauce showed low content of IMP. In foods various ratios of free glutamic acid to IMP were calculated. Thus, the proper usage of the chemical seasoning containing nucleotide at various cont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efficient flavor enhancing eff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