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돼지정액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색도에 의한 돼지 액상정액의 품질 간편식별 기술 개발

  • Lee, Jang-Hee;Kim, In-Chul;Jin, Hyun-ju;Lee, Dong-Won;Son, Dong-Soo;Kang, Kwon;Baek, Soon-Hwa;Jung, Young-Chae;Kim, Chang-Geun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2.06a
    • /
    • pp.30-30
    • /
    • 2002
  • 본 연구는 돼지 액상정액의 품질을 간편하게 육안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채취된 정액을 페놀레드(0.5%)가 첨가된 BTS보존액에 정액과 회석액비율을 1:1로 희석하여 1-2시간 17℃까지 냉각시킨 후 최종정자수가 3×10/sup 9/ sperm/80㎖ 되도록 최종 추가조정 희석한 후 17℃에서 1, 3 및 5일 동안 보관한 정액의 활력과 pH를 조사하고 페놀레드 색상변화를 Figure 1과 같이 pH 6.2-8.0까지의 색상을 10등급으로 나누고 pH 7.0 수준을 표준색상으로 하여 색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돼지 액상정액을 17℃에서 1, 3 및 5일 동안 각각 보관하였을 때 정자 활력은 71.9%, 59.8% 및 53.9%였으며, 이 때 pH 는 각각 6.89, 6.84 및 7.06으로 적정 색상을 나타내었다. (중략)

  • PDF

Specific Detection of Serratia marcescens Based on a PCR Assay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 marcescens Isolated from Boar Semen (Serratia marcescens 검출을 위한 PCR 기법 개발 및 돼지정액 유래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

  • Jung, Ji-A;Kim, Aeran;Seo, Byoung Joo;Jung, Suk Chan;Kim, In Cheul;Chung, Ki Hwa;Jung, Byeong Yeal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9
    • /
    • pp.1133-1139
    • /
    • 2013
  • During the collection of boar semen, bacterial contamination usually occurs. The contamination has deleterious effects both on semen quality and on sow fertility. The majority of contaminants are gram-negative bacteria, especially Serratia marcesce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CR assay for the identification of S. marcescens targeting the luxS gene (GenBank no. EF164926). S. marcescens yielded a specific 306 bp PCR product. However, no amplification was observed in the other strains tested. The detection limit of PCR was $50pg/{\mu}l$ of template DNA of S. marcescens.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S. marcescens isolated from boar semen were tested using the disk diffusion method. Gentamicin, ceftiofur, florfenicol, and neomycin showed high sensitivity in this test.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as also determined by the broth microdilution method. The $MIC_{90}$ values of ceftiofur, enrofloxacin, gentamicin, and neomycin were 8, 8, 8, and $16{\mu}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CR amplification of the luxS gene is a reliable and effective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S. marcescens and that ceftiofur, enrofloxacin, gentamicin, and neomycin are effective semen extenders for controlling S. marcescens.

돼지 인공수정시 1회 주입 정자농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 김인철;이장희;조창연;진현주;이일주;박창식;김창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2.06a
    • /
    • pp.27-27
    • /
    • 2002
  • 본 연구는 돼지 인공수정 시 1 회 주입하는 정자농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활력이 70%이상인 정자수 기준으로 80㎖ 병당 30.0×10/sup 8/80㎖, 25.0, 20.0, 17.5, 15.0, 12.5, 10.0 및 7.5로 농도를 각각 조절하여 12시간 간격으로 2회 인공수정하고 분만율 및 산자수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액상정액은 축산기술연구소 돼지 인공수정 센타의 종모돈중 통일품종 정액을 BTS(Beltsville thawing solution) 보존액으로 혼합하여 5개 농장의 암돼지에 인공수정 하였으며, 정자농도는 광전비색계(Spectronic-20,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만율은 72.3%-89.3%로 농도별로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중략)

  • PDF

Comparision of Preservation of Liquid Boar Semen between Lactose-Egg Yolk and $B\ddot{u}tschwiler$ Diluents (돼지 액상정액 보존을 위한 Lactose-Egg Yolk와 $B\ddot{u}tschwiler$ 희석액의 비교)

  • Park, C.S.;Cheon, Y.M.;Xu, Z.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0 no.2
    • /
    • pp.101-109
    • /
    • 1996
  • This study was done to find out the methods of long-term use of liquid boar semen in 100 ml plastic bottle for artificial insemination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Lactose-Egg yolk and Biitschwiler diluents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effect of final glycerol concent ration in Lactose-Egg yolk diluent. Liquid boar semen diluted with Lactose-Egg yolk dilu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perm motility (p<0.05) after 0.5 and 2h incubation at 37$^{\circ}C$,than Butschwiler diluent at all storage length when it was preserved in the 5$^{\circ}C$ refrigerator. The NAR acrosome in Lactose-Egg yolk diluent a after 0.5 and 2h incubation at 37$^{\circ}C$, respectively, during preservation periods was similar to that in Biitschwiler diluent. When liquid boar semen was preserved at 15$^{\circ}C$, liquid boar semen in the Butschwiler dilu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s of sperm motility and NAR acrosome from third day to seventh than that in Lactose-Egg yolk diluent. In the effect of final glycerol concentration of liquid boar semen in the Lactose-Egg yolk diluent, the final glycerol concentration of 2% showed higer percentages of sperm motility and NAR acrosome than that of 0, 1, 3, and 5%. Farrowing rate, litter size and average pig weight at birth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Lactose-Egg yolk and But schwiler dilu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out that liquid boar semen can be stored for 6-7 days at 5$^{\circ}C$ in Lactose-Egg yolk diluent and at 15$^{\circ}C$ in Butschwiler diluent.

  • PDF

동결정액의 포장방법이 정액성상과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 김인철;이장희;김현종;김종대;연성흠;정경용;손동수;박창식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77-77
    • /
    • 2001
  • 본 연구는 돼지 동결정액의 번식성적을 개선코자 기존의 maxi-straw와 cryogenic-vial을 이용하여 포장방법에 따른 동결방법과 융해방법별 정액성상 및 번식성적을 비교하였다. 동결방법은 두 가지 포장방법 모두 정액의 양(5$m\ell$)과 농도(5.0$\times$$10^{9}$/dose)가 동일한 조건으로 처리하였으며, LYE(Lactose egg york extender) 보존액으로 희석하여 액체질소 상단 15cm에서 20분간 동결하였다. 융해방법은 maxi-straw는 52$^{\circ}C$에서 45초간 cryogenic-vial은 52$^{\circ}C$에서 190초간 융해하여 $25^{\circ}C$로 가온 된 80$m\ell$ BTS (Beltsville thawing solution) 보존액과 혼합하였다. 정액성상검사는 정자자동분석기(SAIS : Sperm Analysis Image System, Korea)를 이용하였다. 총활력(TM : Total motility)과 정자의 빠르기(VCL : Curve linear velocity)는 maxi-straw가 54.3%와 46.6%로 cryogenic-vial의 35.6%와 36.6%보다 우수하였다(P<0.05). 정자의 직진성(STR : Straightness)과 NAR은 maxi-straw가 53.2%와 32.6%로 cryogenic-vial의 47.3%와 29.8%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태율과 분만율 및 총산자수는 maxi-straw가 77.3%, 68.2% 및 8.0두로 조사되어 cryogenic-vial포장방법의 66.7%, 61.9% 및 7.4두보다 다소 우수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cryogenic-vial방법이 새로운 돼지 동결정액 포장방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 PDF

Effect of Storage Times on the Kinematics and Capacitation Status in Liquid Boar Semen (보존 기간이 돼지 액상정액의 운동역학 및 수정능 획득에 미치는 영향)

  • Park, Yoo-Jin;Song, Won-Hee;Kim, Yeon-Hee;Mohamed, E.A.;Oh, Shin-Ae;Pang, Myung-Geol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v.32 no.1
    • /
    • pp.59-64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modification of semen quality during storage. Liquid boar semen samples extended in Beltsville Thawing Solution were stored at $17^{\circ}C$ up to 5 days. While % motility and linearity significantly decreased eon day 3 in extender, the qualitative motility patterns were maintained satisfactorily. Also the storage of boar semen up to 5 days before insemination did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 acrosome intactness. However, acrosome changed sperm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apacitated sperm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day 4. No significant modifications in acrosome integrity were showed during sperm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quid boar semen may keep the quality in extender for 3 days.

Effect of Packing Materials of Frozen Boar Semen on Sperm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동결정액 포장방법이 돼지정액의 성상 및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 김인철;이장희;김현종;이성호;박창식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6 no.2
    • /
    • pp.119-124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cking materials of frozen boar semen to improve reproductive performance efficiency in pig. Boars were raised at Swine Artificial Insemination Center i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Sunghwan, Chungnam, Korea. We compared packing protocols for frozen boar semen among 5$m\ell$ maxi-straw, 5$m\ell$ cryogenic-vial, and aluminum-pack. Cryogenic-vial packing material showed similar sperm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maxi-straw packing material when the sperm was frozen above 15cm from liquid nitrogen and thawed at 52$^{\circ}C$ for 190 seconds. We investigated different thawing times to find out the optimal condition of freezing and thawing protocol with cryogenic-vial. Freezing above 15cm from liquid nitrogen and thawing at 52$^{\circ}C$ for 190 seconds were the optimal protocol compared with 120 and 150 seconds. However, normal acrosome rat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mong thawing times. Post-thawing results of maxi-straw in water at 52$^{\circ}C$ for 45 seconds had better total motility and curve linear velocity than those of cryogenic-vial in water 52$^{\circ}C$ for 190 second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straightness and normal apical ridge of sperm between maxi-straw and cryogenic vial. Non-return rate, farrowing rate and litter size of sows inseminated with frozen boar semen of commercial farms were higher in the maxi-straw than cryogenic-vial,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xi-straw and cryogenic-vial.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xi-straw and cryogenic-vial and so, we may replace cryogenic-vial packing method instead of maxi-straw packing method by improvement of freezing and thawing rate.

WAP-EPO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돼지의 계대번식시 유전자 전이효율에 관한 연구

  • 이연근;박진기;민관식;성환후;임기순;양병철;김광식;김진회;장원경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14-14
    • /
    • 2001
  • 본 연구는 생명공학 관련 기술개발에 의하여 신소재 물질을 생산하고 사람에게 안전하고 생리활성이 높은 고가의 의료용 단백질 생산기술을 체계화하며 형질전환 가축을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에 따른 산업화와 부가가치의 극대화에 그 목적이 있다. 유즙으로 사람의 빈혈치료제인 EPO(Erythropoietin)를 분비할 수 있는 형질전환돼지를 생산하기 위하여 WAP(Whey Acidic Protein) Promoter(2.6kb) 하류에 사람의 조혈촉진유전자(EPO: 2.6kb)를 연결시켜 미세주입용 재조합 벡터(WAP-EPO : 약 7.8kb)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재조합 벡터를 1세포기 수정란에 약 2ng/ul 농도로 미세주입한 다음 외과적 방법으로 이식하였다. 이식 후 분만 모돈으로부터 생산된 자돈의 꼬리조직을 이용 게놈DNA를 추출하고 PCR 검정을 한 결과, 유즙으로 사람의 빈혈치료제를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돼지 $\boxDr$새롬이$\boxUl$ (♂)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렇게 꼬리조직으로부터 확인된 새롬이의 혈액과 정액을 채취, 게놈 DNA를 추출하여 외래 유전자 삽입여부를 PCR 방법으로 검정한 결과 꼬리조직과 마찬가지로 혈액 및 정액에서도 외래유전자가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생산된 형질전환돼지 $\boxDr$새롬이$\boxUl$를 이용 계대번식을 통한 F$_1$ 산자의 생산과 유전자 전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boxDr$새롬이$\boxUl$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인공수정은 1999년 7월 1일부터 2000년 9월 8일 까지 총 78두의 모돈을 이용하였으며, 그 중 21두의 모돈이 분만하여 인공수정에 의한 분만율은 26.92%로 나타났다.(Table Omitted) Table 1에서와 같이 새롬이 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에 의해 형질전환된 F$_1$ 자돈의 형질전환율은 17.98%로 나타났으며, 32두의 형질전환자돈 중 8두(암:4두, 수:4두)는 분만과 동시에 폐사하였거나 사육중 폐사하여 현재 24두(암:12두, 수:12두)가 생존하여 F$_1$ 간 교배계획에 의해 사육되고 있다. 이 중 암컷 4두는 현재 F$_2$ 자돈 생산과 함께 유즙내로 사람 빈혈치료제의 분비 유무를 검정중에 있으며, FISH 법에 의한 외래 유전자 삽입 검정을 확인 중에 있다.

  • PDF

AI 종모돈 정액내 세균감염 정도와 항생체 감수성에 관한 연구

  • Hong, Jong-Hoon;Kim, Chang-Geun;Jung, Young-Chae;Kim, Il;Ryu, Jae-Won;Son, Dong-Soo;Kim, In-Chul;Lee, Jang-Hee;Yoon, Hee-Jin;Kang, Kwon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2.06a
    • /
    • pp.32-32
    • /
    • 2002
  • 본 연구는 인공수정용 액상정액을 생산하는 돼지 AI 센터의 종모돈으로부터 채취한 정액내 세균 감염정도를 조사하고 감염율이 높은 세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개 AI 센터의 원정액내 세균수 (cfu × 10²/㎖)는 각각 8.2±28.8(1 -100), 18.2± 20.0(5-48) 및 33.1±62.l(4-173)로서 평균 23.8±38.l 이었고 AI 센터간, 개체간에 변이 가 컸다. 감염 세 균의 특성은 간균 74%, Gram stain(+)균 60%, catalase 생산 (+)균 100% 및 oxidase activity (+) 균 98%였으며 센터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정액샘플내 감연빈도가 높은 세균은 Bacillus sp(조사시료의 75.0%), Pseudomonas sp(67.9%), Proteus sp(53.8%), Staplhylococcus sp(53.6%), E. coli(l5.4%), Klebsiella sp(15.4%), Enterobacter sp(7.7%) 순이었으며 전체 감염세균 종류중 이들 세균의 비율은 각각 25.6%, 20.9%, 16.3%, 18.6%, 4.7% 및 2.3%였다. 액상정액에서 보존 2일과 6일의 세균수 (cfu×10²/㎖)는 2.4± 2.7과 44.0±44.6이었다. 항생제 감수성은 Corynebacterium sp의 경우는 8종 항생제 중 3종 (Streptomycin, polymyxin B, erythromycin)에서 저항성을 나타냈다.(농림기술개발사업 연구결과의 일부)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