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호인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47초

댄스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동호인의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Dance Sports Activation in Dance Sports Club Members)

  • 박종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97-107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 2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G 광역시의 댄스스포츠 동호인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응답자에게 직접 작성토록 하였고, 댄스스포츠 통호인들을 대상으로 총 300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3.0 버전의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 α 방법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성과 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증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참여 동기(인지 지향, 건강지향, 기술지향, 시설지향)는 재미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 동기(건강지향, 기술지향, 시설지향)는 운동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미요인은 운동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참여 동기가 재미요인과 운동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원인은 댄스스포츠 동호인들의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참여 동기가 운동에 대한 재미와 운동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검도동호인의 수련경험과 의미 (The Exploring Meaning and Training Experiences of Kendo Participants)

  • 박동주;이근모;임새미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6호
    • /
    • pp.71-80
    • /
    • 2017
  • 본 연구는 생활체육 검도 동호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검도 동호인의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검도장에서 수련을 하고 있는 남,여 11명을 대상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서 심층면담, 관련 보조 자료수집을 시행하였고 텍스트 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검도 동호인들의 수련경험은 각각 세 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 해보면 다음과 같다. 검도 동호인들은 검도 수련이 자신과의 싸움의 연속이며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들은 수련자들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검도수련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의 한계의 선과 마주하였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다. 이러한 과정에서 검도수련자에게 중요한 것은 예의였다. 검도장에서 가장 먼저 예의를 배우게 되고 예의는 검도 수련자가 갖추어야할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검도는 신체활동을 통해 올바른 인품을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오랜 수련을 통해 사범의 자격을 갖춘 동호인들은 사범으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스스로 검도의 공부와 깊이 있는 수련을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은 진정한 검도인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배드민턴 동호인의 참여행동, 운동행동, 종목이미지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Behavior, Exercise Behavior, Sport Image and Exercise Continuation of Badminton Club Members)

  • 이수아;박범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35-246
    • /
    • 2018
  • 본 연구는 배드민턴 동호인의 참여행동과 운동행동, 종목이미지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첫째, 종목이미지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참여행동의 하위요인 중 재미였으며, 운동행동의 하위요인 중 자존감과 스트레스해소였다. 둘째, 종목이미지는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참여와 운동행동은 종목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운동지속에 간접적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목이미지가 참여행동, 운동행동 및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종목이미지의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데 그 의의가 있다.

한강(漢江)의 역사문화경관 연구 - 조선시대 경강(京江) 동호(東湖)지역(地域)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Han River - Around East Lake of Kyung River in Joseon Dynasty -)

  • 김선화;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5-67
    • /
    • 2014
  • 조선시대 경강 동호지역은 역사와 문화적 요소가 풍부하여 역사문화경관의 명승명소가 많았으나 현대 한강은 자연경관에 비해서 문화성과 역사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강이 지니고 있는 역사문화적 요소를 한강의 경관에 적용하고자 조선시대 문화공간의 경관 특성을 린치의 시각적 이미지요소에 적용하여 경관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호를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적용했을 때 '통로'로서 높게 인식되었고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경계'의 명료성 또한 동호가 높게 인식되었다. 방향 전환점인 '결절점'은 두모포가 인지도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린치의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서 '랜드마크'를 문화공간에 적용했을 때 경강 동호, 압구정, 제천정이 우월한 인지도를 보임으로써 역사문화경관의 지명도와 명성은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비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문화공간의 패턴, 구조, 의미가 명료하고 정체성이 확실할수록 '랜드마크'와 '지역'요소가 높게 인식되었다. 공간의 지명도가 높을수록 역사문화경관의 인지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한강의 역사문화경관 복원 시 시각적 인지도를 고려하여 조사하고 사례연구 함으로써 장소의 복원과 함께 역사성과 문화성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활스포츠 지도자 리더십유형과 배드민턴 동호인의 경기력 관계: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Sports Leader's Leadership Style and Badminton Club Member's Performance: A Self-Efficacy Mediating Effect)

  • 남윤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11-320
    • /
    • 2021
  • 본 연구는 배드민턴 생활스포츠 지도자 리더십 유형과 동호인의 경기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배드민턴 생활스포츠 동호인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최종 59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도자 리더십유형 하위요인인 훈련지시행동, 권위적행동, 사회적행동이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지도자 리더십유형 하위요인인 훈련지시 행동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권위적행동은 자기효능감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셋째, 지도자 리더십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간접적으로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생활체육 지도자리더십 및 지도 유형에 대한 방향을 참여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설정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훈련 시스템 구축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축구 동호회들의 축구 미디어 관여 경험에 관한 연구 (Analyses of the Relationships among Soccer Media Involvement Experience, Purchase Intent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 in Soccer Clubs)

  • 최의열;김경현;임기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07-216
    • /
    • 2019
  • 이 연구는 축구 동호인들의 축구 관련 미디어 관여 경험과 용품구매의사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를 통해 축구 동호회 및 관련 용품업체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에 거주하는 축구동호인 327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적 일관적 분석을 통해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후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축구 관련 미디어 관여 경험 요인에서 기술의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도전, 흥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용품구매의사 요인에서 대안평가 단계의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매인식, 문제인식 그리고 정보탐색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구 관련 미디어 관여 경험은 용품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 요인이 용품 구매의사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축구 관련 미디어 관여 경험은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 요인이 참여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용품구매의사는 축구 동호인들의 참여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인식은 부(-)의 영향을 그리고 대안평가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관여 경험 요인 중 기술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용품구매의사 결정단계를 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여도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SNS를 활용한 상호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강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