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해시

Search Result 35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지리 위치면에서 본 동해시

  • 이남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3-83
    • /
    • 1995
  • 1. 동해시는 동해 바다에 면하고 있는 항구도시. 2. 한반도의 중부 동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해항도시. 3. 동해 바다를 통하여 세계 각지로 자유왕래 할 수 있는 편리한 위치에 있는 항구도시. 4. 남북 경제 문화 교류때에는 육해산물, 산업물자의 수송에 편한 해항도시. 5. 일본지역에서 중국, 러시아 지역에의 해로는 한반도의 동해시 항구를 경유하여야하는 교통 입지에 있는 해항. \circled1 일본에서 중국, 러시아에의 직항해로는 가능하나 여객 운송의 경우 30시간 이상의 장시간 소요가 불가피하므로 동해시 해항이 중간 거점이 될 수 있다. \circled2 일본의 서남 지방에 있는 후꾸오카의 하까다항 그리고 중부지방 북안에 있는 쯔루가항으로 부터 중국 대륙과 러시아 연해주에의 해로인 경우는 반드시 동해시항에 기항하여야 한다. 6. 남한의 내륙 지방에서 동북아시아 권역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해항. 7. 인접지에 다양한 발전적 배경을 지니고 있는 해항 도시.

  • PDF

동해시의 역사문화 고찰

  • 정용화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6-86
    • /
    • 1995
  • I. 동해시의 개요 II동해시 연혁 1. 1632년 $\longrightarrow$북평땅에 박곡리부락 발생 2. 1948년 $\longrightarrow$묵호땅에 망상리 발달 3. 1941년 $\longrightarrow$묵호항(동해항구)개항 4. 1975년 $\longrightarrow$산업기지개발구역지정(500만평) 5. 1979년 2월 $\longrightarrow$북평항구개항 6. 1980년 4월 $\longrightarrow$묵호읍과 부평읍을 통합하여 동해시 승격 7. 1981년 4월 $\longrightarrow$일본국 쯔루가 항구도시와 자매결연 8. 1986년 12월 $\longrightarrow$북평항을 국제항구도시 동해항 개칭 9. 1993년 $\longrightarrow$중국 도문시와 자매결연 10. 1995년 $\longrightarrow$동해항은 동해안(남한)제1가는 국제항구(중략)

  • PDF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Donghae-Shi (동해시의 강수 분포 특성)

  • 이장렬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3 no.1
    • /
    • pp.45-52
    • /
    • 1999
  • This study examin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Donghae-Shi. The daily, monthly precipitaion on the 2 stations, 3 AWS(Automatic Weather Station) were analyzed by altitudinal distribution, the air pressure type and days of daily precipi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our greatest precipitation is 62.4mm(1994. 10. 12), Daily greatest precipitation, 200mm(1994. 10. 12), Monthly greatest precipitation, 355.5mm(1994. 10), Maximum depth of snow fall, 35.5cm(1994. 1. 29) in Donghae-Shi, 1993∼1997. Altitudin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Summer tends to have more precipitation at higher altitude, in Winter, high mountains and coast have more precipitation than other sites do. The heavy rainfall in Donghae-Shi is mainly formed by a Typhoon, next is Jangma front. The number of consecutive days of daily precipitation $\geq$20mm is 81days, 44days of those appeared in Summer season. The synoptic environment causes the difference in observed the heavy snowfall amount between high mountains and coast.

  • PDF

천곡동굴 부근의 지질개관

  • 정창희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3.07a
    • /
    • pp.76-88
    • /
    • 1993
  • 1962년 대한지질학회에서 조사 발표한 태백산지구지질단 제4쪽과 제8쪽에 의하면 동해시 부근의 지질은 [그림 1]과 같다. 이 지질도 남반부에 천곡동 동굴지대가 포함되어 있는데 동해시 일대의 지질은 조선계층군의 중부와 평안계층군의 대부분, 이들에 관입한 편마상화강암과 우질화강암을 주로하고 이들을 부정합으로 덮은 홍적층(단구층), 중적층으로 이루어져 있다.(중략)

  • PDF

천곡동굴 부근의 지질개관

  • 정창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28
    • /
    • pp.53-67
    • /
    • 1991
  • 1962년 대한지질학회에서 조사 발표한 태백산지구지질권 제4쪽과 제8쪽에 의하면 동해시 부근의 지질은 [그림 1]과 같다. 이 지질도 남반부에 천곡동 동굴지대가 포함되어 있는데 동해시 일대의 지질은 조선계층군의 중부와 평안계층군의 대부분, 이들에 관입한 편마상화동굴과 우질화강암을 주로 하고 이들을 부정합으로 덮은 홍적층, 중적층으로 이루어져 있다.(중략)

  • PDF

A Study of tourist resort for Cheon-Kok cave (관광지로서의 천곡동굴 연구)

  • 홍충열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41
    • /
    • pp.58-69
    • /
    • 1995
  • 천곡동굴이 위치하고 있는 동해시의 천곡동은 동해시역 중에서도 중심부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북쪽의 묵호지역과 남쪽의 북평지역을 연결시켜주는 지역이며 교통도 매우 편리하고 앞으로도 크게 발전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이 지역은 수산항이라고 할 수 있는 묵호항과 산업항인 동해항( 및 북평항)과의 중간지점에 위치하여 두 지역의 결합적 역할수행이 요구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동북아시아의 관광루우트 설정시에도 동해시가 동해안의 중심적인 현관구실을 하여야 할 곳으로 대두되고 있어 앞으로 인구흡인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관광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 PDF

삼척 환선굴의 개발과 환경평가

  • 홍충렬;변대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44
    • /
    • pp.37-48
    • /
    • 1995
  • 삼척시는 강원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북쪽은 동해시에 남쪽은 경상북도 울진군과 봉화군에 서쪽은 정선군 임계면에 서남은 태백시 등 4개 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지리적 좌표를 보면 북위 37$^{\circ}$03'-37$^{\circ}$16', 동경 128$^{\circ}$52'-129$^{\circ}$06'이다. 이 지역은 강원도의 동해, 삼척, 태백, 정선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에는 남북으로 국도 38호선이, 서쪽에도 남북으로 국도 35호선이 근접되고 있는 위치이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Growth Prospec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onghae City as Port City (항구도시로서 동해시의 성장전망과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 Choi, Ja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8 no.1
    • /
    • pp.70-79
    • /
    • 2006
  • This study deals with analysing the growth prospec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onghae city with two international ports. To do so, it is progressed, firstly, to examine the general discovery about port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secondly, to unfold it's theory with Mukho and Donghae port as Donghae city development element as the central figure, thirdly, to analyse Donghae city as the important place of traffic, the location of industry and the resource base in a spatial planning side.

  • PDF

A Ripple Effect of Regional Economy by Government Aid for Forest Fire Restor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Analysis (산불피해지역 복구를 위한 정부지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Lee, Jae-Keun;Kim, Joon-Soon;Lee, Young-G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6 no.3
    • /
    • pp.338-34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ripple effect of the regions, Samcheok city, Goseong county and Donghae city, in Gangwon province by government aid for forest fire restor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analysis. These regions were devastated by forest fire in 2000. Direct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was higher than indirect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except for construction industry. Income inducement effect similarly showed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ndirect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higher than direct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aid took a side view of three effects.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nd income inducement effect in Donghae were more efficient than these in Samcheok and Goseong.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n Samcheok was more efficient than it in Goseong and Dongh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