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해랑

검색결과 2,255건 처리시간 0.032초

동해 연안역 해수순환에 대한 바람응력 효과 (The Effect of Wind Stress in the Southwestern Coastal Waters of the Japan Sea)

  • 장선덕;김종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38-548
    • /
    • 1993
  • 한국 동해 연안역 해수순환 및 수온분포에 대한 바람응력의 효과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동해상의 바람응력은 국립수산진흥원 정선관측 바람자료 및 일본기상청 Buoy No. 6에서의 10년간($1978{\sim}1987$)의 약 5,100개의 바람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여름과 겨울의 계절풍의 전환에 따른 에크만 수송의 변화가 대한해협에서의 대마난류 수송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동해에서의 평균적인 바람응력의 회전성(wind stress curl) 값이 음이 되는 사실에서 울릉도 근해의 난수층의 형성에 부분적으로 도움이 됨을 알았다. 한편, 동해 난수층의 분포를 단순화된 3층 경계면모델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 PDF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정자의 냉동보존에 미치는 희석액과 동해방지제의 영향 (Effects of Diluents and Cryoprotectants on Cryopreservation of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igeli) Sperm)

  • 임한규;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75
    • /
    • 1998
  •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정자의 냉동 보존시 정자의 생리활성과 보존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사육한 전장 $25.9{\pm}1.7$ cm, 체중$292.8{\pm}53.7$ g의 성어로부터 얻은 정액을 재료로 하여 희석액별, 동해방지제별 해동후 정자의 활성, 생존율 및 알에 대한 수정능력을 평가하였다. 희석액별 냉동보존에서 해동정자의 생존율은 3% sodium citrate에서 $80{\pm}1.4$%로 가장 높았으나, 수정률은 5.4% glucose에서 $63.4{\pm}4.4$%로 가장 높았다. 동해방지제별 냉동보존에서 해동정자의 수정률은 5~15% glycerol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였을 때, 50.1~69.4%로 DMSO 보다 나은 효과를 보였다. 감성돔 정자의 냉동보존을 위한 적정 희석액과 동해방지제는 5% glucose와 5% glycerol이었다. 냉동하지 않은 감성돔 정자의 머리는 구형으로 직경 $1.5{\pm}0.1$ ${\mu}$m, 길이 $1.3{\pm}0.1$${\mu}$m였으며, 치밀한 핵질로 채워져 있었다. 편모는 전형적인 9+2 구조를 나타냈다. 그러나 냉동후 해동시킨 정자중에서는 염색질의 과립화, 세포막의 이탈에 의한 그 용적이 커지는 구조변화를 보였다.

  • PDF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 정자의 냉동보존에 미치는 희석액과 동해방지제의 영향 (Effects of Diluents and Cryoprotectants on Sperm Cryopreservation in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임한규;안철민;노경언;민병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3-177
    • /
    • 2007
  • 희석액과 동해방지제로 각각 ASP와 DMSO를 사용하여 1년 동안 냉동보존한 후 해동한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 정자의 운동속도는 10% 농도에서 가장 빨랐다. Methanol의 경우 $10{\sim}20%$ 범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5%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Glycerol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였을 때는 첨가농도가 높아질수록 정자의 운동성과 운동속도가 낮아졌다. 희석액으로 SS를 사용한 경우도 ASP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투과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냉동하지 않은 신선한 강도다리 정자는 머리, 중편부 및 꼬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치밀한 핵질로 충만한 구형의 머리에는 첨체구조가 관찰되지 않았다. 동해방지제 없이 냉동보존한 경우, 대부분의 정자들이 머리가 찌그러지거나 부분적으로 수축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머리의 원형질막이 이탈되고 염색질이 과립상으로 변하거나 균질화되지 않았다. 반면에 냉동보존을 위해 동해방지제를 사용한 경우 부분적으로 정자의 구조적 손상이 관찰되었으나 대부분의 정자는 냉동과 해동과정에서 손상을 입지 않았다.

하계 동해에 있어서 대마난류의 북상한계와 변동 (THE NORTHERN BOUNDARY THE TSUSHIMA CURRENT AND ITS FOUCTUATIONS)

  • 홍철훈;조규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1983
  • 1970∼1979년 기간중 하계의 동해에 있어서 대마난류의 북상한계와 연변동을 규명하기 위해서 염분최대를 추적하고, 이값에 대한 deltaT(thermosteric anomaly) 에 관하여 검토했다. 29 N 이북의 동지나해로부터 동해북부해역에 이르기 까지 대마난류의 염분최대치 및 그 층의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층도 얕아졌다. 동해의 대마난류역에서 염분최대가 나타나는 층에 대한 deltaT의 값은 220-260 cl/t 이었다. 240cl/t면상의 34.4 등염선을 지표로하여 조사한 대마난류의 북상한계 는 한국 동해안측에서는 4 N 이남해역으로 한정으며, 동염선은 두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즉 동서방향인한국동해안쪽으로 치우쳐 북상하는 경우와 남남서-북북동 방향인 일본연안쪽으로 북상하는 경우였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배의 생존과 부화에 미치는 동해방지제의 영향 (Effects of Cryoprotectants on Survival and Hatching of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Embryos)

  • 임한규;장영진;조필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2-266
    • /
    • 2003
  • 어류 배의 냉동보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감섬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초기 배를 대상으로 동해방지제인 DMSO, ethylene glycol 및 glycerol의 최적 농도와 처리시간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동해방지제의 적정 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배의 사망률, 부화율 및 반수치사 농도를 조사하였다. 동해방지제로 처리된 감성돔 배의 사망률은 침지농도나 시간과 밀접히 연관되었으며, 감성돔 배에 대한 독성은 DMSO, ethylene glycol, glycerol의 순서로 낮았다. 배의 사망률, 부화율 및 반수치사농도에 대한 결과로부터 감성돔 배를 냉동보존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동해방지제는 DMSO였으며, 다음이 ethylene glycol이었다. 20분의 처리시간에서 효과적인 DMSO의 침지 농도는 2.0∼2.25 M이었으며, ethylene glycol의 경우 1.0∼1.78 M이었다.

한국산 사미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 동해와 남해 연안에 사는 종 (A Systematic Study on the Ophiuroidea in Korea I. Species from The Sea of Japan and the Korean Strait)

  • 신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1호
    • /
    • pp.107-132
    • /
    • 1992
  • 한국산 사미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1969년 4월 부터 1991년 10월까지 동해와 남해의 연안과 여러 도서지방 총 92개 지역에서 채집하여 보관중이던 표본을 동정.분류하였다. 그 결과 2목 4아목 8과 18속 41종의 사미류가 밝혀졌고 이들중 OPhiactis brachygenys, Ophiactis modesta, Ophiopholis brachyactis, Amphiodia, cyclaspis, Amphipholis kochii, Ophionereis eurybrachiplax 6종은 한국미기록종이다. 동정된 41종의 해역별 분포를 보면 대한해엽에 24종 (58.5%)으로 가장 많았고 동해에만 분포하는 종은 9종 (22.0%), 대한해엽과 동해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은 8종(19.5%)이었다. Ophiothrix exigua가 대한해협을 포함하여 가장 많은 지역(44지역)에서 채집되었고, 동해에서는 Ophiura sarsii가 가장 흔한 종이었다. 온대종이 1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여대종이 15종, 냉대종이 7종이었고 1종의 범세계종이 분포하고 있었다.

  • PDF

역기압 효과를 반영한 동해 연안 수위 변동 수치 재현 (Numerical Simulation of Water Level Change at the Coastal Area in the East Sea with the Inverted Barometer Effect)

  • 현상권;김성은;진재율;도종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3-26
    • /
    • 2016
  • 일반적으로 해수위 변동은 조석, 기상, 수온, 염분, 파랑, 지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비조석 외력 조건 중 대기압 변화는 수위 변화를 유발하는 큰 요인 중 하나이다. 수위 변동을 예측함에 있어 서해와 달리 조차가 작은 동해 연안은 조석 성분만을 외력 조건으로 고려하여 관측 수위를 재현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 연안의 수위 예측 및 재현 시 대기압의 시간적 변화가 수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Telemac-2D 모형에 역기압 효과(IBE, Inverted Barometer Effect)를 반영하여 수치 모의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역기압 효과와 조석을 동시에 반영한 예측 결과는 조석만을 반영한 예측결과보다 관측 자료와의 상관도가 크게 증가함으로 동해 연안 관측 수위의 수치 재현에 역기압 효과가 반드시 반영되어야함을 확인하였다.

동해 강원도 연안 용가자미, Hippoglossoides pinetorum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pointhead flounder, Hippoglossoides pinetorum in the coastal waters off Gangwon-do, East Sea)

  • 양재형;조정현;김종빈;박정호;이수정;윤병선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4호
    • /
    • pp.296-305
    • /
    • 2018
  •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pointhead flounder, Hippoglossoides pinetorum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sample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f Gangwon-do, East Sea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The average total length of H. pinetorum was 25.0 cm and 21.9 cm for females and males, respectively.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May to July according to monthly changes gonadosomatic index (GSI) and maturity stages. The spawning period in Gangwon-do was delayed relatively to that in Gyeongbuk-do. The mature egg diameter ranged between $300-700{\mu}m$. The relationship between TL and fecundity (F) was F = 63.574 TL - 1471.3 ($R^2=0.7603$), that is, the larger total length, the more fecundity H. pinetorum had. We estimated that the TLs at 50% group maturity were 25.6 cm for females and 19.9 cm for males. The spawning ecology by sea area should be considered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for H. pinetorum.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on the relationships among growth, maturity and water temperature variations in the East Sea.

사료 공급횟수가 어린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Frequency on the Growth of Juvenil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김희성;최진;임현정;정민환;이채성;변순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7-91
    • /
    • 2019
  • Effects of feeding frequency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juvenil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were investigated. One thousand fifty fishes were distributed into 15 of 500-L flow-through tanks. Triplicate groups of were fed experimental diet with five feeding frequency (one meal every two days, one meal a day, two meals a day, three meals a day and four meals a day) for 9 weeks.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fish fed two meals a day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one meal 2 days and one meal a day, but not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ed three meals a day and four meals a day. Feed consumption of fish fed two meals a day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fish fed three meals a day and four meals a day. Feed efficiency (FE)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of fish fed two meals a day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all other diets, except for three meals a d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al feeding frequency is two meals a day for the optimum growth performance of juvenile starry flounder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정밀 해저지형 자료 기반 동해 북부 연안(강릉 경포) 서식지 해저면 환경 특성 연구 (Analysis of Seabottom and Habita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based on Detailed Bathymetry in the Northern Shore of the East Sea(Gyeongpo Beach, Gangneung))

  • 이명훈;노현수;이희갑;박찬홍;김창환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6호
    • /
    • pp.729-742
    • /
    • 2020
  • 본 연구는 강릉 경포해변에서 약 500 m 거리에 위치한 노출암인 십리바위 주변에 발달한 사질-수중암반 해역에 대한 해저지형자료를 기반으로 해저면영상 및 수중영상과 드론영상 등을 중첩하고 통합 분석하여 동해 북부 연안 서식지의 해저면 환경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십리바위 주변 약 600 m × 600 m 해역을 연구 범위로 선정하고 총 3회 현장자료를 획득하였다. 무인도서인 십리바위는 크게 2 개 노출암과 주변의 여러 돌출암, 노출암 및 수중암초들이 작은 군도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십리바위 서쪽으로는 약 200 ~ 300 개의 인공구조물들에 의한 해중림초가 조성되어 있다. 십리바위 주변 약 600 m × 600 m 범위 해역의 수중암반지대는 수심 약 9 m ~ 11 m 범위 내에서 주로 발달해 있으며, 노출된 십리바위 남서쪽 주변으로는 암반지대가 수면 위에서부터 해저면으로 연장되어 발달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동남쪽의 수심 약 10 m ~ 13 m 해역에는 가장 넓은 수중암반지대가 나타난다. 십리바위 주변해역은 총 4 가지 Type의 해저면 환경 특성이 나타나는데, 수중암반지대(Type I)가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수중암반지대가 발달한 구간 주변이나 사이 및 십리바위 서쪽 방향의 경포해변으로 이어지는 해역은 연성기반의 사질 퇴적층이 나타나며, 조립한 사질 퇴적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간(Type II: gS(gravelly Sand)과 세립한 사질 퇴적층구간(Type III: S(Sand)으로 나뉘어 분포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십리바위의 서쪽해역 일부 구간에는 인공적으로 형성된 해중림초(TypeIV)가 조성되어 있다. 수중 합성영상 촬영 범위인 십리바위 북서쪽의 약 10 m × 10 m의 수중암반지대에 형성되어 있는 서식지에는 해조류(약 6종), 해면동물(약 2종), 극피동물(약 3종), 연체동물(약 3종) 그리고 척삭동물(약 2종) 등이 우점하여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면 위 십리바위 조간대 범위에는 두드럭배말, 굵은줄격판담치 등의 연체동물과 거북손, 조무래기따개비 등의 절지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그 범위와 분포 양상을 해저지형자료와 드론영상을 통합 분석한 자료에서 파악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파악하고 확인한 십리바위 및 주변 해역의 서식지 환경 특성은 해저지형자료를 기반으로 해저면영상, 표층퇴적물 시료, 수중영상 그리고 드론영상 등의 자료들을 통합 분석한 결과로 2차원의 분석 자료들을 3차원의 시각화된 주제도로 도출함으로써 해저지형 특성에 따른 서식 환경 특성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