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체부 정면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남성의 동체부 체형 분류(제l보) - 인체의 형태에 의한 정면 체형의 분류 - (Classification of Men's Somatotype According to Body Shape and Size(Part I) -Classification of Front View According to Body Shape-)

  • 정재은;이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1026-1035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front view of trunk of adult males into several kinds of shape and to provide the characteristics and silhouette of each group which has same shape. As the sample, subjects were l290 males of 20 to 54 year-old. The procedure and results were follows; l.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obtain the shape factor of the front of the trunk 8 factors in the front which explained 86.8% of total variance were extracted. 2. As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of factor scores, the font of body was classified in 4 types. 4 types were named X, A, Y and H type in the fro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남성의 동체부 체형분류(제2보) -측면체형의 분류 및 정면과 측면 체형의 조합- (Classification of Men's Somatotype According to Body Shape and Size(Part II) -Classification of Side View and Compound of Front and Side View-)

  • 정재은;김구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443-1454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body type of adult males into several kind of shape and to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size of each group which has same shape. As the sample, subjects were 1290 males of 20 to 54 year-old. The procedure and results were follows; 1. As the result of the previous reserch, the front line of body was classified in X, H, Y and A types. 2.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obtain the shape factor of the side line of the trunk. 9 factors in the side were extracted. As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of factor scores, the side line of body was classified in 5 types. It was named X, A, Y and H type in the front and S, D1, d, I and D2 type in the side. 3. In order to consider the shape of body as a whole, the body shape of the front and side were compounded. The whole body shapes of adult male were very various, and 6 body shapes, XS, YS, Yd, YI, AD2 and HD1 were selected as the basic types. In each type of body, several groups were classified by size factor, height and chest girth and master size was selected considering appearance frequency.

한성백제기(漢城百濟期) 완(盌)의 제작기법(製作技法)과 그 변천(變遷) - 서울경기권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Producing Technique and the Transition of Wan(Bowl) of Hanseong Baekje Period - Focus in Seoul·Gyeonggi Area -)

  • 한지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86-111
    • /
    • 2011
  • 완(?)은 밥이나 국 반찬 등을 담는 배식기로, 음식문화에 있어서 개인식기의 발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기종이다. 대개 $0.3{\sim}0.4{\ell}$가 다수를 이루며 연질(軟質)소성의 정선된 태토를 사용한 완의 제작은 크게 회전판 위에 원형의 점토판을 놓고 그 위로 점토띠를 쌓아올려 성형을 마무리하는 기본 방식(I)과 기본 성형은 동일하나 최후 단계에서 회전판에서 완을 떼어내어 도치시켜 저부를 정면하여 평저의 각을 없애는 새로운 방식(II) 두 가지가 확인된다. 전자는 동체-저부 경계면의 각이 살아있는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다수의 점토띠로 제작해 심도가 깊게 제작한 경우(Ia)와 2조의 점토띠로 제작하고 구순이 뾰족하게 제작한 것(Ib)의 두 가지로 다시 나뉜다. 후자는 동체-저부경계면의 각을 없앤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바닥에 점토를 덧대어 나선형으로 마무리하는 것(IIa)과 바닥에서 동체부까지 한 번에 깎기나, 물손질로 마감하는 것(IIb)의 두 가지로 나뉜다. Ib식과 II식은 중국자기 완(천발형)의 형태적 영향하에 제작된다. 연판문 청자완의 도입 이후에는 굽이 있거나 없더라도 내면이 둥글고 오목한 잔(盞)형태의 완이 새롭게 제작 사용되어진다. 이렇듯 백제완은 중국제 청자완의 모방형태가 다수 확인되고 있는데 백제인들의 중국제 물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컸음을 보여준다. 중국 출토 기년명 자료와의 비교, 공반유물의 나열 등을 통해 볼 때 각 제작기법은 I식에서 II식으로 다시 연판문 청자완의 영향하에 오목한 잔(盞)형태로의 변천 양상이 확인되었다.

백제 한성기 취사용기에 대한 검토 - 심발형토기와 장란형토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oking Vessel of Baekje Hanseong Period)

  • 정수옥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112-129
    • /
    • 2011
  • 본고에서는 백제 한성기 중심지역에 해당되는 서울 몽촌토성, 서울 풍납토성, 서울 석촌동고분군, 하남 미사리유적에서 출토된 취사용기의 형태, 제작기법 등을 분석하여 그 전개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형태적 분석에서는 심발형토기는 동최대경이 동체상부에 위치하고 장란형토기는 동최대경이 동체중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부잘록도는 두 기종 모두 미비한 편이었다. 유적별로는 심발형토기의 경우 서울 석촌동고분군이 용량이 적고, 심도가 깊으며, 동최대경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란형토기는 서울 풍납토성이 하남 미사리유적보다 심도가 깊고, 동최대경은 동중부에 위치하며 경부잘록도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작기법 분석에서는 심발형토기는 용량군의 폭이 커질수록 유문내박자를 이용하여 타날하였는데, 외면에는 승문이 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벽이 가장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간성을 포함하고 있다. 장란형토기에서도 유문내박자를 사용한 토기가 기벽이 가장 얇고 경부의 잘록도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순부에 강한회전력에 의한 정면흔적이 관찰되었다. 두 기종 모두 유문내박자를 사용하면서 더욱 기벽을 얇게 제작할 수 있게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백제 한성기 중심지역에서 출토된 심발형토기와 장란형토기는 태토나 소성에서는 시간성이 명확하지 않지만 제작기법상에서 그 전개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제작기법의 변화양상에는 시간성도 반영되어 있는 점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