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적증가계수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stimation of Dynamic Load Amplification Factors under Various Roughness Indices and Vehicle Classes (주행차량의 종류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평탄성에 따른 동적하중 증가계수 산정)

  • Choi, Jun-Seong;Seo, Joo-Won;Kim, Jo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4 no.2
    • /
    • pp.29-36
    • /
    • 2012
  • In this study, frequently passing vehicles with two, three, four, and five axles were chosen through traffic volume analysis in Kyung-In Expressway in order to analyze how the road roughness and vehicle speed affect on the dynamic loads for roads in various vehicle classes. Dynamic loads according to chosen vehicles are estimated by TruckSim program. Dynamic load amplification factor is ratio between dynamic and static loads, and it is also determined for each vehicle classes. From the result of dynamic loads estimated by the dynamic load amplification factor, it is shown that for three-axles vehicle, when IRI is 3.5 and vehicle speed is 100km/hr, asphalt pavements receive additional 36% of static loads in maximum. The analysis of the amplification factor according to each vehicle classes also indicates that the amplification factor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axles becomes smaller and each axle receives more loads.

Dynamic Amplification Factor of Concrete-Filled Tubular Arch (CFTA) Girder due to the Effects of Moving Vehicles and PT Tendons (이동차량 및 PT 텐던 영향에 따른 CFTA 거더의 동적증폭계수 비교)

  • Roh, Hwa-Sung;Hong, Sang-Hyun;Lee, Sang-Yun;Park, Kyung-Hoon;Lee, Jong-Seh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743-74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차량속도 및 긴장재의 설계에 따른 CFTA 거더의 동적거동 및 동적증폭계수를 분석하였다. 긴장재의 해석변수로서는 긴장재의 양과 긴장력을 고려하였으며 차량하중은 도로교설계기준의 DB-24 하중을 선택하였다. 차량하중은 3축-2트랙에 작용하는 등가절점하중으로 변환하여 속도에 따라 시간함수로 모델링하였다. 긴장재의 양은 외측 �� 내측 덕트의 유무에 따라 변화시켰으며 긴장력은 설계긴장력의 0%에서 100%까지 25%씩 증가시켰다. 차량속도는 40km/hr에서 100km/hr까지 20km/hr씩 증가시켰으며, 해석결과 긴장재의 긴장력 변화는 거더의 동적거동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초기처짐에만 영향을 주었다. 긴장재의 양에 따라서는 거더의 동적거동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긴장재의 양이 적을 수록 동적처짐은 증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거더의 동적증폭계수(DAF)를 산출하였으며, 이 결과 긴장재가 없는 경우에도 도로교표준시방서에서 정한 기준 값보다 매우 작은 거동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elative Compaction on the Subgrade using a Portable FWD (소형 FWD를 이용한 노상토의 다짐도 추정에 관한 연구)

  • Kang, Hee-Bog;Kim, Kyo-Jun;Kang, Jin-Tae;Kim, Jong-Ry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1 no.6
    • /
    • pp.213-219
    • /
    • 2007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imate of relative compaction on the ground under the load using of portable FWD. The outcome in the wake of the study is highlighted as below. Viewing the variation of dynamic deflection modulus depending on a number of compaction, when a number of compaction increased to 8 (18.3MPa) from 4 (15Mpa), a dynamic deflection modulus increased 27%, and when a number reached to 12 (27.9MPa), it doubled the value indicated in 4. 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density and dynamic deflection modulus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a number of compaction, a number of compaction by the roller reaching to the degree of compaction equivalent to 95% of max dry density was 13, with a dynamic deflection modulus indicating 27MPa ~ 29MPa.

Analysis of dynamic downpull force on underflow type floating gate (부력식 수문의 동적 하향력 분석)

  • Lee, Ji Haeng;Han, Il Yeong;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78-78
    • /
    • 2018
  • 자동수문이란 설정된 관리수위 이하에서는 수문이 개방되지 않고, 유량이 증가하여 관리수위 이상이 되면 수문이 개방되어 관리수위까지 방류하게 되면 다시 수문이 닫히게 되어 자동으로 관리수위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직 자동수문의 방류특성이 수동식 연직수문과 다른 점은 유량에 따라서 수문 개방고의 증감과 수문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수문의 운영 중 수문개방고의 거동과 자동개폐 시점을 예측하는 것은 정밀한 수문설계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수문 개방 시 흐름이 정지되어있다고 가정하면, 정수압 상태의 부력이론에 의한 부력수문의 개방고는 어렵지 않게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흐름이 정지되어 있다가 수문의 하단으로 방류가 시작되면 수문 선단을 포함한 주변에 압력 차이로 인해 동수압 하중이 발생하게 되어 수문에 진동을 유발하고, 수문개방을 억제하는 힘이 발생하여 수문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부력식 수문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정수압 상태의 부력이론에 의한 수문 개방율과 측정에 의한 수문 개방율을 비교하였으며, 압력계수를 이용하여 이론과 측정 수문 개방고의 차이는 동적하중에 의한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모형실험에서 측정된 자료와 수치모형 ANSYS - Fluent의 사용성을 검증하였고, 부력식 수문의 형상에 따른 동적하중을 분석하였다. 수문 형상비는 0.24~1.09로 설정하였고, 분석결과 부력식 수문은 수문 개방율이 커짐에 따라 압력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적하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력식 수문의 형상비에 따라서는 형상비가 증가함에 따라 동적하중이 감소하는 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Dynamic Behavior of Weathered Granite Soils after Freezing-thawing (화강풍화토의 동결-융해 후의 동적 거동)

  • 윤여원;김세은;강병희;강대성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5
    • /
    • pp.69-78
    • /
    • 200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ynamic behavior of weathered granite soils before and after freezing-thawing, cyclic triaxial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specimens not only with the variation of silt contents within 20% but with plasticity index within 20%. As the results, the dynamic shear modulus of weathered granite soils decreased with increasing silt contents. However, the change in damping ratio was negligible. The influence of freezing-thawing on shear modulus and damping ratio was minimal for the granite soils with variation of silt contents. For the case of the weathered soils with variation of plasticity index, the shear modulus increased with plasticity index within 20%, while the modulus decreased remarkably after freezing-thawing.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lyaniline Suspension as an Electrorheological Fluid (전기유변유체로서의 폴리아닐린 현탁액의 유변학적 특성)

  • 권무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7 no.3
    • /
    • pp.203-210
    • /
    • 1995
  • 전기장 하에서 폴리아닐린/미네랄 오일 현탁액의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인 연 구를 큐엣 셀 형태의 레오미터를 사용하여수행하였다. 폴리아닐린 현탁액은 전기장을 가해 줄 때 점도가 크게 상승하는 현상을 보였고 부피분율과 전기장의 3/2승에 비례하는 동적 항 복응력을 나타내었다. 작은 변형 진폭의 동적 상태 실험을 통하여 저장계수와 손실계수를 변형진폭, 변형의 구동 주파수 및 전기장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저장계수는 전기장을 증가시 킬 때 증가하나 손실계수(5wt%)는 약한 전기장 의존성을 보였다. 낮은 응력을 가해줄때의 크립과 회복곡선은 초기의 순간적인 변형 증가와 지연되는 변형 그리고 회복 불가능한 영구 적 변형으로 구성되어진다. 탄성 한계 항복응력은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 다. 매우 작은 변형에서는 응력과 변형사이의 선형적 관계를 보여 고체와 유사한 거동을 나 타내었다.

  • PDF

A Study on Impact Sound Insulation Properties of EPDM Micro Cellular Pad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 (EPDM) 발포체의 충격음 저감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Kyung-Won;Lee, Jung-Hee;Sohn, Ho-S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35 no.2
    • /
    • pp.138-148
    • /
    • 200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PDM micro cellular pad (MCP) as an impact sound insulation product, we studied static/dynamic properties and vibration transfer characteristics of EPDM MCP depending on shape, thickness, degrees of foaming by using material test system (MTS) and lab scale mock-up test apparatus. Static/dynamic rigidity is increased when shape is simple. thickness and degrees of foaming low. We could see that dynamic stiffness is proportional to the transmissibility of EPDM MCP. When dynamic stiffness is increased, characteristic peak at transmissibility curve moves high frequency range or snows increase of maximum value of transmissibility. For lab scale mock-up test and finite element method, EPDM MCP shows low vibration velocity and superior mode shape to just concrete plus slab structure. We could confirm that possibility of EPDM MCP as a impact sound insulation product is high.

  • PDF

Numerical Computation of Dynamic Stress Intensity Factors in Axisymmetric Problems (축대칭 문제에서의 동적 응력확대계수의 계산)

  • 이성희;심우진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6 no.2
    • /
    • pp.207-216
    • /
    • 2003
  • In this paper, the finite element method for the elastodynamic axisymmetric fracture analysis is presented in matrix for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Galerkin method to the time integral equations of motion with no inertia forces. Isoparametric quadratic quadrilateral element and triangular crack tip singular elements with one-quarter node are used in the mesh division of the finite element model. To show the validity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the infinite elastic medium with the penny shaped crack is solved first and compared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and the numerical results by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the boundary element method existing in the published literatures, and then the dynamic stress intensity factors of solid and hollow cylinders of finite dimensions haying penny-shaped cracks and internal and external circumferential tracks are computed in detail.

Effects of Gradation on Dynamic properties of Sands (모래의 입도가 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송정락;김수일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3 no.2
    • /
    • pp.7-16
    • /
    • 1987
  • The dynamic properties of soils are affected by parameters like, gradation characteristics, void ratio, confining pressure, etc. .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effect of gradation on the dynamic properties of sands with the effect of void ratio and confining pressure. Test results showed that shear modulus/damping ratio was increased/decreased with the decrease of void ratio and with the increase of confining pressure. When the fine content increased, shear modulus/damping ratio was decreased/increased. This study explained this phenomenon by the concept of the "effective number of contacts" and the "dead space".ot;dead space".uot;.

  • PDF

Cyclic Strength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Marine Cohesive Soil (해성 점성토의 동적 강도 및 변형 특성)

  • Kim, Yong-Seong;Seo, Min-Woo;Oh, San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4 no.3
    • /
    • pp.159-16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성 점성토에 대하여 반복 삼축시험을 실시하고 응력-변형률 관계 및 유효응력경로 특성 분석을 통해 동적 변형 및 강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시료는 일본 도쿠시마현의 코마츠시마 항 인근에서 채취된 점성토이며, 반복 삼축시험으로 동적 비배수 삼축시험, 동적 비배수 삼축시험 후 동적 삼축변형시험, 다단계 동적 비배수 삼축시험, 동적 삼축 변형시험 등 4종류의 시험을 수행하고, 시험 주파수로서 0.1 및 0.01 Hz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0.01 Hz로 수행된 동적 삼축시험 결과는 0.1 Hz로 수행된 삼축시험 결과보다 평균유효응력의 감소량이 크며, 반복 하중은 해성 점성토의 구조적 약화를 초래하고 초기 거동시 발생하는 간극수압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소변형률 영역에서 등가 탄성계수는 시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며, 감쇠비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변형계수는 반복 하중으로 인한 전단변형률의 축척에 따른 변형률 의존 거동에 관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