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적자세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bility to Maintain Dynamic Posturography in Gymnastic, Free style skier, and Figure skater (여자 체조, 피겨 및 프리스타일 선수의 동적자세 유지능력의 비교)

  • Jeong, Cheol;Park, W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5 no.4
    • /
    • pp.1472-147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bility to maintain dynamic posturography(EquiTest) in gymnastic, freestyle skier, and figure skater. A total of 32 subjects(22 athletic woman and 10 collegiate woma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uterized dynamic posturography(EquiTest) was adopted to test sensory organization and motor control. EquiTest facilitated the quantification of the role of somatosensory, visual and vestibular systems in the maintenance of postural balance and was also pertinent to measure the reaction time to the stimulus to change center of gravity on force platform. As a result were as follow. There was not difference among with exercise group. But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ce with between groups. It was suggested that the acrobatic and physical activity developed the function of visual system and the role of the combination of visual and vestibular system in maintaining postural balance to surrounding stimulus, and presented shorter reaction time in automatic postural response.

Real-Time Monocular Camera Pose Estimation which is Robust to Dynamic Environment (동적 환경에 강인한 단안 카메라의 실시간 자세 추정 기법)

  • Bak, Junhyeong;Park, 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322-323
    • /
    • 2021
  • 증강현실이나 자율 주행, 드론 등의 기술에서 현재 위치와 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카메라 자세 추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장 일반적인 방식인 연속적인 단안 영상으로부터 카메라 자세를 추정하는 방식은 두 영상의 정적 객체 간에 견고한 특징점 매칭이 이루어져야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영상들은 다양한 이동 객체가 존재하는 동적 환경이므로 정적 객체만의 매칭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이 같은 동적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경망 기반의 객체 분할 기법으로 영상 속 객체를 추출하고, 객체별 특징점 매칭 및 자세 추정 결과로 정적 객체를 특정해 매칭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정적 객체 특정 방식에 적합한 신경망 기반 특징점 추출 방법을 사용하면 동적 환경에 보다 강인한 카메라 자세 추정이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 PDF

A Prediction on Running Attitude of High Speed Planing Craft (고속 활주선의 항주자세 추정)

  • Oh, Kwang-Ho;Yoo, Jae-Ho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3
    • /
    • pp.12-31
    • /
    • 2012
  • 수치 계산으로 고속 활주선의 저항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활주 상태에서의 항주자세 예측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항주자세의 변화가 큰 고속 활주선의 경우에는 활주 자세에 따라 선저 바닥면에서 나타나는 압력 변화에 의한 동적 부양력 변화가 크므로 단순히 정지 중 흘수를 기준으로 계산되어진 유체력으로 항주자세를 예측하기 보다는 자세 변화에 따른 동적 부양력의 변화와 이에 의한 자세 변화를 반복 계산을 통해 수렴시키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화된 자유수면 조건의 포텐셜 수치 계산으로 유체 동압력인 부양력을 계산해내고 이를 유체 정역학적 힘으로 간주하여 부력과 선체중량과의 힘과 트림 모멘트 평형 관계를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반복적인 계산을 통해 수렴된 활주 자세를 얻어내었다.

  • PDF

Effects of hip joint strengthening on muscle strength, Y-balance and low extremity injury criterion in athletics (엉덩관절 강화 운동이 운동선수의 근력, 동적자세조절 및 하체 손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

  • Park, W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5
    • /
    • pp.1345-135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6 weeks hip joint strengthen on muscle strength, dynamic posture control and low extremity injury criterion. Twenty athletic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ercise group was conducted for three times a week, 60 minutes, and six weeks.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dynamic posture control, and lower body injury criter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lexibility was not significant, but muscle strength was significant difference. The dynamic posture control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left posterolateral and posteromedial. In addition,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exercise effec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leg length. In conclusion, hip joint strengthen increased muscle strength and dynamic posture control, and decreased the concern of low extremity injury criterion.

Sensibility Difference Analysis and Driving Posture Comparison of Pedal Operating between Automatic Tanmission Car and Manual Transmission Car (자동변속기차량과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에 따른 운전자세 비교 및 감성차이 분석)

  • Jeon, Yong-Wook;Yu, Seung-Dong;Park, P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1-75
    • /
    • 2000
  • 국내 동적 환경에 대한 감성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다. 본 연구는 자동차의 운전자세에 관해 연구하였다. 왼발을 사용하지 않는 A/T(Automatic Transmission) 차량과 두 발을 모두 사용하는 M/T(Manual Transmission) 차량의 운전자세 차이를 Position tracking sensor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각 차량에 따른 운전자들의 감성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운전면허 소지자로 운전 경험이 있는 남자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참여하였으며, 운전자세를 분석해 본 결과 A/T 차량이 M/T 차량의 경우보다 Seat가 더 뒤로 위치하였고, 두 차량의 운전자세에서 무릎관절의 각도에 많은 차이가 났다. 또, 신체 각 부위 관절의 위치나 모양도 조금씩 다르게 측정되었다. A/T 차량과 M/T 차량의 운전자세에 따른 감성 평가는 동적 환경의 감성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The Improvement of Tracking Accuracy of the Ground-Based Radar By the Measurement of Dynamic Attitude (지상레이더의 동적 자세 측정을 통한 추적 정확도 개선)

  • Kim, Wan-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8
    • /
    • pp.766-773
    • /
    • 2011
  • The inclination attitude of the Ground-Based Radar can be measured by the accelerometer due to its static operation environment, but the measurement error is generated from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accelerometer, which is created in mechanical oscillation by the dynamic environment, like the wind, gust, rotating antenna, etc. In this paper, the technique of reducing the measurement error of the attitude by the dynamic attitude is proposed and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and the analysis of tracking error by the attitude error are presented.

Effect on the Balance Ability after Four Week Training Using the System for 3-D Dynamic Exercise Equipment (3차원 동적 운동기기를 이용한 4주간의 운동 시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 Shin, S.H.;Yu, M.;Jeong, G.Y.;Yu, C.H.;Kim, K.;Jeong, H.C.;Kwon, T.K.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6 no.2
    • /
    • pp.1-8
    • /
    • 2012
  • In previous studies, the dynamic exercise equipment just focused on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However, our study is targeted at evaluation for the impact on the postural balance of those researches. Twelve male and twelve female subjects were volunteered for the balance training using this system. They had no medical history of backpain for the past six months. Trunk Stability and postural balance training was performed for 15 minutes a day, three times a week duing four weeks. To evaluate characterization of the postural balance using Balance System SD, Evaluation consist of the postural stability test and the postural limit test. As a result, this training with 3D dynamic exercise equipment help subjects improve the postural balance. These results are expected for using basic materials to the elderly with a high risk of falling and trained athletes needed to be a postural control.

  • PDF

A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of lifting and lowering tasks for energy expenditure at farm work (중량물 들고 내리기 농작업 자세의 에너지 소모량 평가 시스템 개발)

  • Sim, Taeyong;Kim, Bori;Youn, Su Hyun;Mun, Jou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45-145
    • /
    • 2017
  • 농작업 자세 중에서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고 내리는 자세는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의 유발행위로 분류된다. 이는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도구에 의해 위험도 별로 정량화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농작업 자세를 개선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작업자세 부하 평가방법들은 동적 자세를 평가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을 뿐 만 아니라 평가 과정에서 관찰자의 주관성이 개입 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량물을 들고 내리는 동적 자세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Energy expenditure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Energy expenditure는 체중, 성별 등과 같은 작업자 관련 변수와 중량물의 무게, 들어 올리는 높이, 빈도수 등과 같은 작업환경 관련 변수를 이용하여 최대 산소소비량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작업자 및 작업환경 관련 변수를 자동 측정하는 시스템은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와 깔창 형태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남성(6명), 여성(6명)을 대상으로 20kg의 중량물을 들고 내리는 동작에서 발생하는 Energy expenditure 값을 산출하였고, 산소소비량 측정 장비를 통해 획득된 최대 산소소비량($VO_2$)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Energy expenditure 값과 최대 산소소비량 간 상관관계는 0.984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0.9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에너지 대사율 평가시스템은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실제 농작업 자세 부하를 동적인 상태에서 평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산소소비량 측정기와 같은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현장 적용성이 뛰어 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odeling and Simulation of a Ship with Anti-Rolling Devices in Waves (자세제어장비를 장착한 선박의 파랑중 운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윤현규;이경중;이창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04a
    • /
    • pp.285-290
    • /
    • 2004
  • Wave exciting force and moment generate the motions of a ship in waves. Since ship motion exerts the negative influences on a crew's operability, the safety of cargos, passenger's comfort, etc, the anti-rolling devices may be required to reduce such motion. In this paper, the dynamics of the anti-rolling devices such as passive and active moving weight stabilizer and anti-rolling tank, and fin stabilizer are mathematically modeled. While the effect of the motion of the anti-rolling device on a ship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roll mode only in the past, the 6 DOF coupled equations of motion between a ship and the anti-rolling devices are constituted. Finally the motion of a ship with anti-rolling devices in waves is simulated through the developed simulation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