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적응력집중계수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노치 선단(균열 주위)의 기하학적 형상이 동적 응력집중계수(동적균열전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tch Geometries on Dynamic Stress Concentration Factor)

  • 이억섭;전현선;변귀환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46-54
    • /
    • 1998
  • 노치의 기하학적 형상이 동적응력집중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동적 광탄성 시험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동적 하중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에 의하여 여러 종류의 노치의 기하학적 형상 주위에서 발생하는 동적응력장을 $10^6/sec$의 촬영 속도를 갖는 Cranz-Shardin형 카메라를 사용하여 12장면을 기록하였다. 다양한 노치 선단의 형상에 대한 동적응력특이지수를 간단한 모델링식으로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여러 가지 노치의 기하학적 형상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동적응력집중현상을 비교하는데 이용하였다. 동적 광탄성 시험법으로 얻어진 동적응력장을 면밀히 해석하여, 동적응력집중계수가 노치의 형상에 크게 의존함을 규명하였다.

  • PDF

응력집중계수를 이용한 해상풍력터빈 트라이포드 지지구조물의 신뢰성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Tripod Support Structure for Offshore Wind Turbine using Stress Concentration Factor)

  • 이상근;김동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92-100
    • /
    • 2016
  • 응력집중계수를 이용하여 해상풍력발전기 트라이포드 지지구조물에 대한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파랑과 풍하중의 극치분포함수는 POT방법을 사용하여 동적응답을 분석함으로써 추정되었다. 일계신뢰도법을 사용하여 신뢰성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한계상태함수는 지지구조물의 이음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기반으로 정의하였다. 보 요소에서 계산된 응력에 응력집중계수를 곱하는 방법과 판 요소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최대응력을 계산하여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적외선 열화상 응력측정법에 의한 동적 응력집중계수 예측 (Estimation of Dynamic Stress Concentration Factor by Infrared Thermography Stress Analysis)

  • 최만용;강기수;박정학;안병욱;김경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7-81
    • /
    • 2008
  • Structural components subjected to high frequency vibrations, such as those used in vibrating parts of gas turbine engines, are usually required to avoid resonance frequencies. Generally, the operating frequency is designed at more than resonance frequencies. When a vibrating structure starts or stops, the structure has to pass through a resonance frequency, which results in large stress concentr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transient thermoelastic stress analysis of vibrating cantilever beam using infrared thermography and finite element method (FEM). In FEM, stress concentration factor at the 2nd resonance vibration mode is calculated by the mode superposition method of ANSYS. In experiment, stress distributions are investigated with infrared thermography and dynamic stress concentration factor is estimated. Experimental result is agreed with FEM result within 10.6%. The advantage of this technique is a better immunity to contact problem and geometric limitation in stress analysis of small or micro structures.

동적광탄성 실험에 의한 응력이완 노치부근에서의 접촉특이응력해석 (Contact Singular Stress with Relief Notch by Using Dynamic Photoelasticity)

  • 이억섭;황시원;나경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55-62
    • /
    • 1996
  • The dynamic photoelastic technique has been utiliz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lieving the large local singular stresses which are induce in the corner of a right angled indenter. The indenter compresses a semi-infinite body dynamically with an impact load applied on the top of the indenter. The effect of geometric changes to the indenter in terms of the diameter (d) and the location (ℓ) of the notch on the relieving of the dynamic contact stresses are investigated. A multi-spark-high speed camera with twelve sparks was used to take dynamic photographs. The contact singular stresses were found to be released by introducing the relief notch along the indenter. The optimal location and geometry of the relief notch need further experimental investigation.

  • PDF

암석의 동적 인장강도에 미치는 불균질성의 영향 (Influence of Rock Inhomogeneity on the Dynamic Tensile Strength of Rock)

  • Cho, Sang-Ho;Yang, Hyung-Sik;Katsuhiko Kaneko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3권3호
    • /
    • pp.180-186
    • /
    • 2003
  • 동적 인장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치해석기법을 이용하여 홉킨슨효과를 가정한 동적 인장시험의 암석 파쇄 과정을 해석하였다. 동적 인장 파쇄 과정과 정적 인장 파쇄 과정에 명확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으며, 동적 인장강도와 정적 인장강도의 상위는 응력집중현상과 응력재분배에 의해 발생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정적파쇄와 동적파쇄 과정에 큰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적 인장강도와 동적 인장강도는 미시적 인장강도의 균질성 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미시적 인장강도의 평균치에 근접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암석의 불균질성은 동적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동적 인장강도와 정적 인장강도의 상위를 발생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지적하였다.

충격하중에 의해 크랙 주위에 형성되는 응력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Stress Field around Crack Tip under Impact Load)

  • 황갑운;조규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0권2호
    • /
    • pp.450-460
    • /
    • 1996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wave propagation for crack tip, impact responses of two-dimensional plates with oblique cracks are investigated by a numerical method. In the numerical analysis,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used in space domain discretization and the Newmark constant acceleration algorithm is used in time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numerical results from the impact respons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tress fields are bisected at the crack surface and the parts of stress intensity are moved along the crack face. The crack tip stress fields are yaried rapidly. The magnitude of crack tip stress fields are converted to dynamic stress intensity factor. Dynamic sress intensity factor appears when the stress wave has reached at the crack tip and the aspect of change of dynamic stress intensity factor is shown to be the same as the part of the flow of stress intensity.

노치 형상 및 장약조건의 변화에 따른 균열발생양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ack Generation Patterns with Change in the Geometry of Notches and Charge Conditions)

  • 박승환;조상호;김승곤;김광염;김동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1호
    • /
    • pp.65-72
    • /
    • 2010
  • 암반발파에서 평활한 파단면을 확보하고 굴착손상영역을 제어하기 위하여 노치장약공을 이용한 균열제어공법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치형상과 장약조건이 균열발생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날개형 노치장약공을 갖는 발파모델을 구축하고 동적 파괴과정 해석법을 이용한 암반 파괴과정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노치 길이가 증가함에 균열의 성장 길이가 증가하며 파단면의 거칠기가 감소하고 장약공 상하부에 손상균열의 발생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석결과로부터 노치 길이 및 개구 폭에 따른 응력집중계수의 변화 및 균열발생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균열제어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동적 광탄성실험에 의한 응력이완 노치부근에서의 접촉특이응력 해석 (2) (Analysis of Contact Singular Stresses with Relief Notch by Using Dynamic Photoelasticity(II))

  • 이억섭;황시원;나경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0권7호
    • /
    • pp.2097-2107
    • /
    • 1996
  • The dynamic photoelastic technique had been utiliz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lity of relieving the large local singular stresses induced at the corner of a right- angle- indenter. The indenter compressed a semi-infinite body dynamically with an impact load applied on the top of the indenter. The effects of the geometric changes of the indenter in terms of the diameter (d) and the location (1) of the stress relieving notch on the behavior of the dynamic contact stresses wer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tress relieving notches positioned along the edge of the semi-infinite body on the dynamic contact stresses were also studied by changing the diameter (D) and the location (L) of the notch. A multi-speak-high speed camera with twelve sparks were used to take photographs of full field dynamic isochromatic fringe patterns. The contact singular stresses were found to be released significantly by the stress relief notches both along the indenter and the edge of the semi-infinite body. The optimal position and geometry of the stress relieving notches were obtained with the aid of limited experimental results.

절리암반의 변형률 의존적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 특성을 고려한 터널의 내진 해석 (Seismic analysis of tunnel considering the strain-dependent shear modulus and damping ratio of a Jointed rock mass)

  • 송기일;정성훈;조계춘;이정학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95-306
    • /
    • 2010
  • 암석과는 달리 절리암반은 변형률 의존적 변형특성(탄성계수 및 감쇠비)을 나타낸다. 탄성파를 이용한 현장실험을 통해 미소변형률 수준에서 암반의 최대탄성계수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내진 설계에 반영하고 있으나, 미소 변형률 이상의 중변형률($10^{-4}{\sim}0.5%$) 영역의 동적거동에 대한 실험적인 규명과 이에 대한 수치적 적용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률 의존적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의 비선형 거동 특성을 반영하여 동적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FLAC3D 해석 모듈을 개발하였다. 리커 웨이브의 파동 변화를 분석하여 개발된 모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절리 암반의 탄성파 전파특성과 동적 거동특성을 모사할 수 있는 절리암반 공진주 시험장비를 통하여 현장에서 채취한 절리암반의 변형률 의존적 전단탄성 계수의 감쇠 특성과 감쇠비의 증폭 특성을 획득하였다. 개발된 비선형 해석 모듈에 실험으로부터 획득된 거동 특성을 반영하여 수직구와 사갱의 접속부에 대한 내진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내진해석 결과, 비선형 해석이 선형 해석보다 더 큰 연직변위와 수평변위 결과를 나타냈다. 라이닝의 휨압축응력은 수직구과 사갱의 접속부에서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선형해석의 경우 라이닝에 더 큰 휨압축응력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변형률 의존적 절리암반의 비선형 거동특성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해석 및 설계시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선회주행 시 차체의 비틀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r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ar Body Types at Cornering Motion)

  • 이준성;조성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739-744
    • /
    • 2017
  • 탄성변형과 피로손상은 카트의 주행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카트 프레임에 영구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카트프레임은 현가장치와 다른 장치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두 가지 변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코너주행 시 동적 거동은 비틀림 변형이 원인이 된다. 선회주행 시 카트의 동적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카트의 GPS추적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카트 프레임에 작용하는 비틀림 응력값을 측정하였다. 레저카트와 레이싱카트의 재료물성치들은 인장실험을 통해 얻었다. 비틀림 응력집중과 프레임 변형은 얻어진 결과 값을 토대로 프레임의 응력해석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개발된 주행분석장치를 이용하여 레저카트와 레이싱카트를 각 조건별로 실차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한 코너에서 카트의 주행거동을 살펴보았다. 카트가 곡선주행 시 원심력으로 인해 하중이동이 발생하였으며 카트프레임에 비틀림 응력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레저카드의 경우, 40 km/h의 속도로 운전할 때 최대 비틀림 피로한도를 측정한 최대 비틀림응력은 230 MPa이며 비틀림 피로한도계수는 0.65를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카트의 선회 시 운전요소들을 운전측정시스템을 인스톨한 실측장비에서 측정하였으며 카트의 운전거동은 수직변위에 의해 측정하였다.